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근대변증설」 한글풀이
1. 「조근대변증설」과 조승(助繩)
「조근대변증설」은 '조근대'에 관하여 논증한 글로서,
『오주연문장전산고』人事篇○服食類 / 冠巾에 실려 있습니다.
'조근대'가 어떤 물건이고 어떤 이치로 작동하는 지에 대해서는 알 수는 없지만,
영화 『아이언맨』의 파워 슈트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믿었던 것 같습니다.
☞ 「조근대변증설」원문 보기 : 한국고전종합DB, 「조근대변증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GO_1301A_0100_090_0070_2005_001_XML
활쏘는 궁사들이「조근대변증설」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과시험에서 육량전 쏘는 모습의 일부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승'이라는 밧줄로 어깨와 다리를 잇고,
몸과 다리를 펴는 힘을 빌려 활을 당겼던 것입니다.
'조승'은 부정행위였고,
우스꽝스럽고 우매한 행위로 인식되었던 같습니다.
그렇기에 「조근대변증설」에서는 '조근대'를 비판하면서,
무과시험의 '조승'을 예로 든 것입니다.
2. 오주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대하여
다음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대한 위키백과의 개요 설명입니다.
책 제목의 '오주(五洲)'는 '5대양 6대주'의 줄임말이자 저자 이규경의 호이며, 책에 대한 저자 자신의 겸손함이 담긴 '거친 문장'이라는 뜻의 '연문(衍文)', 문장 형태의 하나인 '장전', '흩어진 원고'라는 뜻의 '산고(散稿)'가 합쳐진 말이다. 60권 60책에 달하는 분량 속에 천문, 의학, 역사, 지리, 농업, 서학, 병법, 광물, 초목, 어충, 음악 같은 방대한 항목에 관한 설명을 1,417개 항목의 '변증설'(저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피력된)로 처리하여 세밀한 문제까지도 고증학적 태도로 다루었다. 서문에서 저자는 "명물도수(名物度數)의 학문이 성명의리지학(성리학)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가히 폐할 수는 없는 일이다."라며 다양한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처음 편찬된 뒤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다. 이 책의 가치가 새롭게 평가된 것은 1930년대, 당시 조선광문회(朝鮮廣文會)를 만든 최남선(崔南善)이 어느 날 우연히 군밤장수의 포장지로 사용되고 있는 《오주연문장전산고》를 극적으로 발견하여 이 책을 입수했는데, 이때 입수된 책은 모두 60권 60책으로 이미 몇 장은 없어진 상태였고 그 편집 체제도 일정하지 않았다. 때문에 학자들은 원래의 《오주연문장전산고》는 현재의 분량보다 더 많은 분량이었을 거라고 추정했다.
그렇게 발견된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최남선이 찾아낸 원본을 바탕으로 다시 필사본이 제작되었고, 이는 규장각 도서로 편입되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었다. 하지만 최남선이 소장한 원본은 영인하지 못한채 6.25 전쟁으로 불타버리고 대신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필사본만 남아 전해지게 된 것이 바로 현재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서번호는 규5627. 그나마도 현재 1권에서 4권까지는 낙질되어 최종적으로는 56책만이 남아있다.
☞ 인용문의 출처 : 위키백과, 『오주연문장전산고』,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A3%BC%EC%97%B0%EB%AC%B8%EC%9E%A5%EC%A0%84%EC%82%B0%EA%B3%A0
3. 「조근대변증설」 한글풀이
부실한 한문 실력으로 인하여 의역을 하였고,
더보기 기능으로 한문 자전을 추가하였습니다.
助筋帶辨證說
조근대 변증설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辨 분별할 변; ⾟-총16획; [biàn]
분별하다, 분명히 하다, 나누다
證 증거 증; ⾔-총19획; [zhèng]
증거, 증명하다, 알리다, 고하다
說 말씀 설; ⾔-총14획; [shuō,shuì,yuè]
말씀, 말, 도(道), 도리(道理), 말하다, 이야기하다, 서술하다, 논하다, 해석하다, 타이르다, 교육하다, 변명하다
助筋帶。疇所創也。
조근대는 경계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疇 밭두둑 주; ⽥-총19획; [chóu]
밭두둑, 밭, 경계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創 비롯할 창; ⼑-총12획; [chuàng,chuāng]
비롯하다, 만들다, 혼이 나다, 데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余爲老病貧窮者。繭足登陟。噫吁喘促。命在呼吸之頃而作也。嘗創說輪筇。
(조근대는 값이 비싸서) 나와 같이 늘고 병들어 가난하고 빈궁한 사람들에게
누에로 만든 비싼 신발을 신고서 산을 오르라고 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한탄스럽게도 (조근대를 쓰는 것은) 숨을 헐떡거리며 목숨이 경각에 달린 사람에게
넓은 땅을 경작하라고 하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일찍이 '윤공'의 황당함에 대하여서도 변증하였다.
<오주 이규경은 「윤공변증설」에서 '윤공'에 대하여 변증하였습니다.
☞ 참고사항 : 「윤공변증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GO_1301A_0100_100_0010_2005_001_XML
예로부터 지팡이는 어른의 상징이었고, 고을의 수장이 고을의 어르신에게 선물로 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미공 진계유에게는 상구지법이 있었다고 합니다. (眉公陳繼儒有相筇之法)
이러한 원리에 착안하여 만든 지팡이가 '윤공'라고 합니다.
조그만 바퀴가 달린 신발처럼 작용하기에 지팡이로 밀며 달리는데,
평지에서는 바퀴처럼 구르고 험지에서는 지팡이로 뛰어 넘으니,
백리 길도 오십리의 노력으로 갈 수 있다고 합니다.>
余 나 여; ⼈-총7획; [yú]
나, 자신, 음력 4월, 나머지(餘의 俗字로 쓰인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老 늙은이 로{노}; ⽼-총6획; [lǎo]
늙은이, 늙다, 쇠하다, 쉬다, 썩다, 치사(致仕)하다, 늙어서 벼슬을 그만두다
病 병 병; ⽧-총10획; [bìng]
병, 질병, 흠, 하자, 근심,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 괴로워하다, 어려워하다, 피곤하다, 원망하다, 괴롭히다, 비방하다, 욕보이다, 책망하다
貧 가난할 빈; ⾙-총11획; [pín]
가난하다, 가난, 곤궁, 가난한 사람
窮 다할 궁; ⽳-총15획; [qióng]
다하다, 끝나다, 말다, 그치다, 떨어지다, 막히다, 어려움을 겪다, 가난하다, 궁구하다, 끝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繭 고치 견; ⽷-총19획; [jiǎn]
고치, 누에고치, 솜 옷, 이어지다
足 발 족; ⾜-총7획; [zú]
발, 뿌리, 근본, 산기슭, 그치다, 머무르다, 가다, 달리다
登 오를 등; ⽨-총12획; [dēng]
오르다, 지위에 오르다, 높은 곳을 오르다, 수레에 타다, 올리다, 윗사람에게 바치다, 싣다, 사람을 끌어올려 쓰다, 더하다, 보태다
陟 오를 척; ⾩-총10획; [zhì]
오르다, 올리다, 추천하다, 나아가다
噫 탄식할 희; ⼝-총16획; [yī]
탄식하다, 아!, 트림, 하품
吁 탄식할 우; ⼝-총6획; [xū,yū,yù]
탄식하다, 내불다, 숨을 내쉬다, 아!
