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간의 왕쇠강약(旺衰强弱) 판단법
제1절 일간의 왕쇠강약의 구별
먼저 신강의 구성요건을 살펴보자.
① 月令이 旺相하다.(예컨대 甲日이 春冬에 생함)
② 방조가 많다.(비겁과 인성이 사주에 많음)
③ 지지에 得氣한다.(장생, 임관, 제왕은 득기임)
④ 방국을 이루어 일간을 돕는다.(삼회방과 삼합국하여 비겁이나 인성의 역할을 함)
여기서
①은 월지에서 비겁과 인성을 만남이니 신강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월령이 비겁에 해당되는 것을 득시,득령, 당령했다고 한다. ①의 구성이 되지 않았을지라도
②③④의 조건이 있다면 약간은 신강한 편에 속한다.
신약의 구성요건을 살펴보자.
① 月令이 쇠약하다.(예컨대 甲日이 夏秋에 생함)
② 剋(재, 관)과 洩(식상이) 많음.
③ 지지에 失氣한다.(甲木이 巳에서 病, 午에서 死, 申에서 絶하는 것처럼 氣가 쇠함)
④ 지지가 회방, 회국하여 일간을 극하거나 설함.
이상의 설명은 모두 사주학의 서적에서 이미 소개된 가장 핵심적인 이론이므로 잘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본서의 독특한 견해를 가지고 신왕과 신약의 구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용어의 구체화를 이루어야 한다.
신강과 신왕의 구별, 신약과 신쇠의 구별이 확실히 되어야 한다.
일간의 왕쇠강약은 천간지지의 生剋合化와 刑沖破害 및 각각의 오행의 多寡와 득시득세,
실시실세를 살펴야 하니 무척 복잡한 것이다. 「적천수」에서는 〔衰旺의 眞機를 능히 알 수 있다면
命의 절반을 터득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어려운 것이니 잘 연구해야 한다.
이제 일간의 왕쇠강약을 구별하는 법칙을 설명하기로 한다.
1. 日干旺 - 일간이 得時(예컨대
甲乙日이 月支에서 寅卯가 되고 丙丁日이 月支가 巳午이며
戊己日이 月支가 巳午辰戌丑未이고 庚辛日이 月支가 申酉이고
壬癸日이 月支가 亥子인 것) 혹은 得地(예컨대
甲乙日이 年支, 日支, 時支에서 亥寅卯未辰을 만나고
丙丁日이 年支, 日支, 時支에서 寅巳午未戌을 만나고
戊己日이 年日時의 지지에서 辰戌丑未寅 巳午를 만나고
庚辛日이 년일시의 지지에서 巳辛酉戌丑을 만나고
壬癸日이 년일시의 지지에서 申亥子丑辰을 만나는 것이다.
득지란 뿌리가 있음이니 일명 통근했다고 하는 것인데, 장생, 임관, 제왕, 묘고,
여기 등을 만난 것이다.
음일간은 장생이나 묘에서 통근하지 못함), 혹은 得勢(예컨대 甲乙日이 월지에 통근하지 못하여
득지하지 못했을지라도 천간 지지에 水木이 많아 도움을 받고, 丙丁日이 득시하지 못했을지라도
사주의 천간 지지에 木火가 많은 것, 戊己日이 월지에서 생조함을 받지 않을지라도 사주 천간
지지에 火土가 많은 것, 庚辛日이 비록 득시하지 못했을지라도 사주의 천간 지지에 土金이 많아
돕는 것)하면 일주가 旺한 것이다.
2. 日干强 - 일간이 득시하는 동시에 득세한 것, 또는 일간이 득시함과 동시에 득지한 것, 또는
일간이 득세함과 동시에 득지한 것, 또는 득시, 득세, 득지를 모두 구비한 것을 가리켜 일간이
강하다고 한다. 예컨대 사주에서 극설이 없다시피 한 것이 강이니 이는 왕이 극에 달한 것이다.
3. 日干衰 - 무릇 팔자의 일간이 실시(득시의 반대), 실지(득지의 반대), 실세(득세의 반대)한
것을 쇠라고 한다. 그런데 팔자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니 어떤 때는 실시실세하면서도 득지한
경우도 있고 실세, 실지하고도 득시한 경우도 있으며, 실시실지하면서도 득세한 경우가 있다.
왕과 쇠의 구별은 때때로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때는 일간의 득시, 득지, 득세의
세 가지 경우를 하나하나 따져 보고 분석한 후에 판단을 내려아 한다.
