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생존전략 연구소
 
 
 
카페 게시글
Self-sufficiency 스크랩 생태공동체 첫 시도(5).. 마을 휴먼웨어 그리고 마무리..
하늘가 추천 0 조회 70 13.05.13 09:1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공동체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생태마을 조성을 무슨 기업이나 공식 조직 설립처럼 진행하는.. 왠지 딱딱한 느낌이 들 수가 있다.

사람 사는 곳인데.. 너무 그렇지 않은가??..

그러나 이 세상 그 어느 형태의 모임치고 사람이 없는 곳이 있는가..

 

 

결국은 모두 사람이 하는 일..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물론 관여하시겠지만..

 

 

그런 사람들이 각기 다른 성장 과정과 환경에서 생활하다 함께 모여 살아가야 하는데,

그 사전 계획과 준비 과정이 잘~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가 아닐까..

 

 

 

휴먼웨어 Humanware..

 

 

 

 

 

공동체.. 공간의 공유보다 심리적인 교감이 더 우선되어야 할..

 

 

특정 지역에 모여 살면서 자신들만의 공간을 유지하고자 하는 마을이 진정한 공동체는 아닐 것이다.

공간적 공동체를 이루면서도 유사한 다른 지역의 공동체들과의 교류 및 연대,

 

 

그전에 주변 마을 분들과의 상생 공존의 기반 조성과 지자체와의 유대가 우선되어야 하고..

 

 

비록 마을 공동체 안에서 함께 거주하지는 않지만 다른 지역의,

심지어 대도시 등 도심권 생활자들일지라도 그 공동체가 추구하는 이상과 실천에 일부분이라도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이들이라면..

모두 한 가족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휴먼웨어에는 마을 공동체 거주민들만이 아닌 마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관련될 수 있는

'사람들' 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였다.

곧 공동체의 안과 밖의 네트워킹 기능이라 보겠고, 그 네트워크의 주체는 역시 사람이기에..

 

그 휴먼웨어를 유연하게 코디할 수 있도록 나름의 조직체계는 필수라 하겠고..

 

 

 

 

 

운영위원회는 생명마을(생태적 명상 마을, 아루이 빌리지)의 운영이 

명상학교 수선재의 실천 방향과 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조율하는..

즉, 생태와 명상이라는 두 개념의 일치와 조화를 도모하는 역할이다.

 

 

추진위원은 운영위원회에서 결정된 방향을 실무위원회와의 조율과,

고문 및 자문위원들과의 공유를 통해 현실적인 적용 방법을 찾아 실행토록 하는

진행 책임자의 역할이고..

 

 

실무위원회는 각 팀 리더들의 협의체로서 각 팀의 활동 계획, 실행, 피드백을 상호 협의 조율하면서

마을의 조성 및 유지 발전을 위한 조율 및 조정 역할이다.

 

 

이하 각 팀은 그 이름 그대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고..

 

 

 

 

 

[ 사진 왼쪽, 도시형 생명마을 개념도. 오른쪽, 농촌형 생명마을 개념도 ]

 

 

 

첫 시도.. 결과는??

 

 

2006년 네 명의 입안으로 시작한 생명마을 아루이빌리지 프로젝트? 는 바로 추진되지는 않았다..

이유는 관련 실무 추진을 위한 참여 인력의 마인드 조성에 시간이 필요했고..

소요 예산 확보를 위한 준비기간 역시 필요했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의 조성을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사전 준비가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니..

매우 다른 견해와 철학 그리고 각자의 이상들..

그런데 이러한 것이 당연한 것..

 

 

그러나..

 

이 계획에 참여한 네 명은..

2010년 가을부터 본격적으로 새롭게 시작한 생태공동체 선애마을(후에 '선애빌' 로 명칭 변경) 조성

사업에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참여하였고..

결국은 생태공동체의 꿈을 나름대로 이루어 가고 있는 것이니..

 

그리고 아루이빌리지 프로젝트는 2007년에 착수하여 2012년 초에 마을의 기초 모습을 갖추는 것으로

계획을 했었다.

비록 착수는 그 시기가 달랐으나 마을의 기초를 이루는 시기는 거의 일치 했으니..

 

 

 

 

 

 

[ 사진, 2010년 민들레공동체 대안기술센터의 퍼머컬쳐교육시 조별 실습하던 부지배치와 물사용 개념도 ]

 

 

 

 

 

 

[ 사진, 이미 여러 언론에 소개된 충북 보은의 기대리 선애빌, 그리고 전남 고흥의 옥강 선애빌 소속

  해원 동물 농장.. 아루이빌리지 입안자 네 명 중 두 명이 각각 위 두 곳의 주민이다.]

 

 

 

 

 

 

다음은..

 

생태공동체 교육/문화 프로그램 개발 경험과 전남의 한 곳 선애빌 조성 경험..

그리고 실제 생활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