|
-용어해석-
* 퓨전(fusion) :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것이 합해져 새로운 것이 됨.
* 스파게티(spaghetti): 이탈리아식으로 만든 국수요리.
마카로니(가운데 구멍이 나 있는 이탈리아 국수)와는 달리 가운데 구멍이 없는 가는 국수에 독특한 소스를
쳐서 먹는다
* 샤브샤브 : 팔팔 끓는 국물에 얇게 썬 고기, 야채, 해물 등을 살짝 살짝 데쳐서 새콤한 소스를 찍어 먹는 일본 요리.
* 퍼펙트게임(perfect game) : ① 야구에서 한 명의 투수가 선발 등판해 단 한 명의 타자도 진루시키지 않고 끝내는 경기를
말한다. 즉 한 명의 투수가 1회부터 9회가 끝날 때까지 상대편 타자를 한 명도 1루에 내보내지
않는 경기다.
② 볼링에서, 모든 프레임을 스트라이크로 끝낸 경기를 말한다.
* 트레킹(trekking) : 목적지가 없는 도보여행 또는 산 · 들과 바람따라 떠나는 사색여행.
* 패키지여행(package여행) : 여행업자가 주관하여 행하는 단체여행. 미리 정하여진 관광여정에 따라 각종 교통편과
숙박시설, 기타 편의시설 이용과 비용 따위를 일괄하여 여행사에서 관장한다.
‘한 묶음 여행’ 으로 순화.
* 플랜트(plant) : <경제>산업 기계, 공작 기계, 전기 통신 기계 따위의 종합체로서의 생산시설이나 공장.
<경제>플랜트수입=설비수입, 플랜트수출=설비수출
* 인프라(INFRA) :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줄임말로, 사회적 생산이나 경제 활동의 토대를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
즉 도로, 항만, 발전소, 전선, 상하수도, 교통, 통신, 쓰레기처리시설, 사회복지시설, 교육시설 등 그 사회가
운영될 수 있는 기본적인 시설 등을 가리킨다.
IT인프라란 우리가 정보산업을 향유함에 있어서 꼭 필요한 것들, 예를 들어 광케이블, 초고속통신, 데이터뱅크,
서버 등을 뜻함.
* 아웃소싱(outsourcing) : 기업의 내부 프로젝트나 제품의 생산, 유통, 생산, 용역 등을 외부의 제3자에게 위탁,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핵심 사업에만 집중하고 나머지 부수적인 부분은 외주에 의존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컨소시엄(consortium) : 둘 이상의 개인 또는 회사, 단체, 정부의 협동체(협회)로 공통의 활동에 참여하는 목적을 지니며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의 자원을 투자하는 것,
즉, 여러 나라가 협력하여 경제적 도움이 필요한 나라를 지원하는 방식, 또는 그런 모임.
건설 공사 따위의 수주에서 여러 기업체가 참여하는 방식을 말한다.
* 컨벤션 산업(convention産業) : 동시통역 시설을 갖춘 대규모 회의장이나 연회장, 전시장 등의 전용 대회 시설을 갖추고 대규모
국제회의나 전시회를 유치하는 산업.
* 윈-윈(win-win ) : ① 양측에 유리한.
② 어느 쪽에서도 비난받지 않는.
③ 동시에 2개 지역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 빅딜(big deal) : 말 그대로 ‘큰 거래’로서 주로 주요 사업에 대한 기업 간의 대형사업의 맞교환을 의미한다.
경영학적으로는 사업교환(Business swap)이라고 한다.
빅딜의 범위는 부실기업 정리뿐 아니라 주력기업도 과감히 통·폐합 하거나 매각하는 것까지 포함되며,
외국 기업에 넘기는 것도 빅딜로 본다.
빅딜의 형태는 A와 B라는 업종을 모두 가지고 있는 두 회사가 상대방에게 경쟁력이 없는 사업을 넘겨주고
다른 사업을 넘겨받는 식으로 진행된다.
* 빅뱅(big bang) : 우주를 탄생시킨 대폭발’을 뜻하는 말.
태초의 우주는 엄청나게 밀도도 크고 무지막지하게 뜨거웠을 것이다. 그 상태에서 대폭발 즉 빅뱅을 일으켜
팽창우주가 되었다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설이다.
빅뱅에서 ‘뱅’은 우리말로 ‘꽝’ 정도에 해당되는 의성어다. 빅뱅은 직역하면 ‘큰 꽝’ 정도의 웃기는 말이다.
* 블랙홀(black hole) : 초고밀도, 초강중력 때문에 빛이나 전파라도 거기에 들어가면 탈출할 수 없다고 하는 가설상의 영역.
(항성 진화의 최종단계의 하나라고 일컬어짐)
* 야누스(Janus) : 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서 앞뒤로 두 개의 얼굴(양면(兩面) 얼굴의 머리)을 가지고 있으며, 성이나 집 따위
의 문을 수호하는 신.
로마의 신들 가운에서 가장 오래 되고, 또 가장 위엄을 갖춘 신이기도 한 야누스는 성이나 집을 보호하기 위해서
출입문을 잘 지키고자 두 얼굴을 가지고 있는 신이라는 의미임)
그러나 재치 있는 현대적 표현으로 두 얼굴을 가진 이중성격자, 위선자를 뜻하기도 한다.
* 좀비(Zombies) : 공포영화 속에서 만들어낸 것으로 흔히 '걸어 다니는 시체'를 가리킨다.
‘좀비’는 주술적 성향이 강한 아프리카 전통 민속 신앙과 로마 카톨릭 종교 의식을 결합 시킨 ‘부두교'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두교'에서는 형사범이나 심한 노동으로 인해 죽은 사람들이 종교적 의식을 통해 다시 생명을 얻은 생물체를
'좀비'라고 지칭하고 있다.
종교 제례 의식의 하나로 인간의 상상 속에 머물고 있는 가상의 창조물(hypothetical creatures)이라고 할 수
있다. 좀비는 인간의 형체를 연상시키는 육체적인 몰골을 갖고 있지만 생각을 할 수 있는 지능은 소유하지
못하였으며, 인간의 신선한 시체나 두뇌를 가장 좋아하는 먹이로 여기고 있고, 밝은 곳 보다는 어두운 곳을
생리적으로 선호하기 때문에 호감이 가지 않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이들이 특히 두려움을 주는 것은 '이미 죽은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처단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 사이코패스 :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말함.
생활 전반에 걸쳐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하는 성격적 장애를 일컫는다. 다른 사람의 감정 및 권리를
무시 하고 오직 자신의 이익이나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특징으로는 거짓말과 변명에 능하고 충동적이며 불안정하고 공격적이고 폭력적이며 피해망상이 짙게 깔려있고
범죄를 저지르고도 자신은 사회의 피해자라는 등의 합리적이지 않은 변명들을 내세워 합리화 하기도 한다.
그러나 행동장애와는 다른 점이 있다면 이들은 어른이며 사리 분별이 가능하고 자신이 저지르는 일들이
나쁜 일이고 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까지 모두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 멘탈 붕괴 : 정신이 무너져버림이라는 뜻으로, 너무 심한 충격을 받아서 아예 자포자기를 하거나 막나가는 상황에 주로 쓰인다.
게임에서 강화에 실패해서 아이템이 사라졌다던지, 커뮤니티에서 키배에서 졌다던지, 실생활에서 당혹스럽거나
창피한 일을 당했을때 그런 상황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정신이 나간듯한 표정이나 행동을 하면 멘탈(정신)이 붕괴
되었다 라고 표현한다.
* 파라다이스(paradise) : 근심, 걱정 없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곳. 이상향, 낙원.
* 패러독스(paradox) : 역설. 반대설. 모순의 논. 자가당착의 말
* 패러다임(paradigm) :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 패러디(parody) :<문학>특정 작품의 소재나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풍자적으로 익살스럽게 표현하는 수법, 또는 그런 작품.
