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 버는 앱이 있습니다. 어떤 앱들이 있는지 조심할점은 없는지 알아봅니다.
[Weekender] Saving little by little with money making apps
(주말판) 돈 버는 앱으로 조금씩 돈 모으기
From mobile step counters to secondhand coupons, digital natives look for new ways of making money extra -- but there’s always risks
디지털 네이티브들은 모바일 걸음계수기부터 중고품 쿠폰까지 새로운 방법으로 돈을 버는 방법을 찾고 있다 – 그러나 언제나 위험은 있다
By Byun Hye-jin 변혜진 기자
Published : Sept 4, 2021 - 16:01 Updated : Sept 4, 2021 - 16:01
Korea Herald
Ahn Jung-hyun, a 32-year-old worker at an insurance company, knows her salary, 65 million won ($55,370) a year, is well above average. But during her intermittent break time, she never stops making a little extra.
보험회사직원인 32세의 안정현씨는 연봉이 6천5백만원( 55,370 달러) 으로 평균연봉을 훨씬 넘는다. 그러나 쉬는 시간에 약간의 추가수입을 간헐적으로 올리면서 돈 버는 일을 중단하지 않는다.
Instead of playing mobile games or watching Netflix, Ahn clicks on a number of apps that offer actual money or discount coupons as marketing rewards -- and every little helps.
안씨는 모바일 게임이나 넷플릭스를 보는 대신 실제 돈이나 마케팅의 보상으로 할인 쿠폰을 주는 수많은 앱을 클릭한다.
Ahn is one of growing number of Koreans in search of extra income through money making apps. 안씨는 돈버는 앱을 통해 과외수입을 얻는 수많은 한국인들 중 한사람이다.
A mobile pedometer from Toss, a local fintech company, is a popular one. If a user turns on the pace count mode, the app rewards users with up to 100 won (8.6 cents) per day. It can also invite friends who are Toss users and add their pace counts to their user records.
국내 핀 테크회사인 토스의 모바일 만보계는 인기있는 앱인다. 사용자가 만보계를 켜면 앱은 하루에 100원(8.6센트)을 보상해준다. 토스사용자를 초대해서 그들의 보수를 합산할 수도 있다.
Over 2.2 million people, more than 11 percent of the total monthly active users, have received rewards as of Tuesday, a Toss official said.
토스직원에 따르면 매월 실제 사용자의 11%인 2배2십만명이 보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Some users have saved up to tens of thousands of won over the last two years by using the mobile pace counter,” the official added.
직원에 의하면 일부 사용자들은 지난2년동안 만보계를 사용하여 수만원을 저축했다고 말했다.
Young Koreans also make pocket money from teaching AI. Labelr, a data processing company, offers projects that involve simple tasks. For example, it asks simple questions asking whether the given image is a dog or a cat.
한국 젊은이들은 AI를 가르치고 푼돈을 벌고있다. 데이터 처리회사인 레이블러는 단순한 일을 하는 프로젝트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이미지가 개인지 고양이인자를 묻는 단순한 질문을 한다.
“Participating in several projects, I have earned 6,200 won in a short period of time. One of them was a project that filters hate comments which was very easy to do,” said Hansol, a YouTuber who introduces ways to grow and manage income. “나는 몇 개의 프로젝트에 참가해서 짧은 시간에 6,200원을 벌었다. 그중 하나는 싫어하는 말을 걸러내는 대단히 쉬운 일이다.” 라고 수입을 늘리고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유투버 한솔씨는 말했다.
Some make money out of selling their unwanted coupons. Ni-con Nae-con is a platform that brokers second-hand coupons for coffee shops, restaurants, convenience stores and even mobile data. People who don’t want to waste coupons can sell them, while buyers can save money with the coupons.
어떤 사람들은 원하지 않는 쿠폰을 팔아서 돈을 번다. 니콘내콘은 카피숍, 식당, 편의점, 모바일 데이터 등의 중고쿠폰을 거래하는 플랫폼이다. 쿠폰을 낭비하고 싶지않은 사람들은 그것을 팔 수 있고 사는 사람은 쿠폰으로 돈을 절약할 수 있다.
“I’ve always thought it was a waste throwing out expired coupons. But using this app, I can actually make extra cash out of the coupons I don’t plan on using,” said Kim Tae-jin, a 27-year-old user. Kim made 50,000 won in one month by selling coupons.
