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의 회초리
瓦也 정유순
내가 초등학교에 들어갔을 때 “엄마 학교에 갔다올께”하며 인사를 하였더니, “네 이놈, 엄마가 뭐야, 이제 학생이 되었으면 어머니라고 해야지, 또 갔다 올게 가 뭐야. 다녀오겠습니다 해야지”하며 할아버지께서 회초리를 들고 종아리를 때리신 적이 있다. 종아리에 회초리 자국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살짝 맞았지만 온 식구로부터 사랑만 받아 오던 어린나이에 종아리의 아픔보다 마음이 더 아팠던 일이 있었다.
<컷-정인옥>
어린 시절 내가 살던 고향은 전기불이 들어오지 않아 등잔불 밑에서 숙제를 하고 나면 아침에 그을음으로 코 구멍이 새까맣게 막히던 벽촌으로,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열다섯 명 정도의 식구가 대가족을 이루고 있어 그 틈새에서 ‘내일은 내가 알아서 해야 할 처지’였다. 아침에 눈을 뜨면 온 식구는 농사일에 여념이 없고 학교에 다녀오면 책가방을 마루에 던져 놓기 바쁘게 농사일을 도와야 하는 시절이었다.
<컷-정인옥>
지금처럼 ‘영어다 미술이다 음악이다’하며 개인의 특성을 찾아주는 과외수업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나이가 들어 사회인이 되었을 때 나는 할아버지의 회초리의 뜻을 어렴풋이 깨닫게 되었다. 우선 ‘엄마’와 ‘어머니’의 차이다. ‘엄마’는 어머니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로 애기 때 어머니의 품안에서 사랑과 정으로 양육되어 질 때 부르는 호칭이고, ‘어머니’는 자식을 가진 여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는 말로 어머니와 나를 엄격하게 구분 짓는 관계설정이다.
<강원도 인제 서화천>
그때 할아버지의 회초리는 ‘엄마의 품속에서 응석을 부리며 자라던 애기가 아니라 이제 어미의 품을 떠나야 할 때가 다가오니 미리 준비하라’는 깊은 훈육(訓育)의 의미가 담겨 있었던 것이다. 지금 생각해보니 참으로 고마운 할아버지의 회초리였다.
<반송>
언젠가 나는 아프리카로 사파리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다. 탄자니아의 세계최대로 손상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웅고롱고롱분화구 에 갔을 때 누 한 마리가 새끼를 출산하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었다. “보기 힘든 광경으로 이것은 행운이다”라고 안내자는 열띤 소리로 말 하였다. 온몸에 힘을 집중하여 진통을 삼십 여분 하다가 예쁜 새끼 한 마리를 순산하였다.
<누 출산장면>
아기 누는 눈을 뜨자마자 제 한 몸 버티기 힘든 서투른 걸음마로 젖을 본능적으로 찾았고 어미는 사타구니로 머리를 밀어 넣는 새끼를 뒷발로 멀리 떼어 놓았고 새끼는 죽을힘을 다하여 젖을 향해 또 다가가고 또 떼어놓고를 계속 반복하다가 어느 정도 뛸 수 있게 되었을 때 어미는 새끼에게 젖을 물리는 것 이었다. 정말 감동의 순간이었다.
<보리수 열매>
새끼에게 젖을 물린 어미의 표정은 강하면서도 사랑이 듬뿍 담긴 모정(母情) 그 모습이었다. 매정하기만 했던 어미 누의 행동은 동물의 세계에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 같았다. 아니 자식을 사랑만할 줄 알지 세상사는 지혜를 가르치지 못하는 사람보다 한 수 위이다.
<강원도 고성 건봉사 앞 소나무>
사랑스러운 손자를 더 클 수 있도록 종아리에 회초리를 때리던 할아버지의 깊은 마음이나, 새끼에게 바로 젖을 물리지 않고 매정스러울 만큼 먼저 뛸 수 있는 훈련을 시킨 어미 누의 마음은 어떤 환경이 닥치더라도 그 환경에 적응하여 세상을 슬기롭게 살아가라는 큰 가르침 이었다.
<충남 홍성군 서부면 궁리 당산소나무>
우리 교육의 목적이 자라나는 세대에게 살아가는 방법과 지혜를 가르쳐 주는 것이라면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할아버지의 회초리 같은 것이 필요하지 않은가 생각해 본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 부채꼴주상절리>
https://blog.naver.com/waya555/140152999461
첫댓글 회초리하면 초등학교때 생각나네요ㆍㅎㅎ
회초리 ??? ㅎㅎ
우리 어려서는 집에 화초리가 때리는 것 보단 위엄용으로 벽에 걸려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