* 캐릭터(character) : 소설, 동화, 만화, 연극, 영화, 비디오게임 등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로서, 개인을 특징짓는 독특한 개성과
이미지가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부여된 존재.
* 퍼포먼스(performance) : 퍼포먼스(performance)는 (연극 등의)공연·흥행·상연, (악곡 등의)연주, (동물의)재주·곡예와 실적,
성과, 성적, 성능, 수행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관중들에게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관념이나 내용을 신체 그 자체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행위예술을 말한다.
* 픽션(fiction=虛構): <문학> 허구(소설이나 희곡 따위에서, 실제로는 없는 사건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재창조해 냄)
* 논-픽션(nonfiction) : <문학>상상으로 꾸민 이야기가 아닌, 사실에 근거하여 쓴 작품. 수기, 자서전, 기행문 따위 가 있다.
* 스펙(specification) : ① 구직자 사이에서 학력, 학점, 자격증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② 장치나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성능이나 특성에 대한 규정이나 제조 방법.
* 커리큘럼(curriculum) : <교육> 교육과정(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교육의 전체 계획 및
과정)
* 내래이션(nar·ra·tion) : <소설・영화・연극에서> 이야기를 진행하기[서술하기]. 내래이터=해설자
* 어젠다(agenda) : 의제설정. 모여서 서로 의논할 사항이나 주제.
* 테마(Thema;독일어) : 제목. 주제. 논제
<문학>테마소설=주제소설. 창작이나 논의의 중심과제나 주된 내용. ‘주제’로 순화.
<음악>테마음악=주제음악, 테마뮤직=주제음악
<건설>테마정원 : 여러 시설들이 특정한 주제를 표현하도록 서로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진 공원.
야생동물, 해양생물, 동화의 나라 따위처럼 하나의 주제로 통일하여 조성한다.
* 포럼(forum) : ① 토의의 한 방식(토론회, 좌담회) -사회자의 지도 아래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간략한 연설을 한 다음,
청중이 그 내용에 대하여 질문하면서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② <컴퓨터>네트워크상의 회의실.
③ 법정, 재판소
* 텍스트(Text): ① 서적 등에서의 본문(本文), 즉 앞부분과 뒷부분 또는 주(註)까지를 제외한 서적의 주요 부분을 말한다.
이외에도
㉠ 원문(原文) 또는 원본(原本), 즉 개고(改稿)·각색·개작·윤색 등이나 또는 번역·번안·개정· 초록(抄錄)·요약
등을 하지 않은 원 저작물에서의 본래의 문장.
㉡ 분석·평가 등의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나 그 내용
㉢신문·잡지 등의 기사나 광고문에서 제목이나 그림·사진 등을 제외한 문자로만 된 본문 (body copy)
㉣ 구문활자(歐文活字) 서체 중의 하나인 블랙 레터(black letter)
㉤텍스트 북(text book)의 준말로서 곧 교과서 등을 지칭한다.
② 여러 코드 군에 의해 구성되어있는 담화적 총체를 나타내는 기호학적 용어.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텍스트의
최소 단위는 작품이다.
③ 성악곡의 가사를 말한다. 거의 모든 성악곡(독창곡, 중창곡, 합창곡, 오페라, 오라토리오)에는 가사가 있다.
* 콘트라스트(contrast) : 대조・대비・대립」이란 뜻으로, 불과 물같이 전혀 반대의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
색상이 유사하거나 디자인이 비슷한 것들은 서로 조화되기는 쉬워도 비교적 단조롭고 평범해 보인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조되는 요소를 효과적으로 가미함으로써 자극과 활기를 줄 수 있다.
텔레비전의 수상화면이나 사진 등에서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휘도의 차 즉, 흑백(黑白)의 대비를
뜻하며. 콘트라스트(contrast)가 작은 것은 연조(軟調)라고 하며, 큰 것은 경조(硬調)라고 한다.
콘트라스트가 작은 연조의 사진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그것이 큰 경조의 사진은 강한 느낌을 준다.
인쇄제판용 사진원고는 연조인 것이 좋은데, 경조인 것은 제판에 부적당하기 때문이다.
콘트라스트는 평균 광도를 나타내는 휘도와 다르고, 재생 화상의 흑백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콘트라스트 범위는 밝은 백이든 보다 어두운 흑이든 어느 쪽이 넓은가에 따라 강한 느낌의 영상을 재현한다.
* 디테일(detail) : [부분 · 세부]라는 뜻으로, 복식에서는 부분적인 취급을 말한다.
해상도, 선명도, 상세도. 이것은 재현되는 화소의 수로 결정되기 때문에 화상의 세부까지 명확히 판별하려면
다수 화소의 정보를 재현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선명도가 높다고 한다.
디테일을 살리게 되면 콘트라스트는 어느 정도 희생된다.
* 스마트(smart) : ① (옷차림이) 깔끔하고 말쑥한・단정한・멋있는・맵시 있는」의 뜻으로, 일반적으로 신체비율 (proportion)이
좋은 세련된 사람이나 또는 머리가 좋은 사람, 그와 같은 동작이나 행동 등을 총칭한다.
시대에 맞는 세련된 감성과 지성의 균형이 잡힌 똑똑하고 멋진 사람을 말한다.
②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관하여 말할 때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
특히 지금까지는 기대할 수 없었던 정도의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지능화된 또는 지능형(intelligent)이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이다.
* 심플(simple) : 단순한・간단한・검소한」 등의 의미로, 패션의 경우에는 디자인을 간소화하고 낭비를 배제한 단순한 형을
가리킨다.
장식성을 배제하고 단순한 기능성만을 추구하는 계산상으로 성립되는 것으로서, 단순이야말로
아름답다(simple is best)」라고 하는 관점에 입각한 미학에도 통하고 있다.
* 리드미컬(rhythmical) : ‘율동적인’이라는 의미로, 생생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율동적이란 것은 움직이는 사람이나 물체의 흐름새가 일정한 사이를 두고 조화롭게 규칙적으로 리듬을 타고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 다이나믹(dynamic) : 동적인; 힘찬, 정력적인, 행동적인, 역학적인
* 드라마틱(dramatic) : '극적인'이라는 뜻. 드라마틱 소프라노(소프라노 드라마티코) 등과 같이 성종명(聲種名)의 형용사로서,
극적 표현에 알맞은 가수의 성질(聲質)이나 성격을 나타낸다.
* 아날로그(analog): 연속해서 변화하는 양(量)’의 개념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온도나 습도, 전압, 음의 크기, 이들 모두가
아날로그 양이다. 보통 이것을 ‘숫자’로 표시한다. 그러나 숫자는 이론적으로 불연속(디지털)이고, 양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숫자’를 사용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편의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전기회로는 아날로그회로와 디지털회로로 구분하는데,
아날로그 회로에서는 연속되는 신호 파형을 그대로 취급하며, 확대(증폭)하거나 축소(감쇠), 또는 변형(특성 변화, 꼬임)
시키기도 한다. 즉, 신호를 본래 아날로그 양 그대로 취급하는 것이 아날로그 회로이다.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정보의 전송수단은 도중에 끼어드는 잡음까지도 정보의 일부로서 재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양질의 정보전달 수단으로서 디지털(digital)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디지털(digital): 아날로그와 대응되는 의미로, 임의의 시간에서 최소의 값이 정수배로 되어 있고 그 이외의 중간 값을 취하지
않는 양을 가리킨다.
디지털 회로에서는 연속된 양’은 다루지 않고, 주로 전압이 '있다' 혹은 '없다’라는 불연속적인 동작만 일어난다.
구체적인 예로 디지털시계의 표시를 들 수 있는데, 시계가 바늘로써 연속적으로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시· 분· 초 등으로 구획하여 문자로 표시한다.
따라서 디지털이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한 자리씩 끊어서 다루는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애매모호한 점이 없고,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디지털 양에 대한 각종 연산을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컴퓨터(디지털컴퓨터)이다.