4. 日干弱 - 일간이 실시하는 동시에 실세한 것, 또는 일간이 실시함과 동시에 실지한 것, 또는
실지함과 동시에 실세한 것, 또는 실시함과 동시에 실지, 실세한 것을 일컬어 약이라고 한다.
이것은 사주에서 인성, 비겁, 임관, 제왕, 장생(음일간은 해당되지 않음), 묘(음일간은 해당
되지 않음), 여기, 통근 등을 전혀 얻지 못하거나 거의 얻지 못한 상태이다.
다시 말해서 극도로 쇠한 상태를 말한다.
일간의 왕쇠강약을 분간하는 문제는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득시, 득지, 득세의 세 가지를 일일이
검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천간의 生剋制化를 살피고 지지의 회합형충파해를 분석해야 한다.
예컨대 庚辛日이 지지에 申과 辰을 얻었을지라도 월지가 子가 되면 申子辰이 합하여 水局으로
변하기 때문에 辰中 戊土와 申中 庚金은 일간을 돕는 힘이 현저히 약화되는 것이다.
일간의 편에는 인성, 비겁, 임관, 제왕, 묘, 고, 여기, 장생이 있고, 일간과 반대편에는 식신,
상관, 정관, 편관, 정재, 편재가 있다. 자기편과 상대편의 역량을 비교하여 우리편이 강하면
강 또는 왕이 되고, 상대편이 강하면 쇠 또는 약이 된다.
자기편과 상대편의 역량이 백중세를 이루는 경우도 있는데, 상대편이 재성으로 이루어지면
身財兩停이라고 하고 상대편이 관살로 이루어 지면 身殺兩停이라고 한다.
자기편과 상대편이 세력이 동등한데 상대편이 주된 오행이 없고 이것저것 섞여 있어서 식상,
재, 관살이 석여서 자기편과 대항할 때는 구체적으로 상대방의 허실을 탐지한 후에 용신을
정하고 희기를 밝히고 판단을 내려야 한다.
자기편의 경우도 비겁이 많은지 인성이 많은지 아니면 비겁과 인성이 섞여 있는지를 판단하고
분석해야만이 격국과 용신과 희기를 정확히 가려낼 수 있다.
제2절 일간의 왕쇠강약 실례
일반적으로 일간이 득시하면 왕으로 보고 일간이 실시하면 쇠로 본다. 그러나 득시하고도
쇠할 수 있고 실시하고도 왕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따라서 時, 地, 勢의 세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야 하는 것이다.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1. 일간이 왕강한 경우 - 일간이 득시하는 동시에 득세하거나, 득시하는 동시에 득지하거나,
득세함과 동시에 득지하거나, 득시․득지․득세를 겸한 것이다.
甲 庚 戊 壬
申 辰 申 申
이 사주는 일간 庚金이 월지 申에서 건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득시했다. 년지와 시지에도 申이
있어 임관(祿)하고 통근하니 득지했다. 득시함과 동시에 득지했으니 일간이 왕하다.
그 뿐만 아니라 戊土가 천간에 있어서 일주를 생조하고 사주에 일주를 극하는 관살 丙, 丁이
없으니 旺이 극에 도달하여 强이 되었다.
庚 壬 己 庚
子 辰 卯 辰
壬水가 卯月에 생했으니 失時했다. 그러나 水의 庫인 辰이 년지와 일지에 있으며 제왕인 子가
시지에 있으니 득지하였다. 그리고 천간에 두 개의 庚이 년간과 시간에 있어서 일간을 생조
하고 있으니 득세하였다. 종합적으로 고찰할 때 子辰이 합하여 半水局을 이루어 일간을 방조하고
득지, 득세하였다. 득시는 못했어도 득지, 득세, 得局하니 일간이 旺하다.
辛 丙 乙 癸
卯 午 卯 未
일간 丙火가 卯月에 생하니 순수한 의미의 득시는 아니다. 그러나 월지에 통근은 하지 못했지만
인수로서 일간을 생조하고 있으니 일간을 강하게 해준다. 乙이 천간에 투출하고 卯未에 뿌리 박고,
卯未가 반합하여 木局을 이루어 일간을 木生火로 생조하고 있다.
일간 丙火가 일지에 재왕(刃)으로 뿌리가 있고 未에 여기가 있으니 득지, 득세하여 木火가
무리를 이루니 旺하게 되었다.
