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四七. 看女命法二 / 간여명법 이 / 여명을 보는 법 이
舊書女命 / 구서녀명 옛 책에서는 여자 팔자에
子辰巳年生 四月爲大敗 八月爲八敗 / 자진사년생 사월위대패 팔월위팔패 子辰巳년생이 사월이면 대패가 되고 팔월이면 팔패가 되며
丑申酉年生 七月爲大敗 五月爲八敗 / 축신유년생 칠월위대패 오월위팔패 丑申酉년생이 칠월이면 대패가 되고 오월이면 팔패가 되며
寅卯午年生 十月爲大敗 十二月爲八敗 / 인묘오년생 십월위대패 십이월위팔패 寅卯午년생이 시월이면 대패가 되고 십이월이면 팔패가 되며
未戌亥年生 正月爲大敗 三月爲八敗 / 미술해년생 정월위대패 삼월위팔패 未戌亥년생이 정월이면 대패가 되고 삼월이면 팔패가 되며
又巳午未年生三月 申酉戌年生六月 / 우사오미년생삼월 신유술년생륙월 또 巳午未년생 삼월과 申酉戌년생 유월
亥子丑年生九月 寅卯辰年生十二月 / 해자축년생구월 인묘진년생십이월 亥子丑년생 구월 寅卯辰년생 십이월은
俱爲寡宿 皆每年取一月 / 구위과숙 개매년취일월 모두 과부가 된다 했는데 이는 해마다 각 한 달을 취한 것이다.
夫一月之中 生女幾千萬億 / 부일월지중 생녀기천만억 무릇 한 달 중에 태어나는 여자가 몇 천 만억이나 될 텐데
安有皆敗皆寡者 / 안유개패개과자 어떻게 모두 패가 되고 과부가 될 수 있단 말인가
況不論四柱 而獨論一字 / 황불론사주 이독론일자 하물며 사주로 논하지 않고 오직 글자 하나만 가지고 논하니
有是理乎 / 유시리호 이런 이치가 어디 있겠는가
嘗考富貴偕老女命 / 상고부귀해로녀명 일찍이 부귀하고 해로하는 여명을 연구해 보니
犯敗與寡者甚多 / 범패여과자심다 패를 범하고 과부가 되어야 할 자가 매우 많았는데
其爲謬說決矣 / 기위류설결의 그 설이 잘못된 것이 분명하다.
若不亟闢之 / 약불극벽지 만약 이런 것들을 빨리 바로잡지 않으면
或婚姻將諧而被破 / 혹혼인장해이피파 혼인해서 장차 해로해야 할 사람들이 파국을 맞이할 수도 있고
或夫婦已配而相怨 / 혹부부이배이상원 이미 부부로 맺어진 사람들이 서로 원망하는 경우도 있고
或翁姑因此而憎棄 / 혹옹고인차이증기 시부모가 이로 인해 증오하고 버리려 할 것이니
其誤人豈少哉 / 기오인기소재 이로써 잘못될 사람들이 어찌 적다고 하겠는가
世俗父母 往往託星家合婚 / 세속부모 왕왕탁성가합혼 세속의 부모들이 왕왕 점술가에게 의탁하여 혼인을 맺는데
遂造種種謬說 / 수조종종류설 마침내 갖가지 잘못된 설들이 만들어진 것이다.
如三元男女幾宮 雖載於歷 / 여삼원남녀기궁 수재어력 가령 삼원이 남녀의 몇 궁이니 하여 비록 역서에 실려 있더라도
然理亦不確 乃以男幾宮女幾宮 / 연리역불확 내이남기궁녀기궁 그 이치가 불확실한데 이에 남자 몇 궁과 여자 몇 궁이
配成生氣福德天醫爲上 / 배성생기복덕천의위상 생기 복덕 천의로 배합되면 상으로 치고
配成遊魂歸魂絕體爲中 / 배성유혼귀혼절체위중 유혼 귀혼 절체로 배합되면 중으로 여기며
配成五鬼絕命爲下 / 배성오귀절명위하 오귀 절명으로 배합되면 하로 여긴다.
又有胞胎沖 骨髓破 鐵掃帚 / 우유포태충 골수파 철소추 또 포태충 골수파 철소추 등과
*鐵掃帚: 쇠로 만든 빗자루. 재물 등을 한꺼번에 쓸어 없애버리는 것
及益財 退財 守鰥 守寡 / 급익재 퇴재 수환 수과 익재 퇴재 수환 수과
*守鰥: 홀아비 *守寡: 과부
相厄 相妨等凶 / 급익재 퇴재 수환 수과 상액 상방등흉 상액 상방 등이 있으면 흉이라 하는데
皆以生年月取之 尤爲誕妄 / 개이생년월취지 우위탄망 모두 생년과 생월로 취하였으니 더욱 망령되이 날조된 것이다.
則女命亦有置敗寡及諸凶而驗者 / 즉녀명역유치패과급제흉이험자 즉 여명에 패과가 있어서 흉하다고 입증된 모든 경우들을
嘗取而推之 / 상취이추지 내가 모두 가져다 추론해 보니
其四柱本自不美 / 기사주본자불미 이는 사주가 본래 좋지 못한 것들이었으니
安可借之以實謬說乎 / 안가차지이실류설호 어찌 이런 잘못된 설들을 가져와 참되다 하겠는가
總之男家擇女 女家擇夫 / 총지남가택녀 녀가택부 정리하자면 남가에서 처를 택하거나 여가에서 남편을 택할 때
只照四柱常理 / 지조사주상리 사주에 정해진 이치로 비추어 보아
取其中和平順者而已 / 취기중화평순자이이 중화되고 평순한 것을 택하면 그만이고
婚後吉凶 聽之於天可也 / 혼후길흉 청지어천가야 혼인하고 난 뒤의 길흉은 하늘에다 묻는 것이 옳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