지상파 방송이 디지털로 전환할 때 이득이 되는 부분이라고 해야 한다면 기존의 지상파방송을 전파로 쏘는데 있어서
아날로그에 비해서 더 넓은 구역을 커버 할 수 있는 광역성이 존재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은 지형과 인위적 장애물로 인한 난시청지역이 더욱 많아서 TVR(TV 중계소)를 세워야하는데
중계소 하나를 설치하게 되면 중복되지 않는 VHF/UHF대역 중에서 혼신 되지 않는 다른 TV채널을 부여해야만 한다.
즉 중복된 채널과 인근지역의 TV채널을 피해야 한다. 그로 인하여 새로운 주파수대역을 계속 내주어야하기에 소중한
주파수대역을 낭비한다고도 할 수 있다. 잘 나오지도 않는 수백 개의 TVR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디지털방송은 한 개의 아날로그방송을 점유하는 주파수대역에 3개가 넘는 고화질의 채널을 실을 수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는 1개의 채널당 하나의 방송만 점유 할 수 있는데... 디지털로 인해 하나의 대역폭에 많은 방송을 실을 수
있으니 방송사 입장에서는 재방송채널과 데이터방송으로 운용 할 수도 있다.
이를 MMS라고 하는데 인터넷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지상파방송(地上波放送) : 수신 장치만 있으면 누구나 볼 수 있는, 전파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송.
* 공중파방송(公衆波放送) :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익성 전파를 통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공중파'라고도 하지만 정확한 명칭은 지상파'가 맞는 말이다.
즉,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파로 보낼 수 있는 신호로 바꾸어 대기 중으로 쏘면 각 가정의 안테나에서
수신하여 변조시킨 후 TV 수상기에서 시청할 수 있는 형태의 방송을 한다.
* 유선방송(有線放送):방송국에서 근거리 가입자에게 유선(케이블=cable)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
* 위성방송(SB:Satellite Broadcasting) : 지상파방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지구에서 쏘아 올린 적도 상공의
약 3만 6000㎞ 궤도상에 위치한 방송위성을 이용해 텔레비전 방송이나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송 등의 각종 방송을 직접 하는 것을 말한다.
* 인터넷방송(internet broadcasting) : 통신과 방송을 결합해 인터넷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방송매체이며, 전 세계
네티즌을 시청 가시권으로 한다.
* 사운드(sound) : 소리, 음향(音響).
* 오디오(audio) : 음악 따위를 효과적인 소리로 듣기 위한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라디오, 텔레비전, 전축 따위 의 소리 부분).
* 비디오(video) : 영상이나 TV의 영상 신호 또는 그 기기나 회로 등을 통칭하는 말.
음성 신호나 그 기기를 가리키는 오디오와 대별되고 전통적인 기록 매체인 필름과 비교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또 가정용 VCR이나 녹화한 비디오테이프를 줄여서 비디오라고 부르기도 한다. 필름은 유제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감광시키는 광학 과정을 통해 영상을 기록하는 데 비해, 비디오는 렌즈가 포착하는 이미지를
전자 신호로 전환시켜 비디오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는 작업이다.
이렇게 기록된 영상은 현상이나 프린트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VCR을 통해 즉시 재생할 수 있고 이미지가 다른
VCR로 이전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영상 효과를 쉽게 구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트로트(trot) :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하나.
* 뽕짝 : 트로트풍의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속칭. 또, 그 리듬의 흉내말.
* 댄스(dance) : 서양식의 사교춤.
* 탭댄스(tap dance) : 밑바닥에 쇠붙이를 댄 구두를 신고 율동적으로 마룻바닥을 치며 추는 춤.
본래 미국 남부의 흑인춤이었다고 한다.
* 고-고(gogo) : 로큰룰에 맞춰 몸을 격렬하게 흔드는 야성적인 춤. 또, 그 음악.
* 블루스(blues) : 2 박자 또는 4 박자의 우울한 무용 가곡의 일종. 또, 그에 맞춰 추는 춤.
* 지르박(jitterbug) : 193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유행된 4/4박자이 속도가 빠른 사교춤의 한 가지.
* 탱고(tango) : 2/4 박자 또는 4/8 박자의 무곡(舞曲). 또, 그에 맞춰 추는 사교(社交)춤.
* 발라드(Ballade) : 자유로운 형식의 서사적인 가곡이나 기악곡. 대중음악에서 사랑을 주제로 한 감상적인 노래.
* 팝(pop) : ‘대중적인’이라는 뜻. 파생어인 팝스는 대중음악을 의미한다.
또한 ‘이번 작품은 팝이다’는 식으로 사용할 때는 ‘알기 쉽고, 경쾌하고, 리듬이 좋은 작품’ 이라는 의미 이다.
* 팝송(pop song) : 통속적인 가요 곡. 또, 특히 유럽과 미국의 유행가를 이름. 재즈, 샹송, 영화음악 따위 오락적 성격을 띤 음악.
* K-pop(케이팝) : 대한민국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는 유행 음악을 총칭한 이름이며, 간단히 가요, 또는 유행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 샹송(chanson) : 프랑스의 대중적 가요.
* 재즈(jazz) : 미국 흑인의 민속 음악과 백인의 유럽 음악의 결합으로 미국에서 생겨난 음악.
역동적이고 독특한 리듬 감각이 있으며 즉흥적 연주를 중시한다.
* 힙합(Hip Hop) : 뉴욕의 흑인 소년이나 미국 푸에르토리코 자치주의 젊은이들이 1980년대에 시작한 새로운 감각의 음악이나 춤.
* 락(Rock) : 기존의 흑인 음악에 젊음의 청춘성, 폭발성, 저항성의 강성(强性)을 인식 시킨 60년대 중반 미국의 음악.
(계급적 관점에서 볼 때 흑인이나 사회적 신분이 낮고 열등한 백인청년의 저항성이 내재된 미국 노동자 계급의 대중
음악임을 상기해야 한다)
* 랩(Rap) : 랩이라는 호칭은 1980년대에 미국에서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다이내믹한 춤과 음악의 총칭.
일상생활의 이야기나 느낀 생각을 리듬에 맞추어 서 이야기하는 랩과 기계체조나 판토마임과 흑인의 댄스 음악을
연결한 곡예적인 브레이크 댄스 등이 그 표현방식이다.
당초에는 1970년대 후반 뉴욕 할렘 가에 거주하는 흑인이나 스페인계 청소년들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문화운동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주로 전철이나 삶을 이야기 하는 랩, 랩에 맞춰 곡예 같은 춤을 추는 브레이크 댄스 등의 3가지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힙합은 ‘미국에서 만들어진 유일한 문화’라고 평하기도 하며, 1980년대에 미국 대중음악의 새로운 경향의
하나로 정착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에서 시작된 힙합은 전 세계의 신세대들을 중심으로 ‘힙합스타일’
이라고 하여 보다 자유스럽고 즉흥적인 형태의 패션, 음악, 댄스, 노래, 나아가 의식까지도 지배하였다.
* 콩쿨=콩쿠르(concours) : 음악, 미술, 영화 등의 분야에서 실력을 겨루기 위해 여는 경연 대회.
* 콘테스트(contest) : 용모, 기능, 실력 따위를 겨루기 위하여 열리는 대회.
* 콘서트(concert) : ① 음악회(음악을 연주하여 청중이 음악을 감상하게 하는 모임).
② 두 사람 이상이 음악을 연주하여 청중에게 들려주는 모임. ‘연주회’로 순화.
③ 서로 다른 성부(聲部)를 가진 세 명의 가수에 의한 중창(3중창).
* 리사이틀(recital) : <음악> 한 사람이 독창하거나 독주하는 음악회. ‘발표회’, ‘연주회’로 순화.
* 오케스트라(orchestra=관현악단) : 여러 가지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를 조화시켜 연주하는 음악 및 악단.
* 오페라(Opera) : 음악을 중심으로 한 종합무대예술.
