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말에 문인들의 흔적을 따라 서울시내 여행을 해보면 어떨까요?
코리아 헤럴드 주말판 기사입니다.
[Weekender] Dead poets’ salons
(주말판) 죽은 시인의 살롱
Traces of literary figures remain in the rustic alleys of Seoul
문인들의 흔적이 서울의 소박한 골목길에 남아있다
By Kim Hae-yeon 김혜연 기자
Published : Sept 11, 2021 - 16:01 Updated : Sept 11, 2021 - 16:01
Korea Herald
In celebration of National Reading Month in September, some 8,700 book festivals and related programs are planned to promote the classics and new works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Culture Ministry.
문화부에 의하면 9월 독서의 달을 축하하기위해 8,700여개의 책 페스티벌과 관련프로그램이 계획되어 고전과 새로운 작품을 홍보할 계획 이다.
Adults read an average of 10 books per year while school-age children read an average of 41 books a year, Culture Ministry data from early 2020 showed. 2020년초 문화부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은 1년에 41권을 읽는데 성인들은 10권을 읽는다.
Culture critics attribute this significant drop in reading after the teenage years to “reading fatigue” stemming from pressure to digest books faster and more efficiently while still in school.
문화비평가들은 10대이후 독서량의 현저한 감소를 학교에 있을 때는 잘 했던 것보다 더 효과적이고 빨리 책의 내용을 소화하려는 중압감에서 발생된 “독서피로” 때문이라고 한다.
Indeed, book programs offered with good intentions are at risk of ending up as mere one-time events, so that the public perceives reading as just another task to be put off until it’s time for new year’s resolutions.
실제로 독서프로그램이 좋은 의도로 시작하지만 끝날 때는 일시적인 행사가 되어서 보통사람들은 독서를 새해의 결심을 할 때까지 미루는 일로 생각한다.
Though it takes some effort, once one successfully journeys into a book an exciting encounter awaits. And whether a book is fiction or fact, behind the creation and re-creation of the stories stand writers, unseen and unnoticed, but always present at the very moment one opens a chapter to read.
노력이 필요하지만 한번 성공적으로 독서를 하면 흥분과의 만남이 가리고있다. 책이 픽션이건 논픽션 이건 이야기의 창작이나 재창작 뒤에는 작가가 있고 보지 못했고 알아차리지 못했지만 언제나 읽기위해 여는 새로운 장을 열게 된다.
Finding the traces of literary figures and taking a moment to follow in their footsteps may be a relaxing way to explore the spirit of the well-known writers away from crowded festivals.
문인들의 흔적을 발견하고 그들의 발자취를 따르기 위해 잠시 멈추는 것은 붐비는 페스티벌에서 벗어나 유명한 작가들의 정신을 탐험하며 편안할 수 있다.
The Korea Herald visited four sites in the alleys and hillsides of Seoul where literary figures would drop by to read, write and contemplate on the issues of the day with their peers. The history of the four places dates back as far as the 1920s.
코리아헤럴드는 문인들이 들러서 독서하고 글을 쓰고 동료들과 시대의 문제들을 같이 생각할 것 같은 서울의 골목길과 언덕을 방문했다. 이 네 곳의 역사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A secret den of literary figur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uyeon Sanbang
일제하의 문인들의 비밀 장소 : 수연산방
Located in Seongbuk-gu, some 4 kilometers north of Changdeokgung, is a secret den called Suyeon Sanbang, where writers and artists dropped by for a free exchange of ide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창덕궁에서 약 4km쯤 북쪽에 위치한 비밀장소 수연산방은 작가들과 미술가들이 일제강점기에 자유로운 생각을 교류하기위해 들렀던 곳 이다.
