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스센터 (토론토, 캐나다) 1989년 개장하였고 49,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개폐식 돔구장이다. 좌측-100M 중앙-122M 우측-100M의 대칭형 구장으로 야구경기 이외에도 풋볼/콘서트 장소 등으로 활용된다. 지붕을 열어도 돔 특유의 Bowl 형태의 구조적 특성상, 실내소음이 큰 관계로 투수의 투구집중에 큰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인조잔디인 관계로 빨리 흘러가는 타구에 대한 수비의 어려움으로 파크팩터가 커 전통적인 타자 친화적 구장에 속한다. 경기에 대한 높은 집중력과 날카로운 제구력으로 플라이볼을 유도해 낼 수 있는 투수에게는 오히려 안성맞춤일 수도 있다. 펫코파크 (샌디에고, 미국) 2004년에 개장하였으며 46,000여명을 수용한다. 중앙펜스(120.7미터)가 좌우중간 펜스(122.5미터) 보다 조금 앞으로 나와 있으며 전반적으로 넓은 외야형태를 취한다. 좌/우중간이 정중앙보다 깊숙하다는 얘기는 그만큼 실제 야구경기에서 홈런을 양산하기가 어렵다는 얘기가 된다. (실제 홈런타구의 방향은 중앙보다는 좌우중간쪽으로 더 많으므로,,, 반면에 2/3루타의 양산 가능성은 더 크다) 외야와 파울지역이 넓고 해안가에 위치하는 관계로 습도도 높아 대표적인 투수친화적 구장으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주변 고층빌딩의 건설로 고온시 바람의 기류가 일부 바뀌어 평상시와 달리 홈런이 갑자기 많이 나오는 경기도 종종 발생한다고 한다. 다저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미국) 56,000여명을 수용하며 1962년 개장된 오래된 경기장이나, 해마다 리모델링 및 유지보수에 노력을 기울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좌/우 길이 각 101m, 중앙펜스 길이 120m의 대칭형 외야구조이며, 기존의 파울영역이 너무 넓어 2005년말 개보수 공사 때에는 홈플레이트쪽과 1/3루쪽 파울라인 하단 스탠드를 앞으로 끌어당기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파크팩터에서는 펫코파크와 더불어 하위권을 형성하고 있는 전통적인 투수친화적 구장에 속한다. 미네아폴리스에 위치한 미네소타 트윈스의 홈구장.풋볼 겸용구장이면서, 공기부양식 지붕으로 상시 덮혀져 있어서,실제 경기중 관중소음이 엄청나다고 함.과거 폭설로 인하여 경기장 지붕이 함몰된 적도 있었음. 1976년 몬트리얼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으로 내부 스탠드를 개조하여 엑스포스의 홈구장으로 사용.그러나 계속된 팀성적 부진과 취약한 재정상태, 퀘벡을 위시한 주변지역 특유의 프랑스권 문화로 야구에 대한 무관심에 기인한여 2004년 워싱턴 내셔널스로 팀 재편 후 이전. 1966년 개장한 야구경기장으로, 미국 메이저리그 아메리칸리그에 소속된 프로야구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홈구장이다. 원래는 주로 육상과 미식축구를 위한 다목적경기장으로 세웠으나 1968년 4월 17일에 애슬레틱스가 캔자스시티로부터 연고지를 옮기면서 야구장으로서 처음 이용하였다. 크기는 좌우 길이 각각 101m, 중앙 길이 122m, 펜스 높이 2.24m~4.57m이며 운동장 표면은 천연잔디이다. 지붕이 없고 회색 콘크리트가 노출되어 외형이 단순한 탓에 ‘대무덤(Mausoleum)’이라고도 한다. 2000월 4월 11일 개장한 야구경기장으로, 미국 메이저리그 아메리칸리그에 소속된 프로야구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홈구장이다.1997년 10월 29일 공사를 시작하여 3년 만에 완공하였으며 크기는 왼쪽 길이 105m, 중앙 길이 129m, 오른쪽 길이 101m이고 운동장 표면은 천연잔디이다. 최근 유행하는 도심 속 구장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전(前) 홈구장인 타이거스타디움에서 가깝다. 왼손타자를 위해 오른쪽 펜스까지의 거리를 100m로 유지하고 관중이 경기를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좌석을 정렬하는 등 전 구장의 특징을 그대로 살렸다. 오른쪽 외야 뒤로는 화려한 스카이라인을 갖춘 도심전경이 아름답다. 니혼햄 파이터스의 홈구장 삿포로 돔2001년 5월 완공하였다.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리그에 소속된 니혼햄 파이터스가 2003년에 연고지를 도쿄[東京]에서 삿포로로 옮기면서 홈구장이 되었다. 일본 프로축구 J리그의 2부 팀인 콘사도레 삿포로의 홈구장이기도 하다.시 중심가에서 7.5㎞ 지점에 있으며 부지면적 30만 6442㎡, 건축면적 5만 3644㎡, 연건평 9만 1073㎡에 지상 4층, 지하 2층의 규모이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지붕은 셸형으로 긴반지름 245m, 짧은반지름 227m이고, 돔의 최대 높이는 68m이다.