대사에 음악을 붙인 것을 가수가 독창 또는 중창, 합창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극. 종합적인 예술로 음악, 문학, 미술,
무용이 두루 나온다. 배역은 목소리의 높이와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데, 보통 극의 중심적인 역은 소프라노와 테너인
경우가 많다.
* 뮤지컬(Musical) : 음악과 춤이 극의 풀롯 전개에 긴밀하게 짜 맞추어진 연극. 음악, 노래 무용을 결합시킨 것.
* 버라이어티쇼(variety show) : 노래, 곡예, 토막극 따위의 여러 가지를 섞어 공연하는 구경거리. ‘호화 쇼’로 순화.
* 테크노-팝(techno- +pop) : 컴퓨터 제어의 신시사이저나 리듬머신을 주요 악기로 하는 전자음악의 한 갈래로서의 팝 음악임.
차가운 신시사이저 선율과 활기찬 기계적 리듬을 동시에 갖고 있다.
대체로 4/4박자로 구성되며, 기계음의 균등한 리듬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며, 198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1990년대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전자 댄스 음악으로, 미국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의 중산층 젊은 흑인들이 유럽의
전자 댄스 음악에 매료되면서 탄생함 .
* 신시사이저(synthesizer) :<
* 엠피쓰리(MP3) : MP3란 음악 등 각종 오디오용 데이터를 저장한 컴퓨터 파일.
'MPEG-1 Audio Layer-3'의 약자로 지난 1995년 영상압축 표준인 MPEG기술 가운데 음성부분이 따로
떨어지면서 등장했다.
즉, MP3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기술로서, MPEG-1과 MPEG-2의 기능 사양 중 일부 이며, 음반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CD의 50배로 압축이 가능하다.
이렇게 뛰어난 음질과 압축률로 인해, TCP를 바탕으로 한 인터넷상에서 AOD와 인터넷 FM 라디오방송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MP3를 이용하여 압축된 양질의 많은 음악은 음반 CD를 PC의 CD롬 드라이브에 넣고 수록곡들을 추출 해내어
한번에 130곡에서 150곡까지 MP3로 압축시킨 다음 PC통신이나 인터넷상에 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나 PC통신 이용자들은 이 많은 곡들을 언제든지 다운로딩하여 멀티미디어 PC상에서 「윈앰프」나
「윈플레이」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높은 음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다.
MP3 플레이어란 이 기술을 채택, PC를 통해 내려 받은 음악을 담고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이다.
MP3 플레이어는 담뱃갑 정도 크기로 휴대하기가 편하며 CD나 테이프 없이도 디지털기기 하나에 수천 곡의
음악을 담아 다양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컴퓨터 이용자들이 음악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지 않은 채 다수의 음악 곡을
인코딩, 배포함으로써 음악 저작물의 불법복제 시비가 야기되었다.
그리하여 1997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는 'PC통신망을 통한 음악저작물의 이용에 대한 기준'을
새로 제정하였다.
* 팟캐스트(pod cast): 애플의 아이팟(Ipod)과 방송(Boradcasting)을 결합해 만든 신조어로,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PMP)사용자들에게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형태로 뉴스나 드라마,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라디오 프로와 달리 방송시간에 맞춰 들을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관심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아무 때나 들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맞춤형 개인 미디어 이다.
* 아이팟(iPod): 애플사에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터치식 휠을 사용하여 쉽게 재생 목록을 선택하고,
수천 곡을 스크롤하여 음악을 재생하며, 임의 재생과 한번 충전으로 최대 12시간 재생도 가능하다. 맥(Mac)이나
개인용 컴퓨터(PC)에 콤팩트디스크(CD)를 넣고 다양한 형식(MP3 또는 AAC 등)의 음악을 가져올 수 있으며,
애플 무 손실 인코더를 선택하면 원래 CD 음악의 절반 밖에 안 되는 크기에다 CD 수준의 고음질 사운드가
제공된다.
또한 FireWire 및 USB 2.0 지원으로 CD 한 장을 5초 만에 아이팟 으로 전송할 수 있다.
* 애플(Apple Inc.) :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과 론 웨인이 1976년에 설립한 미국의 컴퓨터 회사 이름.
최초로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 애플을 출시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를 열었다.
* 구글 (Google) : 인터넷 검색 엔진을 개발한 미국의 기업이름.
구글은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를 보유하고 있다.
* 스마트폰(Smart Phone) :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통신, PC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고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즉
휴대전화와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및 컴퓨터기술 등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개인휴대용
다목적 복합형 무선통신기기를 통칭하는 이름.
휴대전화와 개인용 휴대정보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시킨 복합형 무선통신기기를 통칭하는 이름이며,
휴대전화의 기능에 PDA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일반적인데, 음성통신은 물론 PC 연동, 개인정보관리, 무선 인터넷,
팩스 송수신 등이 가능하다.
* 아이폰(iPhone) : 미국 애플 회사에서 개발한 스마트폰의 제품명이며, 전화통화, 디지털 카메라, MP3플레이어 및 개인 컴퓨터
기술을 결합한, 손에 쥘 수 있는 다목적 휴대용 컴퓨터 기기이다.
* 갤럭시(Galaxy) : 은하, 화려한 대집단, (은하계 외의) 성운을 의미하는 단어로, 한국 삼성회사의 스마트폰 제품명.
*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칭) :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의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자 소자.
* LED(Light Emitting Diode의 약칭) :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경우에 생기는 파장이 가시영역에 속할 때 이를 활용하여 발광 효과
를 내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를 말하며,
기존 전구램프처럼 눈이 부시거나 엘러먼트가 단락되는 경우가 없으며, 소형으로 제작돼 각종 표시소자로 각종
전자제품류와 자동차, 계기판 등의 전자표시판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반 영구적인 수명(약 1백만시간)으로
그 활용도가 높다.
* PDP(Plasma Display Panel의 약칭) : 흔히 벽걸이로 불리며, 기체방전(플라즈마)와 형광체 결합에 의하여 방출되는 빛의 현상
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를 말한다.
'플라즈마'는 양전하(이온), 음전하(전자)가 거의 같은 양으로 혼재하여 자유입자에 가까운 행세를 하면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마디로 이온과 전자의 혼합물질이다. 진공상태에서 양전극과 음전극에 강한
전압을 걸면 그 안에 있는 가스가 활성화되었다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시 안정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면서 마치
오로라 같은 강하고 아름다운 빛을 발하게 된다.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정식 명칭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이며, 이미지·음악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를 휴대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장치.
MP3, DVD, 하드디스크 등을 장착하여 언제 어느 곳에서든지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다재다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이며, 3인치 내외의 액정 화면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또한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갖추고 있으며 휴대용 저장 장치나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등으로도 쓸 수 있다.
*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약칭) : `휴대용개인단말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개인의 할 일을 메모하거나 데이터를 축적하고, 자료를 검색하는 등의 개인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수첩의 기능 외에도, 전화, 무선인터넷, 팩시밀리기능 등의 통신을 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로,
휴대용 작은 컴퓨터를 말한다.
이제 막 보급화 단계에 들어서서 아직까진 문제가 있지만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차세대 PC시장의
대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 더빙(dubbing) : 방송영화 등의 녹음을 할 때, 대사만을 수록한 자기테이프 등의 녹음매체를 재생하여 여기에 필요한 효과음을
첨가해서 다른 녹음 매체에 녹음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
① 대사만 녹음된 테이프에 음악, 효과음 따위를 더하여 다시 녹음하는 일.
② 외국어로 된 영화의 대사를 해당 언어로 바꾸어 다시 녹음하는 일.
* 백업(back-up) : ① <운동, 오락> 야구 따위에서 수비자의 실책에 대비하여 그 뒤에 다른 수비자가 대비하는 일.
② <컴퓨터> 잘못된 조작 때문에 데이터나 정보파일이 손상되는 것에 대비하여 똑같은 파일을 여분으로
디스켓 따위에 복사해 두는 일. “복제”, “여벌”, “여벌받기”
* 멘티(mentee 신어) : 멘토(mentor)에게서 상담이나 조언을 받는 사람.
