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두화
학명
불두화의 학명은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입니다.
불두화는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백당나무의 유성화를 없애고 무성 화인 꽃잎만 남겨 개량된 원예품종입니다.
불두화는 꽃의 모양이 부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고 부처가 태어난 4월 초파일을 전후해 꽃이 만발하므로 불두화라고 부릅니다.
불두화 꽃말은 '제행무상', '은혜'. '베풂'이다.
특징
꽃에 있는 암술, 수술과 같은 조직조차 없는 꽃을 피우는 불두화 입니다.
불두화! 부처님 머리를 닮은 꽃이란 뜻입니다.
작은 꽃들이 한 데 모여서 어린 아이 머리만한 둥글둥글한 꽃뭉치를 주렁주렁 달고 있는 나무입니다. 그 불두화의 꽃은 암술, 수술을 가지지 않아서 곤충들이 오지 않기에, 즉, 생식활동도 하지 않고 향기도 없어서 조용한 수행이 필요한 스님들이 머무시는 절에 심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지요. 어쩌면 절의 스님들이 그 꽃뭉치 모양이 석굴암에서 볼 수 있는 부처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고 둥글둥글하다고 지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꽃모양이 의외로 예뻐서 일반 공원에도 많이 심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불행하게도 이 불두화는 생식작용을 하지 않기에 꽃이 지고나도 열매를 맺을 수 없고, 그러므로 씨앗도 못 만들므로 자손을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는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사람들이 나무수국과 백당나무를 교접시켜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그래서 그런지 꽃모양은 나무수국을 잎모양은 백당나무를 닮았습니다. (나무수국은 긴 타원형인데, 백당과 불두화는 잎끝이 세 갈래로 갈라집니다.)
생태 서식 환경
○ 자생지역 : 전국에 분포한다.
○ 생육환경 : 토양을 가리지 않지만 비옥한 곳을 좋아하며, 내한성(추위)에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월동이 되며 속성수로 자란다.
○ 번식방법 : 주로 삽목이나 분주, 취목을 통해 번식한다. 3~4월에 눈이 붙어있는 전년도 가지를 잘라 삽목하고,
6~7월에는 잎이 1~2매 붙어있는 당해연도 가지를 잘라 삽목한다. 싹이 나기 전 3~4월에 분주로
번식하거나, 줄기에 상처를 내 땅에 묻어 취목으로 번식시키기도 한다.
○ 재배특성 : 건조에는 비교적 약해 주로 반음지에 식재한다. 이식과 정식은 4월에 하면 활착이 잘된다. 꽃이 진 후
개화한 부분의 아래에서 잘라주면 다음해에 많은 꽃을 볼 수 있다.
○ 유 사 종 : 설구화와 유사하나, 잎이 둥근 설구화와 달리 불두화는 세 갈래로 나눠지는 잎을 갖는다.
백당나무는 불두화와 같이 세 갈래로 나눠지는 잎을 가지며, 무성화와 유성화가 함께 핀다.
○ 기 타 : 원예용으로 육성된 백당나무의 변종으로, 꽃잎만 있고 수술과 암술이 없는 무성화로 피어 열매를 맺지
못한다. 처음 꽃이 필 때는 연초록색이지만, 활짝 피면 흰색이 되고 질 무렵이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 모양이 곱슬곱슬한 부처의 머리를 닮은 데다 석가탄신일 무렵에 꽃이 피어 불두화(佛頭花)라고 한다.
병충해
불두화는 병충해가 별로 없지만, 진딧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딧물은 여름철부터 가을철까지 관찰되며, 피해를 받은 식물은 황색으로 변하면서 고사합니다.
진딧물은 단기간 내에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2차적으로 그을음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생이 확인되면 즉시 방제해야 합니다.
묘목 가격
불두화 묘목의 가격은 판매처에 따라 다르지만, 8,000원에서 35,000원 사이입니다:
첫댓글 ㅎ 이꽃도 엄청 이쁘군요 여태 이런 꽃도 몰랐으니
아는 식물은 깻잎, 상추 ,배추 ㅋㅋ
불두화 꽃은 열매가 없는군요. 산사에 가면 하얀꽃이 가지전하니 참 고요하다고 생각되는 꽃이었습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꽃을 보면 마음이 화사해져서 참 좋아요 ㅎㅎ
부처님 머리를 닮았다고 이름 지워진 불두화
불두화 잎은 세갈레이고, 부처님 오신 날인 4월 초파일 즈음에 꽃이 핍니다.
물을 좋아하는 국화에서 이름지어진 수국
수국 잎은 한갈레이고, 물이 많은 여름 장마철 즈음에 꽃이 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