喘 헐떡거릴 천; ⼝-총12획; [chuǎn]
헐떡이다, 기침, 숨, 호흡
促 재촉할 촉; ⼈-총9획; [cù]
재촉하다, 다가오다, 이르다
命 목숨 명; ⼝-총8획; [mìng]
목숨, 운수, 운, 명하다, 명령을 내리다
在 있을 재; ⼟-총6획; [zài]
있다, 보다, 살피다, 제 멋대로 하다
呼 부를 호; ⼝-총8획; [hū]
부르다, 숨을 내쉬다, 호통 치다
吸 숨 들이쉴 흡; ⼝-총7획; [xī]
숨을 들이쉬다, 마시다, 빨다, 구름이 움직이는 모양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頃 밭 넓이 단위 경; ⾴-총11획; [qǐng]
밭 넓이의 단위, 요사이, 근래, 기울다, 기울이다, 여자가 국정(國政)을 마음대로 하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嘗 맛볼 상; ⼝-총14획; [cháng]
맛보다, 시험 삼아, 시험하다, 일찍이
創 비롯할 창; ⼑-총12획; [chuàng,chuāng]
비롯하다, 만들다, 혼이 나다, 데다
說 말씀 설; ⾔-총14획; [shuō,shuì,yuè]
말씀, 말, 도(道), 도리(道理), 말하다, 이야기하다, 서술하다, 논하다, 해석하다, 타이르다, 교육하다, 변명하다
輪 바퀴 륜{윤}; ⾞-총15획; [lún]
바퀴, 수레, 수레를 세는 단위
筇 대 이름 공; ⽵-총12획; [qióng]
대 이름, 공죽(筇竹), 지팡이를 만들기에 알맞다, 지팡이
載於《衍文長箋》中。
《연문장천》 중에서 인용하다.
載 실을 재; ⾞-총13획; [zài,zǎi]
싣다, 실어서 운반하다, 기재하다, 머리에 얹다, 수레에 오르다, 탈것, 수레․배․썰매 따위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衍 넘칠 연; ⾏-총9획; [yǎn]
넘치다, 흐르다, 가다, 순행하다
文 글월 문; ⽂-총4획; [wén]
무늬, 채색, 얼룩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箋 찌지 전; ⽵-총14획; [jiān]
찌지, 부전(附箋), 주해(註解), 글, 글을 쓴 것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尙未一試者。無資可作而然。今又出萬一之妄想。復作助筋帶者。
오히려 무과시험을 한 번도 치르지 않은 사람들은 가히 조근대를 사용하려고 하지 않지만,
(무과시험을 한 번이라도 치른 사람 중에서)
이제 지금 또 만에 하나라는 허황된 가능성을 품고서 조근대를 다시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尙 오히려 상; ⼩-총8획; [shàng]
오히려, 바라다, 바라건대, 높다, 높이다, 숭상하다
未 아닐 미; ⽊-총5획; [wèi]
아니다, 아직 -하지 못하다, 아직 그러하지 아니하다, 미래, 장래, 여덟째 지지(地支), 오후 1-3시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試 시험할 시; ⾔-총13획; [shì]
시험하다, 맛보다, 간을 보다, 시험 삼아 해 보다, 조사하다, 점검하다, 찾다, 점검하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無 없을 무; ⽕-총12획; [wú,mó]
없다, 허무(虛無)의 도, 말라, 금지하는 말
資 재물 자; ⾙-총13획; [zī]
재물, 밑천, 자본, 비발, 비용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今 이제 금; ⼈-총4획; [jīn]
이제, 이, 이에(사물을 가리키는 말), 혹은
又 또 우; ⼜-총2획; [yòu]
또, 다시, 용서하다, 오른손, 오른쪽(右)
出 날 출; ⼐-총5획; [chū]
나다, 나타나다, 나가다, 내다, 내보내다, 간행하다
萬 일만 만; ⾋-총13획; [wàn,mò]
일만, 수의 많음을 나타내는 말, 다수, 크다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妄 허망할 망; ⼥-총6획; [wàng]
허망하다, 거짓, 무릇, 망령되다
想 생각할 상; ⼼-총13획; [xiǎng]
생각하다, 생각, 모양, 형상
復 돌아올 복; ⼻-총12획; [fù]
돌아오다, 돌려보내다, 뒤집다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凡老病脚痿。專由於無氣筋弛而然。如得一線之扶支。
則痿筋弛絡。庶可借得其力。易於踰嶺踐壑。不至顚沛坐廢矣。
무릇 늙고 병들어 다리가 저리고, 오로지 기운이 없어서 근력이 풀린 연후에, 이와 같이 한 가닥 끈으로 버팀목을 삼는다.
즉 힘줄이 저리고 경락이 풀리기에, 다른 곳에서 그 부족한 힘을 빌린다.
그렇게 산 넘고 골짜기 건너듯이 바꾸는데도,
정상에 오르지 못하고 늪지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는 게 될 뿐이다.
凡 무릇 범; ⼏-총3획; [fán]
무릇, 모두, 다, 합계
老 늙은이 로{노}; ⽼-총6획; [lǎo]
늙은이, 늙다, 쇠하다, 쉬다, 썩다, 치사(致仕)하다, 늙어서 벼슬을 그만두다
病 병 병; ⽧-총10획; [bìng]
병, 질병, 흠, 하자, 근심,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 괴로워하다, 어려워하다, 피곤하다, 원망하다, 괴롭히다, 비방하다, 욕보이다, 책망하다
脚 다리 각; ⾁-총11획; [jiǎo,jué]
다리, 정강이, 다리의 범칭, 발자취, 물건의 다리, 바탕, 기슭, 걸음걸이, 파발꾼, 급한 전갈을 하는 심부름꾼, 밟다
痿 저릴 위; ⽧-총13획; [wěi]
저리다, 마비되다, 음위증(陰痿症), 앉은뱅이, 잘름거리다
專 오로지 전; ⼨-총11획; [zhuān]
오로지, 마음대로, 섞이지 아니하다
由 말미암을 유; ⽥-총5획; [yóu]
말미암다, 인연하다, 따르다, 본으로 하다, -에서, -에서부터, -을 통하여, 곡절, 사정, 연유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無 없을 무; ⽕-총12획; [wú,mó]
없다, 허무(虛無)의 도, 말라, 금지하는 말
氣 기운 기; ⽓-총10획; [qì]
기운, 공기, 대기, 숨, 숨 쉴 때 나오는 기운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弛 늦출 이; ⼸-총6획; [chí]
늦추다, 활 부리다, 활시위를 벗기다, 없애다, 제거하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如 같을 여; ⼥-총6획; [rú]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得 얻을 득; ⼻-총11획; [dé,dė,děi]
얻다, 이익, 이득, 덕(德)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線 줄 선; ⽷-총15획; [xiàn]
줄, 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扶 도울 부; ⼿-총7획; [fú]
돕다, 떠받치다, 붙들다, 곁, 옆
支 가를 지; ⽀-총4획; [zhī]
가르다, 가지, 지탱하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痿 저릴 위; ⽧-총13획; [wěi]
저리다, 마비되다, 음위증(陰痿症), 앉은뱅이, 잘름거리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弛 늦출 이; ⼸-총6획; [chí]
늦추다, 활 부리다, 활시위를 벗기다, 없애다, 제거하다
絡 헌솜 락; ⽷-총12획; [luò,lào]
헌 솜, 누이지 아니한 삼(麻), 명주, 깁
庶 여러 서; ⼴-총11획; [shù]
여러, 많다, 살찌다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借 빌 차; ⼈-총10획; [jiè]
빌다, 빌리다, 돕다, 가령
得 얻을 득; ⼻-총11획; [dé,dė,děi]
얻다, 이익, 이득, 덕(德)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力 힘 력{역}; ⼒-총2획; [lì]
힘, 힘쓰다, 부지런히 일하다, 있는 힘을 다하여
易 바꿀 역; ⽇-총8획; [yì]
바꾸다, 고치다, 교환하다, 바뀌다, 새로워지다, 도마뱀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踰 넘을 유; ⾜-총16획; [yú]
넘다, 지나가다, 건너다, 이기다, 타넘다, 가다, 나아가다, 뛰다, 더욱, 한층 더
嶺 재 령{영}; ⼭-총17획; [lǐng]
재, 산봉우리, 연산(連山), 잇달아 뻗어 있는 산줄기
踐 밟을 천; ⾜-총15획; [jiàn]
밟다, 걷다, 실천하다, 지키다, 부임하다, 어떤 지위에 오르다, 따르다, 해치다, 베다
壑 골 학; ⼟-총17획; [hè]
골, 산골짜기, 도랑, 개천, 해자(垓字), 성지(聖地)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至 이를 지; ⾄-총6획; [zhì]
이르다, 새가 땅에 내려앉다, 도래하다, 미치다, 닿다, 두루 미치다, 끝 가다, 지극히, 매우, 지극하다, 극에 이르다
顚 꼭대기 전; ⾴-총19획; [diān]
꼭대기, 정수리, 산정(山頂), 이마, 목, 고개
沛 늪 패; ⽔-총7획; [pèi]
늪, 습지, 성대한 모양, 성한 모양
坐 앉을 좌; ⼟-총7획; [zuò]
앉다, 앉아서, 아무 일도 하지 않고서, 무릎 꿇다
廢 폐할 폐; ⼴-총15획; [fèi]
폐하다, 그만두다, 부서지다
矣 어조사 의; ⽮-총7획; [yǐ]
어조사, 단정․결정․한정․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구(句) 가운데서, 또는 다른 조사 위에 쓰이어 영탄의 뜻을 나타냄, 구(句) 끝에서 다음 말을 일으키는 말
其機蓋取諸身。人之一身脈絡。有若引繩糾結。互相維持。而能立能行。故象其縱橫牽掣。亦以絲繩倣其狀而依樣施著。
그 틀이 온 몸을 취하여 덮으니, 그 사람의 일신의 맥락이 된다.