경기장 면적은 1만 6906㎡이고, 천연 잔디가 깔린 이동식 축구 경기장의 크기는 85m×120m×1.38m이고, 인조 잔디가 깔린 야구 경기장은 양 사이드 거리 100m, 센터 거리 120m이다. 관중석은 1층식 스탠드 구조로 수용인원은 4만 2122명이며, 영상·표시 겸용의 대형 영상장치 1대를 설치하였다. 야구장에서 축구 경기장으로 전환하는 데는 5시간 정도 소요된다. 세이부 라이온즈의 홈구장 일본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뚜껑씌운 돔구장으로 유명하지만, 그건 일본의 건축방식, 즉 지진에 대비하기위해 기둥을 지하 몇십미터 까지 박아서 튼튼한 베이스로 건축된 방식 주니치 드래곤즈의 홈구장 나고야 돔 1997년 3월 완공한 야구경기장으로, 일본 프로야구팀 주니치 드래건스의 홈구장이다. 아이치현[愛知縣] 나고야시[名古屋市]에 있으며 수용인원은 4만 500명이다. 경기장의 크기는 좌우 길이 각각 100m, 중앙 길이 122m, 펜스 높이 5m, 지면으로부터 지붕까지 높이 60m이다. 내·외야가 인조잔디로 되어 있다. 외야 거리가 길고 펜스가 높아, 일본에서 다이에 호크스의 홈구장인 후쿠오카돔에 이어 크다.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주루(走壘)와 타격 기술을 중시하는 경기방식에 적합하다.주니치 드래건스가 주식의 51%를 소유하고 있으나 별도의 주식회사로 운영되며, 주니치는 입장수입의 25%를 사용료로 지불한다 오릭스 홈팀의 오사카 돔 구장 후쿠오카 야후 돔 기본정보 1993년4월2일개장한후쿠오카야후돔은일본최초의개폐식돔구 장이다.구장의실내크기는도쿄돔의약1.4배가량되며,이는일본최 대 규모다. 소프트 뱅크의 홈구장 후쿠오카 야후돔 후쿠오카 돔(일본어: 福岡ドーム, Fukuoka Dome)은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시에 있는 일본 최초의 개폐식 돔 구장이며, 프로 야구 퍼시픽 리그 팀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이다.3만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구장이며, 캐나다의 로저스 센터를 모델로 한 개폐식 돔 구장이다. 1993년 4월 2일에 완공, 2005년에 다이에를 대신해서 호크스를 소유하게 된 소프트뱅크의 자회사에 해당하는 야후 주식회사가 명명권을 취득하여 후쿠오카 Yahoo! JAPAN 돔(福岡Yahoo! JAPANドーム), 또는 통칭 야후 돔(ヤフードーム)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도쿄돔 (도쿄, 일본) 1988년 개장하였으며 55,000여명을 수용한다. 좌우 대칭형 구장으로 좌/우 펜스거리는 100M, 중앙은 122M의 타원형 외야구조이며 펜스높이는 4M이다. 자연풍의 영향이 전혀 없는 관계로 장타가 많이 나오는 대표적인 타자친화적 구장으로 평가받는다. 인조잔디 구장으로 바운드시 타구의 속도가 빨라지며, 돔구장의 지붕이 흰색인 관계로 경기장이 익숙치 않은 경우 종종 높이뜬 플라이볼을 놓치는 에러도 발생한다. 삿포로 돔( 축구장 겸용 야구장 ) 세이부 돔 도쿄돔 야후 돔 쿄세라 돔 나고야 돔 오릭스 스타디움 마린즈 스타디움 고시엔 스타디움 라쿠텐 이글스 히로시마 마즈다 구장 요코하마 베이스타디움 출처 : FILEND of deram & City of joy 메이저리그 LA 다저스 메이저리그 야구장 보스톤 메이저리그 야구장 시애틀 매리너스 메이저리그 야구장 휴스톤 메이저리그 야구장 밀워키 애리조나 한국 야구장 삼성 라이온즈의 홈구장 수용인원 1만명 국내에서 가장 시설낙후된 19 50년기 후반기에 개장 시에서 만든 동네야구장을 삼성에서 사용중이다 좌우 길이 각각 99m, 중앙 길이 120m 사직 야구장 규모 좌우펜스 95미터, 중앙펜스... 규모: 좌우 100m 중앙 - 125m 대구 구장은 정밀 안전진단을 한 결과 E등급을 받았다. E등급은 건축물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이 있어 즉각 사용을 중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을 해야 하는 상태를 말한다. 철근은 붕괴를 막기 위한 임시 방편중에 사용중이다. 암울하다 한국 야구장 기아타이거즈의 홈구장 광주 구장의 건립 연도는 1965년. 광주 무등야구장은 1만4천석 규모의 구장으로 알려져 있지만 홈팀인 KIA 구단은 실제로는 1만1천명 정도만 입장시키고 있다. “무등야구장에 정원대로 관중이 들어오면 여기저기서 난리가 날 것”이라는 것이 KIA 관계자의 한탄이다. 무등야구장은 건립 44년째를 맞아 노후화 그저 암울하다
출처: 김주용의 사회인야구레슨 원문보기 글쓴이: (카페지기)김코치
첫댓글 휴스턴구장이랑시애틀구장이 바뀌었네여ㅎㅎ
휴스턴구장이랑시애틀구장이 바뀌었네여ㅎㅎ
그러니 찬영이 가봤구나 우리두 저런구장하나있음 넘 좋긋당
우리 야구장이 였으면 부럽
첫댓글 휴스턴구장이랑시애틀구장이 바뀌었네여ㅎㅎ
휴스턴구장이랑시애틀구장이 바뀌었네여ㅎㅎ
그러니


찬영이 가봤구나

우리두 저런구장하나있음 넘 좋긋당

우리 야구장이 였으면 부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