“나는 날짜가 지난 쿠폰은 쓰레기로 버려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앱을 사용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쿠폰으로 과외수입을 만들 수 있다.”고 27세의 김태진씨는 말했다. 김씨는 쿠폰을 팔아서 한달에 5만원을 벌었다.
Experts say young Koreans are adopting new ways of gaining wealth in the digital era.
전문가들은 한국의 젊은이들이 디지털시대에 새로운 방법으로 돈을 벌고 있다고 말했다.
“To younger generation, investment is like a hobby. They are digital natives who have been exposed to capitalism since they were young. So they are used to making money using digital technology,” said Lee Eun-hee, consumer science professor at Inha University.
“젊은 세대에게는 투자가 취미 같은 것이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그들은 어려서 부터 자본주의에 노출되었다. 따라서 디지털기술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데 익숙하다.”고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말했다.
Lee said young Koreans are drawn to “fast and easy” investments. Supplementing income through money making apps is a way to do it since they are inseparable from smartphones.
이교수는 젊은 한국인들은 “빠르고 쉬운”투자에 끌렸다고 말했다. 돈버는 앱을 통해 부수입을 얻는 것은 스마트폰과 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의 한 방법이다.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in May by Embrain, a local online research company, 392 out of 1,000 answered they use money-making apps to supplement their income. The figure surpassed those who make investments through real estate or cryptocurrency.
온라인 조사기관인 엠브레인이 5월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돈 버는 앱으로 부수입을 얻는 사람은 1000명의 응답자중 392명이었다. 이 숫자는 부동산이나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의 수보다 많았다.
But there are concerns that some people are relying too much on money making apps. Experts warn that some apps and services carry risks of losing money.
그러나, 돈버는 앱에 심하게 의존하는 일부 사람들에 대한 우려가 있다. 전문가들은 일부 앱과 서비스는 손해를 볼 수 있다고 경고한다.
Tok Tok, a company that pretended to be Tik Tok’s reward service provider, is accused of investment fraud by luring customers looking to make “easy money.” It set out an advertisement this year saying that users can earn up to 189 million won a year if they pay a 10 million-won membership fee.
틱톡의 보상서비스회사인 것 처럼 행세한 톡톡은 “쉽게돈을”벌고 싶은 소비자들을 유혹하여 투자사기를 쳐서 구속되었다. 이 회사는 올해 천만원의 회원가입비를 내면 일년에 1억89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광고했다.
But the company closed its mobile app on June without any reimbursing the users, leaving a number of victims, industry insiders said.
업계에 따르면 이 회사는 사용자들에게 보상없이 6월에 모바일 앱을 닫았고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The recent Mergepoint fiasco is another example of how apps that promise financial benefits have left users out of pocket. The service let users purchase Mergepoints for less than their face value, and these points could then be spent in various places.
최근 머저포인트 사건은 어떻게 앱으로 사용자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약속하고 돈을 받아내는지를 보여주는 또다른 예이다. 이 서비스는 머저포인트를 액면가격보다 싸게 사서 여러 곳에서 이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But Mergeplus, the operator of Mergepoint, suddenly reduced the number of places the points could be spent, leaving users with coupons they didn’t want without offering a full refund.
그러나 머저포인트의 운영회사인 머저플러스는 사용자들이 전액 환불을 원하지만 갑자기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줄였다.
Mergeplus, i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over allegations that bypassed the law that requires such services to be registered as an electronic financial service provider, not a gift ticket provider.
머저플러스는 상품권 제공업자가 아닌 전자상거래업자로 등록해야 하는 법을 어긴 혐의로 조사를 받고있다.
According to Lee, electronic financial service providers are supposed to have over 30 billion won in capital. This is a minimum amount intended to provide protection for customers when things go South.
이 교수에 따르면 전자상거래업자는 300억이상의 자본금을 납입해야 한다. 이 금액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를 보호하기위한 최소금액이다.
“But in case of Mergeplus and other fraudulent companies, they didn’t meet the standards, which led to large-scale consumer damage,” Lee said.
“머저플러스와 다른 사기를 저지르는 회사들이 기준을 지키지 못하면 대규모의 소비자피해로 이어진다.”고 이교수는 말했다.
Lee urged that consumers must carefully consider the potential risks that comes with earning extra cash.
이 교수는 소비자들이 부수입에 따르는 잠재적인 위험을 조심스럽게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2021. 9. 5.
김 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