만약 밧줄을 당겨서 서로 매듭을 맺는다면,
상호 간에 서로 의지할 수 있기에,
능히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끼리 무리는 종횡으로 서로 당겨주며 서로 끌어주었는데,
코끼리 무리의 이러한 형상을 본받아서,
역시 밧줄도 서로 의지하는 모범을 보이는 것이 분명하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機 틀 기; ⽊-총16획; [jī]
틀, 기계, 베틀, 용수철
蓋 덮을 개; ⾋-총14획; [gài,gě]
덮다, 덮어씌우다, 덮개, 이엉덮개, 뚜껑, 용기의 아가리 덮개
取 취할 취; ⼜-총8획; [qǔ]
취하다, 골라 뽑다, 돕다, 의지하다
諸 모든 제; ⾔-총16획; [zhū]
모든, 여러, 어조사, 어세 강조 발어사, -은․는, 이(대명사‘之’와 같다), -에게, -에서, 간수하다, 갈무리하다
身 몸 신; ⾝-총7획; [shēn,yuán]
몸, 신체, 나 자신, 자기의 능력․이익․성행(性行), 신분, 줄기, 칼날, 식물 줄기, 몸소, 친히, 임신하다
人 사람 인; ⼈-총2획; [rén]
사람, 인간, 백성, 남, 타인, 인품, 인격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身 몸 신; ⾝-총7획; [shēn,yuán]
몸, 신체, 나 자신, 자기의 능력․이익․성행(性行), 신분, 줄기, 칼날, 식물 줄기, 몸소, 친히, 임신하다
脈 맥 맥; ⾁-총10획; [mài,mò]
맥, 혈맥, 수로(水路), 줄기, 연닮, 잇달음
絡 헌솜 락; ⽷-총12획; [luò,lào]
헌 솜, 누이지 아니한 삼(麻), 명주, 깁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若 같을 약; ⾋-총9획; [ruò,rě]
같다, 너, 만일
引 끌 인; ⼸-총4획; [yǐn]
끌다, 끌어당기다, 활을 쏘다, 물러나다, 물리치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糾 꼴 규; ⽷-총8획; [jiū]
꼬다, 드리다, 끌어 모으다, 거두다, 합치다
結 맺을 결; ⽷-총12획; [jié,jiē]
맺다, 맺히다, 열매를 맺다, 마음에 뭉쳐있다, 사귀다, 끝내다, 완성하다, 다지다, 단단히 하다, 막다, 못하게 하다
互 서로 호; ⼆-총4획; [hù]
서로, 함께, 갈마들다, 고르지 아니하다
相 서로 상; ⽬-총9획; [xiāng,xiàng]
서로, 보다, 자세히 보다, 바탕
維 바 유; ⽷-총14획; [wéi]
바, 밧줄, 매다, 받치다
持 가질 지; ⼿-총9획; [chí]
가지다, 보전하다, 보존하다, 지키다, 유지하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立 설 립{입}; ⽴-총5획; [lì]
서다, 확고히 서다, 정해지다, 이루어지다, 나타나다, 전해지다, 존재하다, 세우다, 곧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故 옛 고; ⽁-총9획; [gù]
예, 이미 지나간 때, 옛, 예전의, 옛날의, 원래, 본래
象 코끼리 상; ⾗-총12획; [xiàng]
코끼리, 상아(象牙), 모양, 그림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縱 늘어질 종; ⽷-총17획; [zòng]
늘어지다, 용서하다, 놓다, 활을 쏘다, 풀다, 쫓다, 불을 놓다
橫 가로 횡; ⽊-총16획; [héng,hèng]
가로, 동서, 좌우, 가로놓다, 옆으로 누이다, 옆으로 차다, 가로지르다
牽 끌 견; ⽜-총11획; [qiān]
끌다, 끌어당기다, 거느리다, 만류하다, 강요하다, 거리끼다, 구애되다, 매이다
掣 끌 체{당길 철}; ⼿-총12획; [chè]
끌다, 당기다, 끌어당기다, 끌다, 억눌리다, 억압되다
亦 또 역; ⼇-총6획; [yì]
또, 또한, 모두, 크게, 대단히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絲 실 사; ⽷-총12획; [sī]
실(糸), 명주실, 실을 잣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倣 본뜰 방; ⼈-총10획; [fǎng]
본뜨다, 준거하다, 의지하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狀 형상 상; ⽝-총8획; [zhuàng]
형상, 모양, 용모, 형용하다, 문서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依 의지할 의; ⼈-총8획; [yī]
의지하다, 돕다, 힘이 되다
樣 모양 양; ⽊-총15획; [yàng]
모양, 형상, 상태, 본, 본보기, 모범, 무늬, 문채
施 베풀 시; ⽅-총9획; [shī]
베풀다, 퍼지다, 널리 전하여지다, 행하다
著 분명할 저; ⾋-총13획; [zhù,zhuó]
분명하다, 드러나다, 분명하다, 나타내다, 분명하게 하다, 짓다, 저술하다, 기록하다, 그리다
則內之筋絡。 雖已解弛。外之絲繩。自然弛張。攀躋岌嶪。陞降崎嶇。可免臲卼蹩躄之患。製圖說。
즉 몸 안의 힘줄과 경락이,
비록 이미 풀어지고 흩뜨려졌지만,
밖으로는 밧줄이 서로 연결하여,
자연스럽게 맺혀지고 풀어진다.