* 멘토(mentor미국·영국 |mentɔ:(r)) :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담 상대, 지도자, 스승, 선생의 의미로 쓰이는 말.
(경험 없는 사람에게 오랜 기간에 걸쳐 조언과 도움을 베풀어 주는 유경험자・선배)
* 멘토링(mentoring) : 경험과 지식이 많은 사람이 스승 역할을 하여 지도와 조언으로 그 대상자의 실력과 잠재력을 향상
시키는 것 또는 그러한 체계를 말한다.
* 기획(planning , 企劃) : 어떤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의 변화를 가져올 목적을 확인하고, 그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계획(plan)은 기획을 통해 산출된 결과를 의미하며, 사업계획(program)과 단위사업계획
(project)은 계획의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기획사(企劃社=매니지먼트사management社) : 어떤 일을 기획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는 회사.
* 매니저먼트(management) : (사업체・조직의) 경영[운영/관리]진
* 매니저(manager) : ①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등의 섭외나 교섭 또는 그 밖의 시중을 드는 사람.
② 회사나 호텔 따위의 경영자나 책임자이나 ‘감독’, ‘관리인’, ‘지배인’으로 순화.
* 프로젝트(project) : 연구나 사업. 또는 그 계획. ‘연구 과제’, ‘일감’으로 순화.
* 프로그래머(programmer) : ①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기획하는 사람.
②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 또는 프로그래밍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
* 프로듀싱(producing) : 연극, 영화, 방송, 음악 따위에서 제작의 모든 관리를 책임지는 일.
* 프로듀서(producer) : 방송프로그램의 제작자 겸 연출자로 연극, 영화, 방송 따위에서 작품의 선정과 인력관리·예산 사용 등
제작의 모든 관리를 책임지는 사람.
흔히 제작자(producer)와 연출자(director)라는 직종이 엄밀히 구별되지 않고, 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제작자 겸 연출자라는 뜻에서 PD라는 말이 생겨났고, ‘PD’가 곧 프로듀서의 약자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나,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 잘못이다.
일부 매스컴 학자나 방송실무자들은 PD를 기획연출자( planning director)) 혹은 프로그램연출자
(program director)의 약자로 보기도 하나,
우리나라는 PD의 기능으로 미루어보아 producer and director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성이 있다.
* 프로모터(promoter) : ① 예능인이나 프로 선수 따위의 흥행을 기획하는 사람. 광고대행사내의 PR부나 SP부 등에서 일하는
직종이다. 구체적으로는 PR, 이벤트, 기업홍보, 옥외매체, 사외보 발행 등을 담당한다.
미디어 매니저 (Media Manager) TV, 라디오의 시간대 프로를 구입하거나 신문, 잡지 등의 지면을
확보하여 AE를 통해 광고주에게 공급하며 매체기획자와 함께 광고주를 위한 가장 좋은 미디어를 잡는
직종이다.
복싱에 있어서 프로모터란 복싱 선수의 상품적 가치를 판단하여 그 복싱 선수로 많은 수입금을 올리기
위해서 지지하거나 후원, 홍보하는 흥행주를 말하며, 가수나 탤런트로 치면 기획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
② <생물> 촉진유전자(아르엔에이(RNA) 중합효소가 결합하는 디엔에이(DNA)가닥의 한 부위.
* 프로모션(promotion) : '진흥, 촉진' 등의 뜻.
경영이나 선전, 이벤트 등의 기획에서 진행이나 그에 따르는 영업활동을 행하는 일.
선전 및 판촉 활동. 라디오·TV의 전파 매체, 신문·잡지 매개체, 점포를 통해 소속탤런트의 음악·예술성을
엔드 유저에게 선전 하는 것.
* 프로덕션(production) : ① 소규모의 영화사 또는 영화제작소. 하나의 작품이나 프로그램을 제작 또는 방송하기 위해 편성된
스태프 또는 그 회사를 말한다.
②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단일 프로그램 또는 광고(텔레비전·라디오 프로그램이나 광고의 편성,
배역진 선정, 세트의 설계, 총연습, 녹화 등을 가리킨다)
③ ㉠ 작은 디자인 회사(외국의 경우는 주로 광고회사의 외주(外住)처로 되어 있다)
㉡ CF를 제작하는 회사를 말한다.
④ 광고제작 중 주로인쇄공정과 관련되는 작업을 말한다.
* 동영상(動映像,moving picture) : <컴퓨터> 컴퓨터로 움직이는 물체의 영상을 텔레비전(TV)의 화면처럼 만든 것을 말한다.
MPEG, MOV, RealVideo, Avi등의 형식이 있다.
컴퓨터로 움직이는 물체의 영상을 TV의 화면처럼 만든 것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특수한 하드웨어를
이용하며, 멀티미디어의 핵심기술이다.
* 곰플레이어(GOM Player) : 곰플레이어(Gretech Online Movie Player)는 그래텍 회사에서 제작한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
프리웨어 프로그램을 말함.
* 댓 글(=답 글) : 인터넷에 오른 원문에 대하여 짤막하게 답하여 올리는 글(댓글을 달다, 댓글을 올리다)
* 악플(惡+reply) : 다른 사람이 올린 글에 대하여 비방하거나 험담하는 내용을 담아서 올린 댓글.
* 안티(anti) : ‘반대하는, 좋아하지 않는’이라는 뜻. 반모더니즘(anti-modernism)과 같은 용어에 쓰인다.
안티는 비방이 아닌 비평이다.
비방은 남을 나쁘게 말하는 것이지만,, 비평은 좋은 점과 나쁜 점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안티는무조건 '비방'이 아닌 특정한 어떤 것에 반대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게 더 나을 것이며, 특정인이나
특정 단체의 가치관과 활동·행적 등에 대해서 문제점과 비판점을 타인에게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 이다.
여기에서 안티(anti)란 반대의 뜻이나 대립되는 의견을 말하는 안티테제 (antithese)의 준말이다.
주로 대중매체에서 다루지 못하는 정보를 다루며, 건전한 비판을 통해 대상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나친 욕설과 유언비어가 난무하며, 사이버 전쟁으로까지 이어지는 단점도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싸움을
통해 '안티사이트를 반대하는 안티사이트'까지 생겨 나기도 한다.
대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개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의 안티사이트, 소비자운동의 성격을 지닌 기업 대상 안티사이트,
각종 사회적 이슈에 따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안티사이트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익명성이 보장되므로 상대방이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히기도 하는데, 2001년 7월 정보통신부 에서 '정보통신망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발표하여 법적인 규제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르면 허위의 사실로 명예를 훼손한 경우에는 최고 징역 7년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채팅(chatting) : <컴퓨터> 전자 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일.
* 유저(user) :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
* 네티즌(netizen) : 누리꾼(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 ‘네트워크(network)’와 ‘시민’을 의미하는 ‘시티즌(citizen)’의
합성어다.
* 트위터(twitter) : 트위터는 140자 이내 단문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온라인 공간의 사이트를 말한다.
즉, twitter(지저귀다)의 뜻 그대로 재잘거리듯이 일상의 작은 얘기들을 그때그때 짧게 올릴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다.
사람들이 의견, 생각, 경험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로그, 미니홈피, 메신저 등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SNS)라 하는데, 트위터는 블로그의 인터페이스에 미니홈피의 '친구맺기' 기능, 메신저의
신속성을 한데 모아놓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트위터의 주요 기능은 관심 있는 상대방을 뒤따르는 '팔로우(follow)'라는 기능이다. 자기와 비슷한 생각을 지닌
사람을 '팔로워(follower)'로 등록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나 생각, 취미, 관심사 등을 공유한다.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아도 '팔로워'로 등록할 수 있어 관심 있는 유명 인사를 등록해 놓고 그들의 동정을 파악하거나
격려 메시지를 보내기도 한다.
