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구불교대학
 
 
 
카페 게시글
• 불교문화 / 사찰소개 스크랩 사찰 구조의ㅡ각 명호와 명칭ㅡ기초상식
法朗(성대현) 추천 0 조회 145 09.10.26 09:47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사찰의 구조***

 

  1) 사찰의 의미***

     가람 : 많은 대중들이 모여 살며 집회와 행사를 하는 곳

     도량 : 부처님이 상주하며 불법의 도를 선양하고 구현하는 곳

     정사 : 깨끗한 집

 

     세계 최초의 사찰 : 인도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부처님께 기증한

     죽림정사

     우리나라 최초의 사찰 : 고구려 소수림왕때 지어진 이불란사와 초문사

 

  2) 전통사찰의 구조

    (1) 전각 - 불보살이 모셔진 곳을 , 그 외에는 이라 함.

       대웅전

           석가모니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

            ‘법력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

            협시(양옆)보살 :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또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삼세불이나 삼신불을 모시기도 함.

            삼세불은 현세의 석가모니불, 과거의 연등불인 제화갈라보살,

            미래불인 미륵보살

            삼신불인 경우 석가모니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봉안

             (이럴 경우 격을 높여 대웅보전이라 부른다.)

 

      대적광전- 화엄계통의 사찰로 화엄전, 비로전이라고도 함. 

           본존불은 비로자나불(연화장세계의 교주)

           삼신불 : 법신불인 비로자나불, 보신불인 아미타불,

                     화신불인 석가모니불

 

           선종사찰 :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③ 극락전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

           아미타불은 본래 임금의 지위와 부귀를 버리고 출가한 법장비구로서,

           보살이 닦는 온갖 행을 다 닦아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48대원을 세워

           마침내 아미타불이 되어 극락정토를 주재하게 되었슴.  

           일명 무량수전, 미타전이라고 함.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

           아미타불의 좌우협시보살은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 

              또는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

 

      미륵전

           미래의 부처이신 미륵불을 모신 곳.

           일명 용화전(미륵불에 의해 새로이 펼쳐질 불국정토

                  '용화세계'를 상징) 

         또는 자씨전('미륵'의 한문 의역인 '자씨'를 붙여 자씨전) 

                     금산사 미륵전이 유명

 

      ⑤ 원통전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

           관세음보살은 모든 곳에 두루 원융통(圓融通)을 갖추고 중생의

                  고뇌를 소멸해준다. 

           그 절의 주불전일 때 원통전, 부불전일 때 관음전

         낙산사 원통전이 유명

 

      약사전

           약사유리광여래(약사여래)를 모신 법당.

           약사여래는 현세중생의 모든 재난과 질병을 없애주고  

           고통에서 구제해주는 현세이익적인 보살 

           일명 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

 

      팔상전

           석가모니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을 봉안한 곳

           일명 영산전.주불은 석가모니 부처님,

           좌우협시로 제화갈라보살 미륵보살

 

      나한전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곳

           석가모니부처님 주불, 좌우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협시,

           16나한, 500나한 등 봉안

           일명, 영산전 또는 응진전(진리와 합치한 분들을 모셨다는 의미) 

 

      명부전

           지장보살을 봉안한 경우 지장전, 시왕을 모신 경우 시왕전.

 

      ⑩ 대장전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축조한 건물

           경북 예천의 용문사 대장전과 전북 김제의 금산사 대장전

 

      적멸보궁

       석가모니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불전. 내부에는 불상이나

       보살상을 모시지 않고 비어 있슴. 

 

       5대적멸보궁 : 영축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설악산 봉정암

       ⑫ 조사당

            한 종파를 세운 스님이나 후세에 존경받는 큰스님, 그리고

            창건자나 역대 주지스님의 영정 또는 위패를 모신 당우

            국사전 - 송광사 국사전 

 

        삼성각

            우리 고유의 토속신들 즉, 산신, 독성, 칠성 을 모심.세 분을 

             분리해서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을 지어 따로 모시기도 함.

 

      범종각

          법구인 범종을 보호하는 건물            

      누각

          만세루, 보제루 등의 명칭을 씀.

 

     (2) 문

        ① 일주문

           사찰에 들어갈 때 제일 처음 만나는 문. 일심을 뜻함

           사바세계에서 정토세계로, 이 언덕에서 저언덕으로 가는 첫째 관문.

           이 문을 경계로 문 밖을 속계라 하고, 문 안을 진계라 함.

 

        천왕문

           천왕문은 불법을 지켜주는 외호신인 사천왕을 봉안한 건물

 

           동방 지국천왕 : 푸른색, 오른손에는 칼(보검)을 쥐고있음

           남방 증장천왕 : 붉은색 몸에 노한 눈빛, 오른손에, 왼손을

                                    여의주를 쥐고있음

           서방 광목천왕 : 몸은 흰색. 손에는 삼지창과 보탑을 들고있음

           북방 다문천왕 : 몸은 흑색, 손에는 비파를 들고 비파줄을 튕기는 모습.