바위를 잡고 높은 험산을 오르고
험하고 굴곡진 지형을 오르고 내리는데,
가히 발을 절고 주저 앉는 위기를 위태위태하게 간신히 넘길 수 있기에,
높고 험한 산을 오르듯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체적인 시각에서,
조근대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內 안 내; ⼊-총4획; [nèi]
안, 들다, 들이다, 어머니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絡 헌솜 락; ⽷-총12획; [luò,lào]
헌 솜, 누이지 아니한 삼(麻), 명주, 깁
雖 비록 수; ⾫-총17획; [suī]
비록, 그러나, =라 하더라도, =라 할지라도, 벌레 이름, 밀다, 추천하다
已 이미 이; ⼰-총3획; [yǐ]
이미, 말다, 그치다, 버리다, 버려두다
解 풀 해; ⾓-총13획; [jiě,jiè,xiè]
풀다, 가르다, 해부하다, 벗기다, 흩뜨리다, 열다, 용서하다, 놓아주다, 타이르다, 풀리다, 이해되다, 납득이 가다, 해이해지다, 떨어지다, 해지다, 화목해지다, 깨닫다, 또 깨달음
弛 늦출 이; ⼸-총6획; [chí]
늦추다, 활 부리다, 활시위를 벗기다, 없애다, 제거하다
外 밖 외; ⼣-총5획; [wài]
밖, 바깥, 이전, 용의(容儀), 차림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絲 실 사; ⽷-총12획; [sī]
실(糸), 명주실, 실을 잣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自 스스로 자; ⾃-총6획; [zì]
스스로, 몸소, 자기, 자연히, 저절로, 어조사, -로부터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弛 늦출 이; ⼸-총6획; [chí]
늦추다, 활 부리다, 활시위를 벗기다, 없애다, 제거하다
張 베풀 장; ⼸-총11획; [zhāng]
베풀다, 매다, 넓히다, 크게 하다
攀 더위잡을 반; ⼿-총19획; [pān]
더위잡다, 무엇을 붙잡고 오르다, 매달리다, 달라붙다, 의지하다, 힘으로 이용하다
躋 오를 제; ⾜-총21획; [jī,jì]
오르다, 올리다, 떨어지다, 추락하다
岌 높을 급; ⼭-총7획; [jí]
높다, 위태로운 모양, 급한 모양
嶪 높고 험할 업; ⼭-총16획; [yè]
산이 높고 험하다
陞 오를 승; ⾩-총10획; [shēng]
오르다, 나아가다, 전진하다, 관위(官位)가 오르다
降 내릴 강{항복할 항}; ⾩-총9획; [jiàng,xiáng]
내리다, 항복하다, 적에게 굴복하다, 항복받다, 크게
崎 험할 기; ⼭-총11획; [qí]
험하다, 갑, 곶, 바다로 길쭉하게 내민 육지
嶇 험할 구; ⼭-총14획; [qū]
험하다, 산길이 평탄하지 아니하다, 괴로워하다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免 면할 면; ⼉-총7획; [miǎn]
면하다, 벗다, 모자 따위를 벗다, 해직하다
臲 위태할 얼; ⾃-총16획; [niè]
위태하다, 불안하다
卼 위태할 올; ⼙-총9획; [wù,yuè]
위태하다
蹩 절름발이 별; ⾜-총19획; [bié,piē]
절름발이, 밟다, 또 차다, 애쓰는 모양, 에도는 모양
躄 앉은뱅이 벽; ⾜-총20획; [bì]
앉은뱅이, 또 절뚝발이, 넘어지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患 근심 환; ⼼-총11획; [huàn]
근심, 걱정, 고통, 재난, 병(病), 근심하다, 앓다, 병들다
製 지을 제; ⾐-총14획; [zhì]
짓다, 옷‧글‧약을 짓다, 기물을 만들다, 시문(詩文), 옷, 갖옷, 비옷
圖 그림 도; ⼞-총14획; [tú]
그림, 꾀하다, 그리다, 베끼다
說 말씀 설; ⾔-총14획; [shuō,shuì,yuè]
말씀, 말, 도(道), 도리(道理), 말하다, 이야기하다, 서술하다, 논하다, 해석하다, 타이르다, 교육하다, 변명하다
强附於所編《李家圖書約》。
《이가도서약》 강부어소편.
强 굳셀 강; ⼸-총12획; [qiáng,jiàng,qiǎng]
굳세다, 힘이 있는 자, 성하다, 세차다
附 붙을 부; ⾩-총8획; [fù]
붙다, 기대다, 의지하다, 따르다, 친근히 지내다, 가깝다, 관련되다, 모이다, 붙이다, 접착시키다, 부치다, 보내다, 따르게 하다, 더하다, 형벌을 가하다, 합사(合祀)하다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編 엮을 편; ⽷-총15획; [biān]
엮다, 기록하다, 이어놓다, 맺다, 얽다, 짜다, 책, 책을 맨 끈
李 자두나무 리{이}; ⽊-총7획; [lǐ]
자두나무, 자두, 별 이름, 옥관, 도리, 심부름꾼, 성
家 집 가; ⼧-총10획; [jiā,gū,jiȧ,jiė]
집, 건물, 집 안, 지아비
圖 그림 도; ⼞-총14획; [tú]
그림, 꾀하다, 그리다, 베끼다
書 쓸 서; ⽈-총10획; [shū]
쓰다, 글씨를 쓰다, 기록하다, 글자, 문자, 글씨, 서법
約 묶을 약; ⽷-총9획; [yuē,yāo]
묶다, 다발 짓다, 합치다, 따르다, 약속하다
然安知非迂怪不成之說耶。
그러므로 괴이한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했던 것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安 편안할 안; ⼧-총6획; [ān]
편안하다, 즐기다, 좋아하다, 즐거움에 빠지다
知 알 지; ⽮-총8획; [zhī]
알다, 깨닫다, 느끼다, 분별하다, 기억하다, 들어서 알다, 보아서 알다, 사귀다, 나타나다, 다스리다
非 아닐 비; ⾮-총8획; [fēi]
아니다, 부정(否定)의 조사, 등지다, 배반하다, 거짓
迂 멀 우; ⾡-총7획; [yū]
멀다, 길이 멀다, 물정에 어둡다, 먼 길, 굽히다, 마음을 비뚤어지게 만들다, 기세를 꺾다, 억제하다
怪 기이할 괴; ⼼-총8획; [guài]
기이하다, 의심하다, 의심스럽다, 도깨비, 정상(正常)이 아닌 것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成 이룰 성; ⼽-총7획; [chéng]
이루다, 이루어지다, 정하여지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說 말씀 설; ⾔-총14획; [shuō,shuì,yuè]
말씀, 말, 도(道), 도리(道理), 말하다, 이야기하다, 서술하다, 논하다, 해석하다, 타이르다, 교육하다, 변명하다
耶 어조사 야; ⽿-총9획; [yé,yē]
어조사, 어세를 돕는 조사, 의문 조사, 아버지를 부르는 말, 옛 명검(名劍) 이름
但恃黃帝《明堂內景圖》。
다만 다음과 같은 황제내경의 《명당내경도》의 내용을 믿을 뿐이다.
但 다만 단; ⼈-총7획; [dàn]
다만, 무릇, 부질없이
恃 믿을 시; ⼼-총9획; [shì]
믿다
黃 누를 황; ⿈-총12획; [huáng]
누르다, 누른 빛, 누레지다, 어린아이
帝 임금 제; ⼱-총9획; [dì]
임금, 하느님, 오제(五帝)의 약칭
明 밝을 명; ⽇-총8획; [míng]
밝다, 밝히다, 밝게, 환하게
堂 집 당; ⼟-총11획; [táng]
집, 향(鄕)의 학교, 평평하다
內 안 내; ⼊-총4획; [nèi]
안, 들다, 들이다, 어머니
景 볕 경; ⽇-총12획; [jǐng]
볕, 빛, 햇살, 햇볕, 해, 태양, 밝다, 환히 밝다
圖 그림 도; ⼞-총14획; [tú]
그림, 꾀하다, 그리다, 베끼다
筋脈經絡之大小。互相維繫。令人能得行步之理。取象於此。而理雖如此。然機若未效。
크고 작은 근맥경락들이 상호 연결되고 맺어진다.