웹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휴대전화의 문자메시지(SMS)나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글을 올리거나 받아볼 수 있으며, 댓글을 달거나 특정 글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퍼뜨릴 수도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가 어디에 있건 뭘 하고 있건, 모바일로 자기가 남기고
싶거나 얘기하고 싶은 것들은 트위터에 남겨 다른 사람들과 대화도 할 수 있다.
즉, 트위터는 활용 여부에 따라 단순 일기장, 속보 전달, 메모장, 마케팅 도구,펜팔 등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twitter.com'이며, 사용자의 트위터 주소는 '@아이디'로 표기된다.
트위터의 매력은 실시간으로 정보가 빠르게 공유되고 확산된다는 점에서, 블로그보다 쉬운 인터페이스에 미니홈피
보다 즉각적이며 메신저보다 빠른 확산력이 있다는 것이다.
* [트위터의 용어]
① 트윗[Tweet:(작은 새의)‘지저귐’, ‘짹짹 지저귀다’의 뜻] : 트위터에 쓰는 글, 혹은 트위터에 글을 쓰는 행위를 뜻한다.
글은 최대 140자로 제한되어 있으며 자신을 팔로우 한 사람들에게 노출되어진다.
② 팔로우(Follow:따르다·뒤따라가다·추종한다는 뜻) : 트위터에서‘해당 유저의 글(트윗)을 보겠다’라고
표시 하는 것(구독신청)을 말하며,
팔로우를 하면 상대방이 올린 글 들을 내 트위터 홈(타임라인)에서 볼 수는 있으나 글을 쓸 수는 없다.
상대방은 내가 쓴 글을 볼 수 없고 서로 대화 글을 나눌 수가 없다.
그러나 상대방도 나를 팔로우 하면 서로의 글을 볼 수 있고 대화도 나눌 수 있는데, 이처럼 서로 팔로우
하는 것을 ‘맞팔’이라고 한다.(하루에 팔로우가 가능한 숫자는 1000명이다)
상대방의 트윗을 보지 않겠다(구독을 하지 않겠다)라고 표시하는 것, 즉 내가 추가한 사람이 맘에 안 들면
팔로우 된 사람을 삭제하는 것은 ‘언팔로우(unfollow)’라고 한다.
상대방이 언팔로우 한 것은 표시가 되진 않지만 알게 되면 서운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언팔로우의 줄임말은 ‘언팔’이며, 상대방이 내 트위터 계정을 언팔 했을 경우 내 쪽에서도 언팔 하는 것은
‘맞언팔’이라 고 한다.
③ 팔로잉(follwing:따라간다·추종한다의 뜻) : 나를 상대방에게 친구로 추가하는 것을 말하며, 트위터에서는 ‘구독한다’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초기에는 팔로잉 숫자가 2000명까지 제한이 없지만, 2001명부터는 팔로워 숫자가 팔로잉 숫자의 90% 이상이
되어야 팔로잉 숫자를 추가로 늘릴 수 있다.
④ 팔로워(follower:추종자·팬) : 나를 친구로 추가한 사람을 말하며, 트위터에서는 ‘구독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나의 팔로워가 1000 명이라는 것은 나의 글을 1000 명이 본다는 말이고, 나의 취향을 1000명에게 알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⑤ 타임라인(timeline) : 트위터에서 팔로잉한 사람들의 트윗이 실시간 순으로 쫙 보여지는 페이지를 말한다.
⑥ RT(리트윗(Re-Tweet:다시지저귀다의 뜻) : 다른 사람이 내가 공감할만한 트윗을 올렸을 때 자신의 팔로워들에게
재 전달하여 내용을 공유하는 것을 말하며, 보통 RT(알티)라고 표현 한다.
내 의견을 첨부하려면 (RT @id 원문) 형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버튼 하나로 글이나 사진, 동영상들을 일시에 퍼트릴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기능이다)
⑦ 멘션(mention: ~에 대하여 언급하다. ~에게 말하다) : 해당 ID 유저를 지목해서 말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RM(리플멘션)이라고도 한다.
‘@ID’를 입력해야만 가능하고, 동시에 다수하고 하는 것을 ‘떼멘’이라고 하며. 비공개성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팔로워들에게 노출되어 질 수 있다.
⑧ DM(Direct Message=쪽지) : 트위터 상에서 누군가하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기능으로 서로
팔로가 된 상태에서만 트윗을 주고받을 수 있다.
DM은 둘만 읽을 수 있는 ‘비공개답글’로서 다른 팔로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⑨ 블록,블락(Block) : 특정한 트위터 유저를 아예 차단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⑩ 해쉬태그(Hashtag) : 특정 주제에 대한 글을 한꺼번에 보기 좋게 만들어주는 기능으로, 행사나 이벤트에서 어떤
주제에 대하여 트위터 유저들과 토론하고 싶을 때 한 사람이 글을 주제별로 분류할 때 사용한다.
형식은 영어 키워드의 경우 #뒤에 단어만 붙여주면 되지만, 한글 키워드의 경우 #뒤의 글 끝에 _ (언더바)를
꼭 붙여야 인식이 된다.
⑪ 리스트(list): 자신만의 트위터 사용자 목록을 만드는 기능을 말한다. 한 개의 리스트에 500개의 트위터를 목록 할 수
있으며, 20개까지 만들 수 있다.
* SNS(Soical Netwok Service) : 자료 소통을 위한 사회적인 연결망을 의미하며, 우리말로는 ‘누리소통망’으로 지칭한다.
각 사이트의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등도 넓게 생각하면 SNS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최근의 SNS는
그 개념이 좀 다르다.
기존의 SNS 즉, 기존의 카페나 블로그는 내 컴퓨터에 내가 글을 올리면 다른 사람이 내 홈을 방문해야만 그 글을
볼 수 있었는데 반해 지금의 SNS는 내 홈에서 또 내 스마트폰에서 친구의 글과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은 주로 이동전화 스마트폰에서 글을 간단하게 작성되며 다른 스마트폰에서 즉시 볼 수 있고 소통이
가능하다.
SNS는 다수의 사용자끼리 서로 연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인들끼리는 인맥 관계 강화로,
업체는 광고로, 연예인은 팬들과, 한 나라의 수장은 국민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이용한다.
현재 이용되는 SNS에는 Facebook, 트위터, 마이스페이스, 링크드인, 비보, H15, XING 등이 있다.
* 유튜브(Youtube) : 미국의 인기 있는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이며. 사용자가 비디오 클립을 업로드하고, 동영상을 보거나 공유
할 수 있다.
2005년 2월, PayPal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Chad Meredith Hurley), 스티브 첸 (Steve ShihChen), 자웨드 카림
(Jawed Karim)이 공동으로 창립했다. 사이트 컨텐츠의 대부분은 영화와 TV 클립, 뮤직 비디오이고,
아마추어들이 제작한 것도 있다. 2006년 10월, 구글이 주식 교환을 통해 16억 5,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 카페(프랑스어 café) : 커피나 음료, 술 또는 가벼운 서양 음식을 파는 집. 술집’, 찻집’으로 순화. 프랑스어(語)로 커피(coffee)를
카페라 하는데, 이것이 ‘커피를 파는 집’이라는 뜻으로 변한 것이다. 파리의 카페 중에는 샹송을 들려주는 곳도 있다.
영국에서는 17∼18세기 무렵 런던을 중심으로 3,000여 개의 커피숍이 생겨나 문인·정객들이 클럽으로 이용하는
일종의 사교장 구실을 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영국에서는 펍(pub:public house), 즉 술집(bar)으로 변모하여 대중들의 사교장화 하고 있다.
현재 영국에서 말하는 카페는 소규모 음식점으로 가벼운 식사도 할 수 있는 간편한 식당을 뜻하는데, 다소 격식 있는
레스토랑과는 구별된다.