Lee Tae-jun, a Korean pioneer of short stories, lived here from 1933 to 1946 before moving to what is now North Korea. Lee named the house Suyeon Sanbang, meaning “a house by the mountains where people gather to read and study.” 우리나라 단편소설의 선구자 이태준은 북한으로 이주하기전인 1 933년부터 1946년까지 이곳에 살았다. 이씨는 이 집의 이름을 수연산방으로 지었는데 “사람들이 모여서 읽고 공부하는 산으로 둘러싸인 집”이라는 뜻이다.
While leaving the doors wide open at all times of the day, inviting poets and writers to drop by, Lee and his fellow writers organized a literary group called Guinhoe, which means “the nine-member association.” Kim Ki-rim, Jeong Ji-yong, Lee Hyo-seok and Gim Yu-jeong were among the members of the group, which actively resisted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at prospered in 1930s Korea and insisted on producing pure literature.
하루 종일 문이 활짝 열려 있고 시인과 작가들을 초대해서 이씨와 동료들은 “9명의 모임”이라는 뜻의 구인회라는 문학모임을 만들었고 김기림, 정지용, 이효석, 김유정 등이 구성원이었고 그들은 1930년 한국에서 왕성했던 플로레타리아 문학에 실제로 저항했고 순수문학을 추구했다.
Lee’s granddaughter turned Suyeon Sanbang into a traditional teahouse in 1998, while keeping the name and preserving the studious atmosphere and the scenic view of nature from its windows.
이씨의 손녀는 1998년 수연산방을 전통찻집으로 바꿨고 학구적인 분위기와 창밖으로 보이는 경치를 보존했다.
Shaved ice with sweet pumpkin and injeolmi,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are the favorites at this teahouse. It features a front yard and a study where the Guinhoe collection and relevant archives are on display. 단호박 빙수와 한국의 전통 떡인 인절미는 이 찻집의 단골 메뉴이다. 구인회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Remembering an avant-garde modernist: Lee Sang’s House
아방가르드 모더니스트 : 이상의 집
At Lee Sang’s House in Tongin-dong, a five-minute walk from Gyeongbokgung Station on Subway Line No. 3, Exit No. 2,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by Kim Hae-gyong, better known by the pen name Lee Sang (sometimes spelled Yi Sang) are on display with a video introducing the poet.
이상의 집은 통인동,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2번출구에서 걸어서 5분거리이고 필명 이상(Lee Sang)으로 알려진 (가끔 Yi Sang으로 쓰는)김해경의 문학작품과 그림이 비디오로 볼 수 있다.
The space was brought back to life by the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in 2009 thanks to a public fundraising campaign. Now an exhibition hall stands on the site of the home where the poet lived for some 20 years, since the age of 3. 이 공간은 공공 모금 캠페인으로 2009년 문화유산국민신탁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현재 전시실은 이 시인이 3살때부터 20년을 산 집에 위치하고 있다.
Born in 1910, the year that Japan annexed the Korean Peninsula, Lee studied to become an architect, hoping to make a living as an employee of the colonial government.
일본이 한반도를 합병한 1910년에 태어난 이씨는 시민지정부의 직원이 되어 생계를 유지하기위해 설계사가 되기 위해 공부했다.
Lee began writing in the 1920s, delving into such themes as the endless search for spiritual resistance and the repetitive struggles of a broken mind. He subverted the rules of language and forms in literature, producing works that combined surrealist lexicons and sentences with coded numbers, and sketches and drawings featuring eccentric shapes. The writer’s modernist verses surpassed the public’s imagination and are still studied by scholars today.
이씨는 1920년대에 영적인 저항에 대한 끝없는 추구, 상처난 마음에 대한 반복적인 투쟁 같은 주제를 추구했다. 그는 초현실주의적인 어휘, 코딩된 숫자에 의한 문장, 이상한 형태를 스케치하거나 그린 것들을 만들면서 언어의 법칙과 문학의 형태를 뒤집었다.
Lee was imprisoned in the late 1930s for simply communicating with other Korean artists in Japan, and charged with thought crimes against the Japanese Empire. He died in a hospital in Tokyo at the age of 26. Representative works by Lee include a collection of poems titled “Crow’s Eye View” and the novella “Wings.”