사람들로 하여금 이러한 행보의 이치를 알게 하는데,
코끼리 무리의 형상이 이것과 같다.
이런 이치로써 그러한 현상을 비록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저 사람들은 그러한 것을 본받지 못할 뿐이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脈 맥 맥; ⾁-총10획; [mài,mò]
맥, 혈맥, 수로(水路), 줄기, 연닮, 잇달음
經 날 경; ⽷-총13획; [jīng,jìng]
날, 날실, 세로, 길, 조리(條理), 도로(道路)
絡 헌솜 락; ⽷-총12획; [luò,lào]
헌 솜, 누이지 아니한 삼(麻), 명주, 깁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大 큰 대; ⼤-총3획; [dà,dài]
크다, 넓다, 두루
小 작을 소; ⼩-총3획; [xiǎo]
작다, 적다, 짧다, 시간상으로 짧다
互 서로 호; ⼆-총4획; [hù]
서로, 함께, 갈마들다, 고르지 아니하다
相 서로 상; ⽬-총9획; [xiāng,xiàng]
서로, 보다, 자세히 보다, 바탕
維 바 유; ⽷-총14획; [wéi]
바, 밧줄, 매다, 받치다
繫 맬 계; ⽷-총19획; [xì,jì]
매다, 매달다, 죄수
令 영 령{영}; ⼈-총5획; [lìng,lǐng]
영, 우두머리, 좋다
人 사람 인; ⼈-총2획; [rén]
사람, 인간, 백성, 남, 타인, 인품, 인격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得 얻을 득; ⼻-총11획; [dé,dė,děi]
얻다, 이익, 이득, 덕(德)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理 다스릴 리; ⽟-총11획; [lǐ]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루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구별하다, 다스려지다, 길, 사람이 순행(順行)하는 도리
取 취할 취; ⼜-총8획; [qǔ]
취하다, 골라 뽑다, 돕다, 의지하다
象 코끼리 상; ⾗-총12획; [xiàng]
코끼리, 상아(象牙), 모양, 그림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理 다스릴 리; ⽟-총11획; [lǐ]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루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구별하다, 다스려지다, 길, 사람이 순행(順行)하는 도리
雖 비록 수; ⾫-총17획; [suī]
비록, 그러나, =라 하더라도, =라 할지라도, 벌레 이름, 밀다, 추천하다
如 같을 여; ⼥-총6획; [rú]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機 틀 기; ⽊-총16획; [jī]
틀, 기계, 베틀, 용수철
若 같을 약; ⾋-총9획; [ruò,rě]
같다, 너, 만일
未 아닐 미; ⽊-총5획; [wèi]
아니다, 아직 -하지 못하다, 아직 그러하지 아니하다, 미래, 장래, 여덟째 지지(地支), 오후 1-3시
效 본받을 효; ⽁-총10획; [xiào]
본받다, 본받아 배우다, 주다, 수여(授與)하다, 드리다, 바치다
則徒取狼狽。便作籧篨戚施。爲人所笑。自劃其必然。而任取妄謬。可歎其昏耄之甚。爲好事之癖所使。
즉 이리 떼와 같이 무리를 짓기에,
거저와 척시처럼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니,
그저 사람들이 이를 비웃을 뿐이다.
그와 같이 행함으로부터 필연적으로 허황되고 그릇된 것을 찾게 되는 것이다.
노망이 심하게 든 것과도 같다고 할 수 있으니,
호사가들의 괴벽과 같다고 할 것이다.
<'거저'는 배가 많이 나와서 하늘만 보고 땅은 못 보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윗사람에게는 아부하면서 아랫사람에게는 가혹한 부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척시'란 등이 굽어서 하늘은 못 보고 땅만 볼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게는 우월감을 느끼면서도,
자신보다 나은 사람에게는 질투와 질시 만을 느끼는 부류하고 할 수 있습니다.
'거저'와 '척시'는 경직된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세상을 올바르게 보지 못하는 부류의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徒 무리 도; ⼻-총10획; [tú]
무리, 동아리, 걷다, 보병(步兵)
取 취할 취; ⼜-총8획; [qǔ]
취하다, 골라 뽑다, 돕다, 의지하다
狼 이리 랑{낭}; ⽝-총10획; [láng]
이리, 짐승 이름, 어지러워지다, 어수선하다
狽 이리 패; ⽝-총10획; [béi]
이리
便 편할 편; ⼈-총9획; [biàn,bián,pián]
편하다, 소식, 편안하다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籧 대자리 거; ⽵-총23획; [qú,jǔ]
대자리, 발이 거친 대자리, 천상바라기, 새가슴, 대광주리, 뽕잎을 담는 그릇
篨 대자리 저; ⽵-총16획; [chú]
대자리, 새가슴
戚 겨레 척; ⼽-총11획; [qī]
겨레, 도끼, 슬퍼하다
施 베풀 시; ⽅-총9획; [shī]
베풀다, 퍼지다, 널리 전하여지다, 행하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人 사람 인; ⼈-총2획; [rén]
사람, 인간, 백성, 남, 타인, 인품, 인격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笑 웃을 소; ⽵-총10획; [xiào]
웃다, 꽃이 피다, 개가 사람을 반겨 짖는 소리
自 스스로 자; ⾃-총6획; [zì]
스스로, 몸소, 자기, 자연히, 저절로, 어조사, -로부터
劃 그을 획; ⼑-총14획; [huà,huá,huȧi]
긋다, 나누다, 쪼개다, 자르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必 반드시 필; ⼼-총5획; [bì]
반드시, 틀림없이, 꼭, 기필하다, 이루어내다, 오로지, 전일(專一)하다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任 맡길 임; ⼈-총6획; [rèn,rén]
맡기다, 맡은 일, 마음대로
取 취할 취; ⼜-총8획; [qǔ]
취하다, 골라 뽑다, 돕다, 의지하다
妄 허망할 망; ⼥-총6획; [wàng]
허망하다, 거짓, 무릇, 망령되다
謬 그릇될 류{유}; ⾔-총18획; [miù]
그릇되다, 어긋나다, 속이다, 기만하다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歎 읊을 탄; ⽋-총15획; [tàn]
읊다, 노래하다, 탄식하다, 한숨 쉬다, 칭찬하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昏 어두울 혼; ⽇-총8획; [hūn]
어둡다, 저녁때, 해질 무렵, 밤(夜)
耄 늙은이 모; ⽼-총10획; [mào]
늙은이, 늙어 빠지다, 혼몽하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甚 심할 심; ⽢-총9획; [shèn,shén,shí]
성하다, 정도에 지나치다, 편안하고 즐겁다, 두텁다, 중후하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好 좋을 호; ⼥-총6획; [hǎo,hào]
좋다, 옳다, 마땅하다, 아름답다, 자상하다
事 일 사; ⼅-총8획; [shì]
일, 일삼다, 전념하다, 정치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癖 적취 벽; ⽧-총18획; [pǐ]
적취, 버릇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使 하여금 사; ⼈-총8획; [shǐ,shì]
하여금, 시키다, 좇다
謾爲證辨曰。我東有大弓勁者。曰六兩弓。以鐵箭放射二百餘步。控弦必踊躍賈勇而發。
비판하며 변증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동국에는 대궁이라는 강궁이 있는데, 육량궁이라고 한다.
철전(장전)을 이백여 보를 날리는데, 시위를 당기며 용약전진하여 날쌔진 이후에 발시했다.
<철전은 장전(長箭), 아량전, 육량전 세가지를 의미하는데,
이 문장의 경우 철전은 장전을 의미합니다.