커피를 마시며 담소하는 공간으로 인식된 카페는 동양에 전해지면서 상업적인 의도에 따라 다소 의미가 달라진다.
한국의 경우 처음에는 서양풍의 고급스런 커피숍이나 조그만 바 형태의 술집을 카페라고 불렀다. 그 뒤 여급(女給)이
있는 술집으로 변모하였으며, 커피 등 차를 파는 집은 다방 또는 커피숍이라고 하였다.
한편, 인터넷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사이버 공간 속의 동호인 모임이나 그 공간 자체를 한국에서는 카페 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슷한 관심과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사이버 상에서 만나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개진한다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포털 사이트에는 수만 개의 카페가 개설되어 있다.
* 블로그(blog]): <컴퓨터> 보통사람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 사이트.
블로그란 웹(web)과, 항해 일지를 뜻하는 로그(log)의 합성어를 줄인 신조어로, 웹사이트 주인인 블로거 (blogger)가
발행인이자 편집국장이며 기자이기도 한 인터넷상의 일인 언론사이다.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게시판 형식의 사이트에 자신의 일상적인 일기에서부터 사회적인 이슈에까지 개인이 자유롭게 글과 사진, 동영상 등을
올려 디지털논객 온라인 저널리스트로서 미디어 커뮤니티를 이끌어 간다.
* 미디어(media):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대중 매체’,‘매개체’(媒介體), ‘매체(媒體)’로 순화.
* 멀티미디어(multimedia]): 문자와 화상, 음성, 애니메이션 등 각기 다른 시청각 미디어를 한 대의 컴퓨터로 통합하는
컴퓨터 시스템. 종전의 컴퓨터 기능에 그래픽과 음성 정보 처리 기능을 덧붙여 대화형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멀티미디어는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고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를 쉽게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뉴미디어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는 화상과 음성 정보를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어 정보 이용의 효율성이 높고,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초월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이므로 사용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화상과 음성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한꺼번에 처리해야 하는 멀티미디어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루므로 콤팩트디스크나
광디스크 등 용량이 큰 기억 매체를 써야 한다. 영화와 관련한 가장 대중적인 멀티미디어로는 DVD가 대표적이다.
* 하드웨어(hardware) : <컴퓨터>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 장치의 몸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크게 본체와 주변 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본체는 중앙 처리 장치와 주기억 장치로, 주변 장치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
보조 기억 장치로 다시 구분된다.
* 소프트웨어(software) : <컴퓨터>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와 관련된 문서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컴퓨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프로그램과, 문제 해결에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눈다.
* 콘텐츠(contents): <컴퓨터>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 유ㆍ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ㆍ부호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ㆍ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ㆍ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른다.
* 세그먼트(segment):서로 구분되는 기억 장치의 연속된 한 영역[한 몸통에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을 때의
한 부분(구획)을 말함]
즉, 어떤 프로그램이 너무 커서 한 번에 주기억 장치에 올릴 수 없어 갈아넣기 기법을 사용하여 쪼개었을 때,
나뉜 각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
* 데이터(data) : 이론을 세우는데 기초와 바탕이 되는 재료, 자료, 논거(論據)라는 뜻인 datum의 복수형이다.
컴퓨터 용어로는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뜻한다.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호 ·숫자 ·문자를 말하며, 그 자체는
단순한 사실에 불과하지만, 컴퓨터에 의해서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되어 특정한 목적에 소용되는 정보를
만들어낸다.
* 데이터베이스(data base) : <컴퓨터> 여러 가지 업무에 공동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저장한 집합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같은 데이터가 중복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으며 업무가 확대되어도
새로 파일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논리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으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화를 꾀한 것이다.
즉,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 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 마이크로(micro) : 아주 작은 것, 극소의 것을 뜻함. 여러 가지 단위 앞에 붙이는 것으로, 100만분의 1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는 1m 길이의 100만분의 1 길이를 뜻한다. 마이크로초(μs)· 마이크로그램 (μg)· 마이크로암페어
(μA) 등과 같이 단위의 이름 앞에 붙여서 사용한다.
*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 <컴퓨터> 연산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 기능을 하나의 칩 속에 집적하여 연산과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소자(素子).
한 개의 대규모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며,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로 작동하며,
마이크로컴퓨터를 비롯하여 프린터, 단말기, 디스크 및 각종 전자 제품 따위에 쓴다.
* 드라이브(drive) : ① 컴퓨터에서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놓은 공간.
② 기분 전환을 위하여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일.
③ 테니스ㆍ탁구ㆍ배드민턴ㆍ골프 따위에서, 공을 깎아서 세게 치는 일.
④ 어느 한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이나 세력을 끌고 가거나 집중하는 일.
* 마이크로드라이브(microdrive) : 미국 IBM사가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PC) 카드형의 초소형 하드 디스크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저장장치이다
*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 <컴퓨터> 롬(ROM)처럼 전원이 끊겨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면서 입력과 수정이
쉽도록 개발한, 빠른 속도의 기억 장치.
* 플로피디스크(floppy disc): <컴퓨터> 원판 모양의 자성(磁性) 매체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컴퓨터 외부 기억 매체의 하나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크의 일종.
한 면만을 사용하는데 그 일면에는 77개의 트랙을 가지고 있으며 각 트랙마다 기억용량은 고정되어 있다.
규격에 따라 8인치, 5.25인치, 3.5인치 따위로 구분하며, 연질 플라스틱제로 종이 재킷(jacket)에 들어 있다.
*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c): <물리> 광신호로 기록된 음악이나 영상 따위의 정보를 재생하는 새로운 방식의 재생기기이며,
일반적으로 시디(CD)를 말한다.
디스크의 마모가 거의 없고, 수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으며, 정보 재생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름 12cm의 수지계(樹脂系) 원반으로 보통 레코드의 3분의 1의 크기 이다. 시디(CD).
* 클라이언트(Client): <컴퓨터> 서버 시스템과 연결하여 주된 작업이나 정보를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 결과를 돌려받는
컴퓨터 시스템.
원래는 (전문가의 서비스를 받는)의뢰인, 고객이라는 의미이나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정보를 열람 하거나
특정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정보를 공급하는 컴퓨터를 말하는 서버의
반대개념으로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서버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관련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둘 또는 그 이상의 상호 협력적인 처리
환경에서 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분산 컴퓨팅을 의미한다.
서버는 망을 통해서 요청을 받으며 자신의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 요청자에게 돌려준다.
서버에게 요청을 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실행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가 된다.
*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일상 업무에 많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도표 형태의 양식으로 계산하는 사무업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표 계산 프로그램이다.
경리, 회계업무에 사용하던 계산용지를 컴퓨터로 옮긴 것으로 최근에는 데이터베이스, 그래프 기능까지 추가
되었다.
구성단위는 셀(cell), 열, 행, 영역 등 4가지이다. 가로 행과 세로 행이 교차하면서 셀이라는 공간이 구성되는데
이 셀은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이다. 예를 들면 생산비나 판매물품 수 같은 것이 셀에 표시되게 되어 있다.
처리하고자 하는 숫자와 데이터를 셀에 기입하고 이 셀들을 수학방정식에 연결하면 셀 내용이 바뀌면서
그와 연결된 셀 내용들이 바뀌게 된다.
* 인플랜트(inplant) : 데이터 전송분야에서, 통신회선을 제공하는 사업자로부터 회선을 대여 받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망을
구성 할 수 있는 범위 안의 구역.
* 필터링(filtering) : <컴퓨터> 스팸메일과 같이 정보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를 걸러 내는 일. 또는 그런 기능이나 과정.
* 엑세스(Access): ① <장소로의> 입장(입장하다, 들어가다, 이용하다) ․ 접근(접근하다, 접촉하다)
② <컴퓨터>접속(데이터에 접속하다)
* 커서(cursor):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
* 스크롤(scroll): 컴퓨터 따위에서,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것.
화면에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한 화면 분량을 넘으면 이미 화면에 표현된 내용 전체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인다.
