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을 조롱하다
프라 안젤리코
프라 안젤리코(Fra Angelico, 1387-1455)는 종교 미술의 전통적인 이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마사초의 새로운 기법들을 응용했다.
그는 도미니코 수도회 수사로서 1440-43년에
그의 제자 베노초 고촐리(Benozzo Gozzoli, 1420-1497)와 함께
피렌체의 산마르코 수도원에 프레스코를 그렸는데,
이 프레스코는 서양미술사 속 가장 초현실적이면서 신비로운 걸작으로 손꼽힌다.
이 수도원은 원래 낡은 수도원이었는데,
도미니코 수도회가 수용하여 메디치 가문의 후원으로 보수하였고,
안젤리코가 수사들의 방과 복도에 예수님의 생애를 묵상하도록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들은 그의 작품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들에 속한다.
그중 <예수님을 조롱하다>는 일곱 번째 방에 있는 벽화이다.
이 작품은 예수님께서 매 맞으시고 조롱당하시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프라 안젤리코의 뛰어난 상상력이 돋보인다.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잘 보이도록
연극 무대 같은 흰 대리석 위에 올라 자주색 의자에 앉아있다.
벽면은 에메랄드빛 사각 판으로 되어 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예수님을 조롱하는 장면에 집중하게 했다.
이 장면은 최고 의회에서 신문을 받으실 때 예수님을 조롱하는 장면(루카 22,63-65)과
총독 관저에서 군사들이 예수님을 조롱하는 장면(마태 27,27-31)을 합친 것이다.
예수님을 지키던 사람들은 그분을 매질하며 조롱하였다.
또 예수님의 눈을 가리고 “알아맞혀 보아라. 너를 친 사람이 누구냐?” 하고 물었다.
그들은 이 밖에도 예수님을 모독하는 말을 많이 퍼부었다.(루카 22,63-65)
그때에 총독의 군사들이 예수님을 총독 관저로 데리고 가서
그분 둘레에 온 부대를 집합시킨 다음,
그분의 옷을 벗기고 진홍색 외투를 입혔다.
그리고 가시나무로 관을 엮어 그분 머리에 씌우고 오른손에 갈대를 들리고서는,
그분 앞에 무릎을 꿇고 “유다인들의 임금님, 만세!” 하며 조롱하였다.
또 그분께 침을 뱉고 갈대를 빼앗아 그분의 머리를 때렸다.
그렇게 예수님을 조롱하고 나서 외투를 벗기고 그분의 겉옷을 입혔다.(마태 27,27-31)
예수님께서는 결백을 증명하듯이 눈부신 백색의 옷을 입었고
머리에는 붉은 십자가 형상의 후광이 있다.
이 후광은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 뒤에 오는 부활을 예견하고 있다.
머리에는 가시나무로 된 관을 쓰셨고,
오른손에는 왕홀처럼 갈대막대기를 들고 있으며,
왼손에는 인류를 상징하는 크리스털보주를 들고 있다.
그들은 이제 “유다인의 임금님, 만세” 하고 놀릴 판이다.
좌측에는 모자를 벗고 조롱하며 침을 뱉는 한 남자가 예수님의 뺨을 주먹으로 치고
또 다른 한 손은 예수님의 손에 든 갈대막대기와 똑같은 막대기로
예수님의 머리를 때리고 있다.
이 장면들은 총독 관저에서 군사들이 예수님을 조롱하는 장면이다.
안젤리코는 여기에 최고 의회에서 신문을 받을 때 예수님을 조롱하는 장면을 덧붙였다.
예수님의 눈은 흰 천으로 가려져 있다.
그리고 뺨을 때리는 손과 누가 때렸는지 알아맞혀보라는 손이 있다.
최고 의회에서 신문을 받으실 때에 어떤 자들은
예수님의 눈을 가리고 더러는 손찌검을 하면서,
“알아맞혀 보아라. 너를 친 사람이 누구냐?” 하고 물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조롱에 입을 굳게 다문 채 아무 대꾸도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묵묵히 받아들이신다.
그분의 흩어지지 않은 꼿꼿한 자세가 그분의 당당함을 증명한다.
사람들이 아무리 조롱을 해도 예수님은 그분의 옷처럼 티끌 하나 없이 깨끗하다.
그분께서 보주와 갈대 왕홀을 들고 자주색 의자에 앉은 모습은
마치도 세상의 참 임금으로 착좌하는 것 같다.
그 아래에는 조롱받는 예수님에 대해 묵상하는 성모님과 도미니코 성인의 모습이 있다.
조롱당하시는 아들 예수님을 보고 성모님은 어떤 슬픔에 잠겼을까?
조롱당하시는 스승 예수님의 성경을 읽고 도미니코 성인은 어떤 묵상을 했을까?
도미니코 수도회 수도자들은 이 방에 머물면서
성모님과 도미니코 성인의 마음으로 예수님의 조롱당하심을 관상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