이씨는 1930년대 후반에 일본에 있는 한국예술가들과 단순히 소통했다는 이유와 일본 황제에 대한 사상범죄로 투옥되었다. 그는 도쿄의 한 병원에서 26세에 사망했다. 이씨의 대표작은 “오감도”라는 시와 “날개”라는 소설이다.
“Two-thirds of the visitors come here by chance, and I feel the poet is slowly being forgotten by today’s young generation,” Lee Sang-hyun, publicity committee member of the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told The Korea Herald. After spending years delving into Lee Sang’s life and work, he feels driven to pass on the writer’s legacy to future generations. “방문자들의 3분의 2는 우연히 오는데 내가 느끼기에 이 시인이 오늘날의 젊은이들에게 서서히 잊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문화유산국민신탁의 홍보위원회 위원인 이상현씨가 말했다. 수년간 이상의 생애와 작품을 탐구한 후 그는 미래세대에게 작가의 유산을 남겨 줘야 한다고 느꼈다.
Admission is free of charge, and the archives can only be read on site.
입장료는 무료이고 책은 현장에서만 읽을 수 있다.
A place to ponder freedom and democracy: Hakrim Dabang
자유와 민주주의를 생각하는 곳 : 학림다방
A quote from culture critic Hwang Dong-il stands at the entrance to Hakrim Dabang: “Hakrim is still around somewhere between the ’60s, where ragged modernism and pernicious romanticism mingled, and the intellectual resistance of the ’70s.” 문화비평가 황동일씨의 글이 학림다방 입구에 써있다. : “학림은 아직도 남루한 모더니즘과 위악적인 낭만주의가 섞인 60년대와 70년대의 지성인들의 저항사이 어딘 가에 있다.”
In 1956, long before Daehangno was established, a cafe opened across from the former building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Liberal Arts. 1956년, 대학로가 생기기전 서울대학교 문리대학을 가로질러 카페가 문을 열었다.
Hakrim Dabang was named after Hakrim-jae, an SNU festival. A “dabang” was a modest-sized coffee shop where small groups would gather. 학림다방은 서울대학교의 축제인 학림제에서 따왔다. “다방”은 소그룹으로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커피숍이다.
Among students of the time, the coffee shop was known as the “25th classroom.” After the lectures were finished in the college’s 24 classrooms, the coffee shop served as a place where freedom of thought and freedom of speech reigned. 그때 학생들 사이에서 이 커피숍은 “25번째 교실”로 알려졌다. 대학의 24개의 교실에서 강의가 끝나면 이 커피숍은 생각과 언론의 자유가 있는 장소로 그 역할을 했다.
Students, professors and writers alike would sit by the window on the second floor, looking down at the stream that ran under a small symbolic bridge. Just as the stream would change pace, flowing gently and then rapidly, the writing reflected different styles: At times it was romantic, but resistance poetry and literature predominated.
학생, 교수, 작가 같은 사람들이 2층 창가에 앉아 작은 상징적인 다리 밑으로 흐르는 개울을 보고있었다. 개울의 물이 천천히 그리고 빠르게 흐르듯이 작품은 다른 스타일을 반영했다. 그때는 낭만적이었으나 저항적인 시인들과 작가들이 우위를 차지했다.
Sharing the painful history of the student-led April 19 Revolution of 1960, when the people rose up against the autocracy and corruption of President Syngman Rhee, Hakrim Dabang kept its lights on throughout the 1980s for writers and student activists to gather and plan a series of pro-democracy movements.
이승만대통령의 독재와 부패에 맞서 국민들이 일어나서 1960년 4월19일 학생들이 주도한 뼈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학림다방은 1980년대 작가와 학생들이 모이고 친 일련의 민주주의 운동을 계획하기위한 빛을 계속 유지했다.