장전은 용도에 따라 촉의 무게를 다르게 하여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謾 속일 만; ⾔-총18획; [màn,mán]
속이다, 헐뜯다, 느리다, 게으름을 피우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證 증거 증; ⾔-총19획; [zhèng]
증거, 증명하다, 알리다, 고하다
辨 분별할 변; ⾟-총16획; [biàn]
분별하다, 분명히 하다, 나누다
曰 가로 왈; ⽈-총4획; [yuē]
가로되, 말하기를, 이르다, 말하다, 일컫다
我 나 아; ⼽-총7획; [wǒ]
나, 우리, 외고집
東 동녘 동; ⽊-총8획; [dōng]
동녘, 동쪽, 오행(五行)으로 목(木), 사시(四時)로 봄, 오색(五色)으론 청(靑), 동쪽으로 가다, 주인(主人)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大 큰 대; ⼤-총3획; [dà,dài]
크다, 넓다, 두루
弓 활 궁; ⼸-총3획; [gōng]
활, 궁술, 활을 쏘는 법이나 기술, 길이의 단위
勁 굳셀 경; ⼒-총9획; [jìn,jìng]
굳세다, 힘, 예리하다, 굳세고 날카롭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曰 가로 왈; ⽈-총4획; [yuē]
가로되, 말하기를, 이르다, 말하다, 일컫다
六 여섯 륙{육}; ⼋-총4획; [liù,lù]
여섯, 여섯 번, 죽이다
兩 두 량{양}; ⼊-총8획; [liǎng]
두, 둘, 짝, 짝을 하다, 아울러
弓 활 궁; ⼸-총3획; [gōng]
활, 궁술, 활을 쏘는 법이나 기술, 길이의 단위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鐵 쇠 철; ⾦-총21획; [tiě]
쇠, 검다, 검은 빛, 단단하다, 견고하다
箭 화살 전; ⽵-총15획; [jiàn]
화살, 이대, 대나무 이름, 화살대
放 놓을 방; ⽁-총8획; [fàng]
놓다, 내치다, 좇아내다, 추방하다, 놓이다, 석방되다, 추방되다
射 궁술사; ⼨-총10획; [shè]
궁술, 사궁(射宮)의 약칭, 산 이름
二 두 이; ⼆-총2획; [èr]
둘, 두 번, 두 마음
百 일백 백; ⽩-총6획; [bǎi,bó]
일백, 모든, 백 번 하다
餘 남을 여; ⾷-총16획; [yú]
남다, 넉넉하다, 여유가 있다, 여가, 말미, 그 이외의 것, 뒤, 결말, 결국, 죄다, 남김없이, 나라 이름, 부여(扶餘)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控 당길 공; ⼿-총11획; [kòng]
당기다, 고하다, 아뢰다, 던지다, 두드리다
弦 시위 현; ⼸-총8획; [xuán]
시위, 활시위, 시위의 울림, 활을 쏘았을 때 울려 나는 시위의 소리, 반원형의 달
必 반드시 필; ⼼-총5획; [bì]
반드시, 틀림없이, 꼭, 기필하다, 이루어내다, 오로지, 전일(專一)하다
踊 뛸 용; ⾜-총14획; [yǒng]
뛰다, 도약하다, 춤추다, 무용하다, 신, 월형(刖刑)을 당한 사람이 신는 신, 오르다, 대(臺)에 오르다, 물가가 오르다
躍 뛸 약; ⾜-총21획; [yuè]
뛰다, 뛰어오르다, 뛰어넘다, 가슴이 뛰다, 흥분하다, 물가가 뛰다, 뛰게 하다, 빠르다
賈 값 가{앉은장사 고}; ⾙-총13획; [gǔ,jiǎ,jià]
값, 앉은장사, 장사, 상업, 장수, 상인, 특히 좌상(坐商), 장사하다
勇 날쌜 용; ⼒-총9획; [yǒng]
날쌔다, 과감하다, 결단력이 있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發 쏠 발; ⽨-총12획; [fā]
쏘다, 가다, 떠나다, 보내다, 파견하다
故弱者不能持滿。則暗掛助繩於肩脚。挽引借力。然後始得引弦。
그러므로 힘이 약한 사람들은 만작하고 버티지를 못하였기에,
은밀하게 조승줄(보조 밧줄)을 숨겨서 어깨와 다리를 연결하는데,
조승줄을 당겨 힘을 빌린 연후에야 비로소 시위를 당길 수 있었다.
故 옛 고; ⽁-총9획; [gù]
예, 이미 지나간 때, 옛, 예전의, 옛날의, 원래, 본래
弱 약할 약; ⼸-총10획; [ruò]
약하다, 약한 자, 약해지다, 쇠해지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持 가질 지; ⼿-총9획; [chí]
가지다, 보전하다, 보존하다, 지키다, 유지하다
滿 찰 만; ⽔-총14획; [mǎn]
차다, 가득하다, 넉넉하다, 둥그레지다, 곡식이 익다, 활을 힘껏 당기다, 교만하다, 속이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暗 어두울 암; ⽇-총13획; [àn]
어둡다, 주위가 어둡다, 사리에 어둡다, 밤, 어둠, 몰래, 남이 알지 못하게
掛 걸 괘; ⼿-총11획; [guà]
걸다, 걸어 놓다, 마음에 걸리다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肩 어깨 견; ⾁-총8획; [jiān]
어깨, 견디다, 무거운 짐에 견디다, 이겨 내다
脚 다리 각; ⾁-총11획; [jiǎo,jué]
다리, 정강이, 다리의 범칭, 발자취, 물건의 다리, 바탕, 기슭, 걸음걸이, 파발꾼, 급한 전갈을 하는 심부름꾼, 밟다
挽 당길 만; ⼿-총10획; [wǎn]
당기다, 말리다, 잡아당겨 못하게 하다
引 끌 인; ⼸-총4획; [yǐn]
끌다, 끌어당기다, 활을 쏘다, 물러나다, 물리치다
借 빌 차; ⼈-총10획; [jiè]
빌다, 빌리다, 돕다, 가령
力 힘 력{역}; ⼒-총2획; [lì]
힘, 힘쓰다, 부지런히 일하다, 있는 힘을 다하여
然 그러할 연; ⽕-총12획; [rán]
그러하다, 그렇다고 여기다, 그리하여
後 뒤 후; ⼻-총9획; [hòu]
뒤, 늦다, 능력 따위가 뒤떨어지다
始 처음 시; ⼥-총8획; [shǐ]
처음, 비롯하다, 시작하다, 근본, 근원
得 얻을 득; ⼻-총11획; [dé,dė,děi]
얻다, 이익, 이득, 덕(德)
引 끌 인; ⼸-총4획; [yǐn]
끌다, 끌어당기다, 활을 쏘다, 물러나다, 물리치다
弦 시위 현; ⼸-총8획; [xuán]
시위, 활시위, 시위의 울림, 활을 쏘았을 때 울려 나는 시위의 소리, 반원형의 달
故試才時。先禁助繩。搜其懷中。夫助繩爲名者。迺助力之繩也。
그러므로 무과시험을 치를 때, 먼저 조승줄을 착용했는지 검사를 하였다.
조승줄을 품에 몰래 숨겨 시험을 치르기도 했는데,
무릇 조승줄로 무과에 붙은 사람을 일컬어,
조승줄의 힘을 빌려 합격한 새끼라고 폄하했다. (연줄을 얻었다고 폄하했다.)
<흔히 '동아줄을 잡은 줄 알았는데, 썩은 동아줄이었네'라고 말합니다.
이 경우는 동아줄은 연줄 또는 인맥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짚을 꼬아 만든 줄을 '새끼줄'이라고 하기도 했습니다.