甲 甲 丁 甲
子 子 卯 寅
甲木이 卯月에 제왕이니 득시하고 年支 寅에 임관하니 뿌리가 튼튼하다.
두 개의 子水가 일간을 생조하며 월간과 시간에 두 개의 甲木이 있어서 일간을 방조하니
득세하였다. 득시, 득지, 득세의 세 가지를 모두 갖추고 있으니 旺이 극에 달하여 强이 되었다.
丙 乙 癸 甲
子 亥 酉 寅
乙木이 酉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그러나 년지에 寅이 있어 통근하고 甲木이 천간에 있어서 방조
하고 癸水가 일지에 시지에 뿌리를 밖고 일간을 생조하고 있으니 득지하고 득세하였다.
비록 실시했지만 득지 득세했으니 왕하게 되었다.
丁 甲 丁 辛
卯 寅 酉 亥
甲木이 酉月에 생했으니 실시했다. 그러나 일간이 일지 寅에 전록하고 시지 卯에 제왕하고
년지 亥의 甲木에 뿌리를 내리니 득지하였다. 년지 亥는 일간의 장생이다.
년간 辛金 정관이 상관 丁의 극을 받고 무력하니 일간을 극할 힘을 상실하고 말았다.
일간이 득지 득세했으니 旺한 쪽으로 기울었다.
乙 甲 乙 癸
亥 寅 卯 卯
甲木이 卯月에 생하니 득시했다. 년지, 일지, 시지에 寅, 亥, 卯가 있어 통근하고 임관, 제왕,
장생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득지하였다. 천간에 두 개의 乙이 방조하고 癸水가 일간을 생조
하니 旺이 극에 이르러 强이 되었다.
2. 일간 쇠약의 실례 - 실시하면서 실세하고, 실시하면서 실지하고, 실지하면서 실세하고,
실시․실지․실세한 것, 이상의 4가지 경우가 되면 일간이 쇠하거나 약하다.
辛 丁 丁 辛
丑 酉 酉 巳
일간 丁火가 酉月에 생했으니 실시했다. 년지 巳에 제왕으로 통근했으나 巳酉丑 金局으로
변하고 말았으니 득지하지 못하였다. 년간과 시간에 辛金이 있어 月支에 임관하고 일지에
임관하고 시지에 庫가 되어 왕하다. 월간의 丁火가 일간을 방조하고 있지만 미약하니
실세한 상태이다. 실시, 시지, 실세를 구비했으니 쇠하다.
甲 辛 庚 己
午 卯 午 卯
辛金이 午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지지가 木火로 구성되었으니 일간의 뿌리가 없어서 실지했다.
천간의 己土가 일간을 생조할 듯하지만 거리가 멀고 년지 卯의 극을 당하니 일간을 생조할
역량을 상실하고 말아서 있으나 마나한 존재로 변했다.
월간 庚金이 일간을 방조하나 역량이 부족하고 뿌리가 없이 허공에 떠있는 상태다.
실시, 실지하고 득세했다고 볼 수도 없으니 쇠하다.
庚 甲 庚 戊
午 午 申 申
甲木이 申月에 생하니 실시한 것이다. 일간이 지지에 통근하지 못하여 뿌리를 내리지 못했으니
실지했다. 庚金 칠살이 천간에 두 개나 투출하여 년지와 월지에 임관하여 뿌리가 튼튼하니
庚金의 역량이 막강하다. 천간의 戊土가 일지 시지의 午에 제왕으로 뿌리 밖아 역량이 강한데
戊土가 庚金을 생조하여 주니 일간이 재, 살을 감당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세했다.
따라서 일간은 극도로 쇠하여 약이 된다.
庚 甲 庚 丙
午 午 寅 辰
甲木이 寅月에 건록하니 득시했다.
그러나 천간에 두 개의 庚金이 있어 일간을 극하고 지지에 寅午가 合하여 半火局을 이루고
년간에 丙이 투출하니 火의 기세가 강하여 일간의 힘을 뽑아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월지 寅의
본질이 木에서 火로 변하게 된다.
다행히 월지에 寅이 있으니 局을 이루어도 변질됨이 심하지는 않다. 만약 월지 이외의 지지가
合이 되면 合한 오행으로 변질되고 만다. 이 사주는 년지 辰에 일간의 여기가 있고 辰중에
乙癸가 있어 일간을 생조하니 거기에 의지한다. 일간이 실시하고 실세했으니 쇠하다고 판단한다.