 

           천왕문의 좌우는 금강역사(밀적금강, 나라연금강)가 지키고 있음.

           천왕문 대문에 금강역사를 그려놓거나, 금강문이라는

           별도의 문을 갖춘 곳 있음

 

        불이문(해탈문)

           천왕문을 지나 불이의 경지를 상징하는 불이문. 일명 해탈문


   (3) 요사

        사찰 경내의 전각과 문을 제외한 문을 제외한, 스님들이 생활하는 건물.

        심검당 : 지혜의 칼을 찾아 무명의 풀을 벤다

        적묵당 : 말 없이 명상한다

        해행당,수선당 : 올바른 행과 참선하는 장소

        설선당 : 참선과 강설의 의미가 복합

 

   (4)

        산스크리트로 스투파.

        중국에서는 전탑, 우리나라는 석탑, 일본에서는 목탑이 발달

        부처님의 진신사리 또는 부처님 말씀을 보존하고 있는 곳으로

        불자들의 숭배대상이기도 하다 탑은 초기 불교에서는

       사리탑으로 가장 중요한 예경신앙의 대상

 

        금강계단 : 수계의식을 집행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통도사의 금강계단이 가장 대표적.

        석등 : 경내를 밝히는 등

        부도 : 고승의 사리를 모신 묘탑.


   3) 법당 안 구조 ***

    (1) 상단 : 법당의 앞쪽 정면에 설치한 단. 불보살단 또는 불단 수미단

    (2) 중단 : 호법신장을 모신 단. 신장단 또는 신중단

    (3) 하단 : 영가의 위패를 모신 단상. 하단.

 

불상과 수인***

 

    (1) 여래상 : 부처님상. 32상80종호(상이 원만하고 육계와 백호 등),

                       법의를 입고 장엄구는 없음

        석가모니불상 : 항마촉지인,  선정인, 전법륜인, 여원인.

                                    시무외인, 지권인 등의 수인.

                          가사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편단우견의

                          협시로는 문수보살,보현보살 또는 가섭존자,아난존자

        아미타불상 : 수인은 구품인. 가사를 양 어깨에 걸친 통견의 모습

                        좌우 협시는 관세음보살이나 대세지보살(또는 지장보살)

        비로자나불상 : 지권인. 협시로는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미륵불상 : 대부분 전각 밖에 따로 모심. 시무외인 또는 여원인

        약사여래상 : 왼손에는 약병이나 약함, 오른손은 시무외인

                        협시는 일광변조 소재보살과 월광변조 식재보살

 

    (2) 보살상 : 머리에 보관, 천의를 걸치고, 장신구로 장엄한 온화한 모습

                손에 든 물건이나 보관의 형태에 따라 구분

        관세음보살상 : 자비를 상징. 보관의 중앙에 아미타불의 화현

                          십일면 또는 천수천안의 모습

        문수보살상 : 지혜를 상징. 주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사자를 타고 있음

        보현보살 : 대자비의 실천행을 상징. 코끼리를 타거나 연화대에

                             올라서 있음

        지장보살 : 대비원력을 상징.삭발한 머리에 두건을 둘렀으며

                             육환장을 들고있음

 

    (3) 천부신장상 : 본래 인도 재래의 신들로서,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교를 지켜주는 호법신장이 된 신들. 

                                  인왕상, 사천왕상, 제석천상 등이 있음

 

    (4) 나한상과 조사상

        - 나한상:부처님의 제자 중 훌륭한 제자들을 조성한 것 :오백 나한,

                      천이백아라한

        - 조사상:한 종파의 큰스님을 조각한 것.용수,무착,세친,현장, 원효,등

 

   2) 수인

    -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해 열 손가락으로 여러 법인을 표현하는 것

    - 일명 인계, 인상, 밀인, 계인

    - 석가모니 부처님의 근본5인, 아미타부처님의 구품인,비로자나부처님의

        (1)지권인 : 비로자나부처님의 수인상.

                        양손을 가슴앞에 올려 집게손가락만 똑바로 세운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고, 오른손 엄지가 왼손 집게손가락 끝에

                        맞 닿도록 한 모양으로, 이(理)와 지(智) · 중생과 부처 ·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임을 의미하는 수인이다.

        (2) 항마촉지인 : 부처님이 마왕 파순의 항복을 받기 위해 지은 수인

        (3) 전법륜인 : 부처님이 성도 후 다섯 비구에게 첫 설법을 하며 취한 수인

        (4) 선정인 : 결가부좌 상태로 참선, 즉 선정에 들 때의 수인     

        (5) 시무외인.여원인 - 미륵불의 수인

            -시무외인: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어 우환과고난을 해소시키는덕을

                             보이는수인

            - 여원인:부처님이 중생에게 자비를 베풀고 중생이 원하는 바를

                           달성하게 하는 덕을 표시한 수인

        

   3) 광배와 대좌

      - 광배 : 부처님의 몸에서 나는 신령스럽고 밝은 빛을 상징.