이 문장의 繩은 '새끼'라는 순우리말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助力之繩'이라는 문장은 '컨닝한 새끼'와 같이
상대를 비하하려는 의도가 다분한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故 옛 고; ⽁-총9획; [gù]
예, 이미 지나간 때, 옛, 예전의, 옛날의, 원래, 본래
試 시험할 시; ⾔-총13획; [shì]
시험하다, 맛보다, 간을 보다, 시험 삼아 해 보다, 조사하다, 점검하다, 찾다, 점검하다
才 재주 재; ⼿-총3획; [cái]
재주, 재능이 있는 사람, 기본, 근본
時 때 시; ⽇-총10획; [shí]
때, 때에, 때맞추다, 때를 어기지 아니하다
先 먼저 선; ⼉-총6획; [xiān]
먼저, 나아가다, 옛날
禁 금할 금; ⽰-총13획; [jìn,jīn]
금하다, 기(忌)하다, 꺼리다, 규칙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搜 찾을 수; ⼿-총13획; [sōu]
찾다, 가리다, 고르다, 많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懷 품을 회; ⼼-총19획; [huái]
품다, 품, 품안, 가슴, 마음, 생각, 정(情)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夫 지아비 부; ⼤-총4획; [fū]
지아비, 사나이, 장정, 시중하는 사람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名 이름 명; ⼝-총6획; [míng]
이름, 인륜상, 신분상에서 쓰이는 부자, 군신, 존비, 귀천 등의 명칭, 외관, 외형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迺 이에 내; ⾡-총10획; [nǎi]
이에, 곧, 너, 이인칭 대명사, 비로소, 처음으로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力 힘 력{역}; ⼒-총2획; [lì]
힘, 힘쓰다, 부지런히 일하다, 있는 힘을 다하여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今此助筋帶者。何以異於武夫之助繩耶。顧其借力助筋之理同焉。以此思之。容或有效也。
第試可乃已。
이제 이 조근대라는 것이 어찌 무사들의 조승줄과 다르지 않겠는가?
돌이켜 생각해 보면 조근대라는 것이 이렇게 조승줄의 힘을 빌려 근력에 더하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조승줄 비교하여 조근대를 생각해보면,
조근대의 효용성에 대하여 의혹을 품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조근대에 대하여) 이와 같이 평가했을 뿐이다.
今 이제 금; ⼈-총4획; [jīn]
이제, 이, 이에(사물을 가리키는 말), 혹은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何 어찌 하; ⼈-총7획; [hé]
어찌, 무엇, 얼마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異 다를 이; ⽥-총12획; [yì]
다르다, 딴 것, 기이하다, 뛰어나다, 달리하다, 특별하게 다루다, 의심하다, 이상하게 여기다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武 굳셀 무; ⽌-총8획; [wǔ]
굳세다, 용맹하다, 자만하다, 남을 업신여기다, 군인, 병법, 무기, 무인
夫 지아비 부; ⼤-총4획; [fū]
지아비, 사나이, 장정, 시중하는 사람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繩 줄 승; ⽷-총19획; [shéng]
줄, 새끼, 먹줄, 법도
耶 어조사 야; ⽿-총9획; [yé,yē]
어조사, 어세를 돕는 조사, 의문 조사, 아버지를 부르는 말, 옛 명검(名劍) 이름
顧 돌아볼 고; ⾴-총21획; [gù]
돌아보다, 사방을 둘러보다, 응시하다, 마음에 새기다, 관찰하다, 반성하다, 생각하다, 마음에 두다, 찾다, 방문하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借 빌 차; ⼈-총10획; [jiè]
빌다, 빌리다, 돕다, 가령
力 힘 력{역}; ⼒-총2획; [lì]
힘, 힘쓰다, 부지런히 일하다, 있는 힘을 다하여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理 다스릴 리; ⽟-총11획; [lǐ]
다스리다, 옥을 갈다, 바루다, 통하다, 재판하다, 처리하다, 손질하다, 구별하다, 다스려지다, 길, 사람이 순행(順行)하는 도리
同 한가지 동; ⼝-총6획; [tóng,tòng]
한가지, 서로 같게 하다, 같게, 함께, 다같이
焉 어찌 언; ⽕-총11획; [yān]
어찌, 이에, 이, 여기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思 생각할 사; ⼼-총9획; [sī,sāi]
생각하다, 어조사, 생각, 뜻, 마음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容 얼굴 용; ⼧-총10획; [róng]
얼굴, 모양, 모습, 몸가짐, 담다, 그릇 안에 넣다
或 혹 혹; ⼽-총8획; [huò]
혹, 혹은, 있다, 늘, 언제나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效 본받을 효; ⽁-총10획; [xiào]
본받다, 본받아 배우다, 주다, 수여(授與)하다, 드리다, 바치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第 차례 제; ⽵-총11획; [dì]
차례, 숫자 위에 붙여 써서 차례를 나타내는 말, 차례를 정하다, 등급을 매기다
試 시험할 시; ⾔-총13획; [shì]
시험하다, 맛보다, 간을 보다, 시험 삼아 해 보다, 조사하다, 점검하다, 찾다, 점검하다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乃 이에 내; ⼃-총2획; [nǎi]
이에, 너, 접때
已 이미 이; ⼰-총3획; [yǐ]
이미, 말다, 그치다, 버리다, 버려두다
長房有縮地鞭。戴宗行甲馬符。事屬誕妄。
《신선전》의 비장방은 축지법으로 천릿길을 채찍처럼 펴고 접을 수 있었고,
수호지의 대종은 갑마라는 부적을 붙어 빨리 달릴 수 있었다고 하니,
이러한 것은 사람을 속여 허망함을 믿게 하는 것이다.
☞ 참고사항 : 나무위키, 비장방, https://namu.wiki/w/%EB%B9%84%EC%9E%A5%EB%B0%A9
☞ 참고사항 : 나무위키, 대종(수호지), https://namu.wiki/w/%EB%8C%80%EC%A2%85(%EC%88%98%ED%98%B8%EC%A7%80)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房 방 방; ⼾-총8획; [fáng]
방, 방성(房星), 이십팔수의 하나, 집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縮 줄일 축; ⽷-총17획; [suō,sù]
줄이다, 오그라들다, 줄어들다, 수축하다, 거두다
地 땅 지; ⼟-총6획; [dì,dė,di]
땅, 토지의 신, 처지, 처해 있는 형편
鞭 채찍 편; ⾰-총18획; [biān]
채찍, 매질하다, 옛날 형벌의 이름
戴 일 대; ⼽-총18획; [dài]
이다, 머리 위에 올려놓다, 느끼다, 생각하다, 널(棺)을 묶는 끈
宗 마루 종; ⼧-총8획; [zōng]
마루, 일의 근원, 근본, 사당, 가묘, 종묘, 우두머리, 가장 뛰어난 것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甲 첫째 천간 갑; ⽥-총5획; [jiǎ]
첫째 천간, 십간(十干)의 첫째, 거북의 등딱지, 조가비, 껍질, 씨의 껍질
馬 말 마; ⾺-총10획; [mǎ]
말, 산가지, 투호(投壺)를 할 때 득점을 세는 물건, 크다, 큰 것의 비유
符 부신 부; ⽵-총11획; [fú]
부신(符信), 수결(手決), 상서(祥瑞), 길조
事 일 사; ⼅-총8획; [shì]
일, 일삼다, 전념하다, 정치
屬 엮을 속{이을 촉}; ⼫-총21획; [shǔ,zhǔ]
엮다, 잇다, 맡기다, 모으다, 돌보다, 족하다, 맺다, 무리, 마침, 붙다, 부착하다, 부탁하다
誕 태어날 탄; ⾔-총14획; [dàn]
태어나다, 속이다, 허망한 소리를 하다, 거짓으로 남을 현혹하게 하다
妄 허망할 망; ⼥-총6획; [wàng]
허망하다, 거짓, 무릇, 망령되다
且道家導引術。有旣濟步行千里之訣。未知其法有驗否。極爲悠謬。
또한 도가에서 도인술을 발휘하여 천리길을 한 걸음에 내닫는 구결이 있다고 하는데,
그러한 것을 설명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미처 알지 못하기에,
그러한 감언이설에 속는 것이다.