* 드래그(drag): <컴퓨터> 끌기(마우스의 버튼을 누른 채 화면위의 커서를 어떤 점에서 다른 점까지 움직인 후 버튼을 떼는 동작)
* 파일(file) : 서류철 즉, 정보처리를 위하여 하나의 단위로 취급되는 관련 데이터를 수록하고 있는 집합체.
컴퓨터에서 데이터의 모임으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것을 말한다.
즉 어떤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되는 데이터의 집합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문서나 소리, 그림, 동화상 등의 관련
자료를 모아놓은 것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의 정보 집합을 다른 정보의 집합과 구분 할 수 있게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의 보조 기억 장치에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저장되며 고유의 이름이 할당되어 있다.
명령어, 숫자, 단어, 화상 등의 혼합체를 사용자가 검색, 변경, 삭제, 보존 또는 출력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는
분단되어 디스크 곳곳에 있는 기억 장소에 작은 세그먼트로 저장되기도 하지만, 컴퓨터의 운영 체계는 파일 읽기가
요구되었을 때 분단된 파일의 세그먼트 하나하나를 찾아내는 작업을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용도, 내용 또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크게 프로그램파일 과 데이터파일로 분류된다.
데이터파일은 데이터베이스파일, 문서처리파일, 스프레드시트파일, 화상파일, 음성파일, 영상파일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또 텍스트파일과 2진파일로 분류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한 파일 중에서 원시프로그램파일과 문서처리파일은 텍스트파일이고, 그 밖의 모든 파일은 2진파일이다
* 폴더(folder) : 컴퓨터에서 파일을 알아보기 쉽게 저장하는 곳. 즉 서로 관련 있는 파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서류함과 같은
기능을 한다.
* 서버(server) : ①일반적으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서버라고 부르며 다른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하기도 한다.
② 배구 경기에서 공을 인플레이(in play) 상태로 하기 위해 엔드라인 (endline) 후방에서 네트를 넘겨 상대편
코트에 넣는 선수, 즉 서브를 하는 플레이어를 말한다..
* 웹[web]: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동영상이나 음성 따위의 각종 멀티미디어(다중매체, 복합매체) 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이르는 말.
월드와이드웹을 직역하면 세계적으로 펼쳐 있는 거미줄이라는 뜻을 말하며,
이런 표현을 쓴 이유는 인터넷 이 마치 거미줄처럼 수많은 네트웍 들의 연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월드와이드웹은 줄여서 WWW, W3 또는 Web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웹서버(web server) :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웹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를 하려면 웹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대표적인 웹 서버로는 아파치(Apache)와
인터넷정보서버 (IIS), 엔터프라이즈서버 등이 있다.
이 웹 서버들은 이메일, 파일 전송규약(FTP) 파일의 내려받기, 홈 페이지 구축, 전자 상거래 등에 필요한 인터넷 및
인트라넷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의 패키지의 일부로 나온다.
* 웹 페이지(web page) : 인터넷 상의 웹 문서들을 총칭한 말로 이 문서 속에는 다양한 텍스트는 물론 그림, 소리, 동영상 파일도
내장할 수 있다. 다른 인터넷 상의 문서와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강조된 (highlighted) 글자나 그림 등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주로 밑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파란색의 바탕선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 브라우저(brower) : <컴퓨터>) 인터넷의 자료들을 읽을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
인터넷의 가장 대중적인 서비스인 월드와이드웹(www)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인터넷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에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도 한다. 즉, 웹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라고도 할 수 있다.
* 웹브라우저(web browser) :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브라우저 혹은 터넷 브라우저
라고 부르기도 한다.
브라우저란 훑어보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단순히 문서의 내용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검색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URL)의 목록 제공, 자주 방문하는 URL 기억 및 관리,
웹 페이지의 저장 및 인쇄, 전자우편이나 뉴스그룹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HTML 문서편집 등이 있다.
* 웹사이트(web site) :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그것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집합체를 말한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웹 서버에 접속한 다음 특정 웹 사이트에 들어가 정보를 검색한다.
인터넷에 들어가는 관문으로 간략히 사이트(site)라고도 하며, 흔히 홈페이지 주소로 되어 있다.
주제별로 원하는 사이트 목록들을 나열한 사이트들이 많은데, 이를 인터넷 포털사이트(portal site) 라고 한다.
포털사이트들은 정보검색 서비스나 커뮤니티와 같이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정 방문객을 확보하여 인터넷 비즈니스로 연결된다.
대표적인 포털사이트로는 정보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야후와 라이코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는 네티앙·아이팝콘 등이
있다.
* 사이트(site) : 웹사이트(web site)의 줄임말로, 인터넷에 들어가는 관문이며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정보가 필요 할 때
언제든지 그 것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웹서버에 정보를 저장해놓은 집합체'를 말함.
* 포털사이트(portal site) : 포털(portal)이라는 단어는 본래“정문” 또는“입구”를 뜻하는 것이며, 인터넷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
할 때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사이트를 말함.
포털 사이트란 집안으로 들어갈때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현관처럼 네티즌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늘 거치도록 만든 사이트.
즉, 인터넷에 접속해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켰을 때 처음 나타나는 웹사이트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모아 놓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포털사이트는 네티즌들이 굳이 특정한 서비스를 위해 다른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마련하고
있다.
포털 사이트로 설계된 페이지에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속하도록 분야별 연결 주소나 최신 뉴스, 일기 예보,
스포츠 정보 등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화제가 게재되어 있다.
정보를 통틀어서 취급하는 종합적인 사이트와 음악, 여행 정보 등 목적별로 특화된 목적(destination) 사이트가 있다.
업체들이 포털 사이트를 선점하려는 것은 '접속횟수=광고=돈'이라는 등식 때문. 최대한 많은 네티즌 들이 자사 사이트를
통과하도록 해 광고시장을 선점하고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 홈페이지(HomePage): 홈페이지 [homepage] : 개인이나 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사소통을 하기위한
목적으로 제작한 월드와이드웹(WWW)의 초기화면 또는 WWW가 제공하는 화면의 총칭.
웹 사용자에게 홈페이지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나 인터넷익스플로러(=인터넷탐색도우미)와 같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켰을 때 나타나는 웹 페이지를 말한다.
웹사이트 개발자의 입장에서 홈페이지는 사용자가 웹상에서 어떤 사이트를 선택했을 때 제일 먼저 보여지는 웹 페이지를
말한다.
보통 웹 사이트의 주소는 홈페이지의 주소를 의미한다.
도메인 네임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한국인터넷정보센터에서 등록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도메인 네임은 그 자체로 상업적인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홈페이지 제작 도구와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기업에서 홈페이지는 그 회사가 인터넷을 통하여 전 세계인과 만날 수 있는 만남의 장이며, 제품전시실도 되며 전 세계인을
위하여 가상세계에 설치한 사무실이기도 하다.
개인이 만들어 놓은 홈페이지 역시 수억 명의 네티즌(netizen)과 교감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창구라 할 수 있다.
첫댓글 어려운 용어를 정리하겠다며,
일과 후 새벽에 몇 날 며칠을 컴퓨터에 앉아 있는 남편 때문에 컴퓨터 부근엔 얼씬도 못했다~
어쨓튼 쨈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몰라 올려봤다~ 질린다...질려... 으흐 나 이런 사람하고 산다~
남편이 금란이를 완전 잠수시키셨구먼~
왕 대박이다
처음엔 금란이가 이어려운걸 어찌다올렸노?놀라고
많은 분량에~~으~~악 하고
남편이 올렸다니
역시~~
그려 ~~수고 많으셨구먼 모르는 용어 필요 할때 찿아볼께
그렇게 바쁜 시간을 쪼개서 이런 일을 하시다니 대단하신 분이네.
글만 봐도 어려운 것 같아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어보려고 해.
나 같으면 절대 못할 일이야.
뭐여?
뭐긴? 보면 몰라?
이 많은 용어를 어떻게 정리 했데 대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