                  두광(頭光), 신광(身光)

      - 대좌 : 불.보살상이나 조사상이 앉은 자리. 사자좌연화좌


4. 불교회화

 

   1) 탱화

      -비단이나 삼베에다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내용을 그려 벽 등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

      -상단 : 전각의 상단, 즉 불보살의 뒷면에 거는 탱화.석가모니불,

                  아미타불 탱화 등

      -중단 : 불단 측면의 신중단에 모시는 탱화로서, 주로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 그림

      -하단 : 영단이나 명부전 등에 모시는 탱화

 

   2)벽화

      - 사찰 전각의 벽에 그려 넣는 그림.

      - 부처님의 일생, 불보살의 모습, 비천, 조사스님 일화, 심우도 등

      - 심우도 :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으로

                      잃어버린 자성(소)을 찾아가는 과정을

                      비유해서 그린 선화. 일명 '십우도', '목우도'라고도 한다.  

 

   3) 감로도(甘露圖) : 조상숭배나 영혼숭배 신앙을 표현한 그림.

                     <불설우란분경>내용을 그린 그림이라 해서 '우란분경감로도',

                  또, 영가단에 봉안하는 그림이라해서 '영가단 탱화' 또는

                        '감로탱화', '감로왕도'라고도 한다. 

 

   4) 괘불(掛佛): 법당 밖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걸어 놓는 예배용 그림. 

                야외에 괘불을 내걸고 법회나 의식을 베푸는 행사는

                   '괘불재(掛佛齋)'라고 하며,

                괘불을 옮겨서 예불하는 것을 '괘불이운(掛佛移運)이라고 한다. 

 

   5) 변상도(變相圖):불교경전의,복잡한,내용이나,심오한,가르침을 알기쉽게

                    그림으로 표현하여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기 위한 회화. 

                               따라서 모든 불화의 형태를 변상도로 볼 수 있다. 

              화엄경 변상도, 관경변상도법화경 변상도, 지옥변상도 등 매우 다양.


     불전법구 사물- 법고, 운판, 목어, 범종

      - 법고 :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의미로 쇠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을 비롯한 중생을 깨우

                   치기 위하여 울린다.

      - 운판 : 청동이나 철로 만든 구름모양의 넓은 판.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과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

      - 목어 : 나무를 물고기모양으로 깍아 배부분을 파낸 것으로 나무

              막대기로 두드려 소리를 낸다. 물에 사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늘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처럼 수행자는 늘 깨어 있는 

                   정진을 해야 한다는 뜻. 

      - 범종 : 조석 예불과 사찰의 큰 행사때 사용. 천상과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울려 퍼지게 한다는 뜻

   2) 목탁 : 의식을 집전할 때의 법구로, 대중을 모을 때 신호용으로 사용

   3) 죽비 : 선방 등에서 수행자를 지도할 때 사용

   4) 발우 : 부처님 당시부터 출가수행자들이 공양할 때 쓰던 밥그릇

   5) 요령 : 법요식 등에 사용. 본래 밀교계통에서 사용했던 것. 지금은

                 모든 의식에서 사용.

   6) 염주 : 부처님께 기도하거나 절을 하면서 참회할 때

                  그 수를 세기 위해서 사용. 108염주. 


 사리장엄과 복장물

 

  -사리장엄 : 사리를 봉안하는 갖가지 장엄구. 사리를 담는

    사리구와 이 사리구를 탑 속에 봉안하는 사리장치의 통칭하는 말. 

    사리를 담는 사리병과 그것을 보호하는 (盒)이 있다. 사리병은

    신라시대에 유리와 수정으로 만들었으나, 고려시대에는 금속재가

    많이 쓰였다.

 

   - 복장물 : 불상을 조성하면서 불상 속에 넣는 사리, 불경 등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불상, 보살상, 나한상 등의 여러 존상내부에

봉안되는 모든 불교적 상징물을 가리킨다. 처음에는 불상을 조성할 때만

복장을 했지만, 후대에는 불상을 수리하거나 개금불사 등을 할 때도

복장을 했다. 그러므로 복장물은 해당 불상의 조성 연대, 당시 신앙 형태,

사경미술 수준, 장인과 발원자의 신분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불교 조형물  

  

   1) 당간과 당간지주

    - (幢) :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때 내거는 기(旗)

    - 당간(幢竿) : 당을 걸어두는 기둥.

    - 당간지주(幢竿支柱) :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지주

   2) 업경대 : 지옥의 염라대왕이 갖고 있다는 거울로, 죽은 이가 생전에

                       지은 선악의 행적이 그대로 비친다고 함.

   3) 윤장대 : 경전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든 책장.

                   이것을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과 똑같이 공덕이 쌓인다고 함.

                   경북 예천의 용문사에 윤장대 2좌가 유명하다.


 
다음검색
댓글
  • 11.01.27 23:25

    첫댓글 기본적으로 꼭 알아야할 내용입니다 ^^ 감사히 잘보았습니다...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