辛 丁 丁 丙
亥 酉 酉 子
丁火가 酉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게다가 지지가 金水로 구성되어 있으니 실지했다.
천간의 丙丁이 일간을 방조하고는 있지만 지지에 통근하지 못하니 역량은 미약하다.
비록 득세는 했지만 뿌리가 없었다. 그러므로 일간이 쇠하다.
甲 戊 乙 戊
寅 戌 卯 子
戊土가 卯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비록 일간이 일지 火庫에 뿌리박고 있지만 천간의 甲乙이
寅, 卯에 더 깊이 뿌리를 박고 子水의 생조를 받아 역량이 막강하여 戊土를 여지없이 극하고
있으니 실세했다. 그러므로 일간이 쇠하다.
丁 己 乙 甲
卯 亥 亥 寅
己土가 亥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지지에 亥卯가 半木局을 이루고 寅亥合하여 木이 되었다.
그러므로 실지했다. 甲乙이 천간에 투출하고 지지에 뿌리를 튼튼히 박고 있으니 역량이 막강하다.
시간 丁火가 비록 일간을 木의 기세를 뽑아서 일간을 위해 사용하려고 애쓰지만 木多하면 불이
꺼지는 법이라 맥을 쓰지 못한다. 그러므로 일간이 약하다.
3. 일간이 강왕하지도 쇠약하지도 않은 경우 - 일간과 관, 살, 재, 식, 상의 총역량을 비교했을
때 역량이 평형과 중화를 이루어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을 때가 있다.
이른바 신살양정, 신재양정 등이 그런 경우에 속한다. 이제 예를 든다.
庚 庚 丙 壬
辰 午 午 申
庚金이 午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그러나 년지에 녹이 있고 시간에 庚이 있어서 比助(비겁이 돕는 것을 비조 또는 방조하고 함)하고
있으니 득지하고 득세한 편이다. 그러므로 일간이 쇠약하다고 볼 수 없다.
칠살 丙火가 월지 午에 제왕으로 통근하고 일지 午에 제왕으로 통근했으니 火가 득시, 득지,
득세하여 왕하다. 그러나 식신 壬水가 년지 申에서 장생하며 시지 辰에 여기가 있어서 통근하고
있어서 족히 丙火를 제어할 역량이 있다.
이처럼 일간이 강왕하지도 쇠약하지도 않고 칠살 역시 식신의 제어를 받아 극성을 부리지는
못하고 있다. 이처럼 일간이 쇠약하지 않고 관살과 맞서는 것을 신살양정이라고 하니 주로
무관으로 출세한다.
癸 癸 甲 辛
亥 卯 午 巳
癸水가 午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그러나 亥에 통근하고 천간에 癸가 비조하고 년간 辛金이 木을 극하고 일간을 생조하고 있다.
년지 巳중의 庚金이 시지 亥를 沖하여 亥중 甲木을 극해 주니 木의 기세가 약화되어 火를
생조함이 심하지 않다. 亥중의 壬水는 巳중의 丙火를 극해주니 火의 기세를 감소시켰다.
午中 丁火 재성이 천간 지지의 木火에 생조함을 얻었으니 약하지 않다.
그러므로 일간과 재가 균형을 이루었다. 신재양정이니 부자가 된다.
庚 戊 甲 癸
申 戌 寅 未
戊土가 寅月에 생하니 실시했다.
일지가 戌土여서 통근하고 지지 未申寅에 火 또는 土의 氣가 있어 통근하니 신쇠하지 않다.
그러므로 득지한 것이다. 칠살 甲木이 월지의 本氣로써 월지에 뿌리 박고 未는 木의 庫이니
역시 통근한데다가 년간 癸水의 생조를 받아 왕하다. 그래서 일간을 극할 역량이 충분하다.
그러나 庚申이 時柱가 月支 甲寅을 천극지충하여 극제하니 살이 제어를 받아 나를 위해 일하는
하인으로 변했다. 년간 癸水가 未를 깔고 앉아 밑으로부터 극을 받으니 역량이 강하지 못하여
재생살을 제대로 하지 못해 다행이다. 이 사주는 일간이 왕하지도 약하지도 않다.
왕한 식신을 用神으로 하여 칠살을 제어하니 무관으로 출세하였다.
|
첫댓글 이곳을 잘 터득해야 하는데 알듯 알듯 하면서도 아~~주 먼듯합니다.설명한번 들었으면 참으로 쉽지 않겠나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내용이 ???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