Literary writers such as Yi Chong-jun, Jeon Hye-rin, Cheon Sang-byeong, Kim Chi-ha, Hwang Sok-yong and Kim Min-ki were frequent patrons of Hakrim Dabang.
이청준, 전혜린, 천상병, 김지하, 황석영, 김민기 등의 작가 학림다방에 자주오는 후원자들이었다.
Traces of those who came and went can be found in the stairwells’ chipped paint, the love notes scribbled on the walls, and the dusty LPs and posters stacked by the entrance.
이들이 오고 간 흔적은 계단의 벗겨진 페인트, 벽에 쓴 사랑의 낙서, 먼지 낀 LP판, 입구에 쌓여 있는 포스터에서 볼 수 있다.
The signature drinks, Hakrim blend and Vienna coffee, are served both hot and cold throughout the year.
대표음료인 학림브렌드와 비엔나커피는 1년 내내 뜨겁게 또는 차갑게 제공된다.
A cafe of love and friendship: Dok Dabang
사랑과 우정의 카페 : 독다방
Dok Dabang, short for Doksuri Dabang, is located on the eighth floor of a building across from Changcheon Church near Yonsei University.
독수리다방의 줄인 말인 독다방은 연세대학교 근처 창천교회 맞은 편 건물의 8층에 있다.
Beginning in 1971, when it opened, the cafe was a favorite go-to place for writers of the era, including novelist Song Sokze and poet Gi Hyeong-do.
1971년 처음 개업했을 때 이 카페는 소설가 성석제와 시인 기형도를 포함한 그 시대의 작가들이 좋아하는 장소였다.
Born in 1960, Gi was a political science and foreign affairs major at Yonsei University and a member of the Yonsei Literature Club. Gi died at the age of 28. Song, who was the same age as Lee, studied law at the same school and still works as a writer, poet and painter.
기씨는 1960년생으로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생이었고 연세문학클럽 회원이었다. 기씨는 28세에 요절했다. 성
씨는 기씨와 동갑으로 같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는데 현재에도 작가, 시인, 미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Sinchon was a place where students from three nearby colleges --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 would gather in the ’80s and ’90s. Dok Dabang served as a meetup for love, friendship and camaraderie among the students. With no smartphones to send texts, students would post handwritten notes on the bulletin board, hoping they would be read by the intended recipients. Now an icon, the board still stands at the entrance.
세개의 대학이 – 연세대, 이화여대, 서강대 – 있는 신촌은 80년대와 90년대 학생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독다방은 학생들 사이에서 동지애, 우정, 사랑을 만나는 곳으로 역할을 했다. 학생들은 문자를 보낼 스마트폰이 없었던 시절 상대방이 읽기를 바라며 손으로 쓴 노트가 게시판에 붙였다. 지금은 아이콘으로 게시판이 입구에 있다.
In 2005, Dok Dabang faced financial struggles as franchise coffee shops came to dominate the streets of Sinchon. Upon reopening in 2013, the new owner designed the cafe to resemble a cozy library and divided it into different sections to suit the varied needs of visitors -- one section houses popular books, and there are also study rooms, meeting rooms and an outdoor terrace with a view.
2005년 독다방은 신촌거리에 유행하던 프랜차이즈 커피숍 때문에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했다. 2013년 재 개장했고 새로운 소유자는 카페를 아늑한 도서관으로 디자인하여 방문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공간을 구분했다. – 인기있는 책들이 있는 공간, 학습공간, 회의실 외부 전경을 볼 수 있는 테라스.
Novelist Kim Young-ha mentioned the cafe a few years ago during a TV appearance, calling it one of his favorite places to read and write quietly. If you’re lucky, you might notice him there working on his next novel. 소설가 김영하는 몇 년 전 TV에 나와서 이 카페가 자신이 조용히 일고 쓰기에 좋아하는 장소들 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당신이 운이 좋다면 그가 다음 소설을 쓰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수연산방, #학림다방, #독수리다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