且 또 차; ⼀-총5획; [qiě,jū]
또, 잠깐, 장차
道 길 도; ⾡-총13획; [dào]
길, 이치, 근원, 기능, 방법, 사상, 인의(仁義), 덕행(德行), 기예, 정령(政令), , 행정(行程), 바둑․장기에서 行馬의 길, 통하다
家 집 가; ⼧-총10획; [jiā,gū,jiȧ,jiė]
집, 건물, 집 안, 지아비
導 이끌 도; ⼨-총16획; [dǎo]
이끌다, 간하다, 충고하다, 통하게 하다
引 끌 인; ⼸-총4획; [yǐn]
끌다, 끌어당기다, 활을 쏘다, 물러나다, 물리치다
術 꾀 술; ⾏-총11획; [shù,zhú]
꾀, 계략, 길, 통로, 규칙, 법칙, 수단, 방법, 일, 사업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旣 이미 기; ⽆-총11획; [jì]
이미, 벌써, 원래, 처음부터,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濟 건널 제; ⽔-총17획; [jì,jǐ]
건너다, 나루, 건지다,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千 일천 천; ⼗-총3획; [qiān]
일천, 천 번, 많다
里 마을 리; ⾥-총7획; [lǐ]
마을, 거리, 주거(住居)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訣 이별할 결; ⾔-총11획; [jué]
이별하다, 작별하다, 송별사(送別辭), 사별하다, 애도사(哀悼辭), 끊다, 결단하다
未 아닐 미; ⽊-총5획; [wèi]
아니다, 아직 -하지 못하다, 아직 그러하지 아니하다, 미래, 장래, 여덟째 지지(地支), 오후 1-3시
知 알 지; ⽮-총8획; [zhī]
알다, 깨닫다, 느끼다, 분별하다, 기억하다, 들어서 알다, 보아서 알다, 사귀다, 나타나다, 다스리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法 법 법; ⽔-총8획; [fǎ,fá,fà]
법, 예의, 도리, 모범, 모형, 품등(品騰), 본받다, 모범으로 삼아 좇다, 법을 지키다, 법대로 행하다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驗 증험할 험; ⾺-총23획; [yàn]
증험하다, 증험, 표징(標徵), 증거, 효능, 응보(應報), 점괘
否 아닐 부; ⼝-총7획; [fǒu,pǐ]
아니다, 부정하다, =하지 않았는가
極 다할 극; ⽊-총13획; [jí]
다하다, 떨어지다, 남아있지 않다, 끝나다, 그만두다, 극, 한계, 전극(電極), 자극(磁極), 끝, 일의 결과, 용마루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悠 멀 유; ⼼-총11획; [yōu]
멀다, 걱정하다, 생각하다
謬 그릇될 류{유}; ⾔-총18획; [miù]
그릇되다, 어긋나다, 속이다, 기만하다
則徒歸影子。烏有所謂實地耶。總不若目見易行之助筋帶也。
그러므로 그림자를 쫒아가면서도,
그것이 실제라고 칭하는 것과 같으니 한탄스러울 뿐이다.
만약 사람들이 눈으로 확인하고 길을 가는 것처럼 조근대를 확인했다면,
이러한 일들이 없었을 것이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徒 무리 도; ⼻-총10획; [tú]
무리, 동아리, 걷다, 보병(步兵)
歸 돌아갈 귀; ⽌-총18획; [guī]
돌아가다, 돌아오다, 돌려보내다, 반환하다, 시집가다, 시집을 보내다
影 그림자 영; ⼺-총15획; [yǐng]
그림자, 사람의 모양, 모습, 초상(肖像), 화상
子 아들 자; ⼦-총3획; [zǐ,zi]
아들, 맏아들, 자식, 어조사
烏 까마귀 오; ⽕-총10획; [wū,wù]
까마귀, 검다, 아아, 탄식하는 소리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謂 이를 위; ⾔-총16획; [wèi]
이르다, 일컫다, 알리다, 설명하다, 비평․논술하다, 가리키다, 생각하다, 생각건대, 이름, 이르는 바, 취지, 일컬음, 명칭
實 열매 실; ⼧-총14획; [shí]
열매, 차다, 가득 차다, 익다, 곡식이 익다
地 땅 지; ⼟-총6획; [dì,dė,di]
땅, 토지의 신, 처지, 처해 있는 형편
耶 어조사 야; ⽿-총9획; [yé,yē]
어조사, 어세를 돕는 조사, 의문 조사, 아버지를 부르는 말, 옛 명검(名劍) 이름
總 거느릴 총; ⽷-총17획; [zǒng,cōng]
거느리다, 모아서 묶다, 통괄하다, 다스리다, 단속하다, 모이다, 합치다, 모두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若 같을 약; ⾋-총9획; [ruò,rě]
같다, 너, 만일
目 눈 목; ⽬-총5획; [mù]
눈, 눈알, 안구, 보다, 눈여겨보다, 주의하여 보다, 응시하다, 눈짓하다, 부릅뜨다, 말하다
見 볼 견; ⾒-총7획; [jiàn,xiàn]
보다, 눈으로 보다, 생각해 보다, 돌이켜 보다, 변별하다, 보이다, 마음에 터득하다, 보는 바, 소견, 생각
易 바꿀 역; ⽇-총8획; [yì]
바꾸다, 고치다, 교환하다, 바뀌다, 새로워지다, 도마뱀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助 도울 조; ⼒-총7획; [zhù]
돕다, 도움, 구조, 구원, 유익하다
筋 힘줄 근; ⽵-총12획; [jīn]
힘줄, 힘, 체력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神仙傳》。
《신선전》에서 인용하다.
神 귀신 신; ⽰-총10획; [shén]
귀신, 불가사의한 것, 정신, 혼
仙 신선 선; ⼈-총5획; [xiān]
신선, 고상한 사람, 도교(道敎)의 딴 이름
傳 전할 전; ⼈-총13획; [chuán,zhuàn]
전하다, 말하다, 보내다
漢壺公賣藥。懸壺於肆頭。日沒則跳入壺中。費長房於樓上見之。知非常人。乃日進餠餌。公曰。子能從我遊乎。
한나라에서 호공이 약을 팔았다.
(백성들이 그 약을 먹고 병이 완치되었다.)
호공은 해가 진 후에는,
매달린 호로병에 머리를 드리밀어서 호로병 속으로 사라졌다.
비장방이 누각 위에서 이 모습을 보고,
호공이 평범한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다음 날 해가 뜨자마자 떡과 먹을 것을 가지고 찾아 갔다.
이에 호공이 말하기를 ‘자네는 능히 나를 따라 외유를 나갈 수 있겠다’라고 하였다.
☞ 참고사항 : 다음 블로그, 『호공과 비장방』, http://blog.daum.net/dnjsaud/8823770
漢 한수 한; ⽔-총14획; [hàn]
한수(漢水), 섬서성(陝西省) 영강현(寧羌縣) 파총산(嶓冢山)에서 발원한 강, 은하수, 사나이
壺 병 호; ⼠-총12획; [hú]
병, 단지, 박, 투호(投壺), 병에 화살을 던져 승부를 가리는 놀이
公 공변될 공; ⼋-총4획; [gōng]
공변되다,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 공적, 공적(公的)인 것
賣 팔 매; ⾙-총15획; [mài]
팔다, 속이다, 배신하다, 내통하다, 넓히다
藥 약 약; ⾋-총19획; [yào]
약, 독(毒), 고치다, 치료하다
懸 매달 현; ⼼-총20획; [xuán]
매달다, 달아매다, 매달리다, 늘어지다, 걸다, 상을 걸다
壺 병 호; ⼠-총12획; [hú]
병, 단지, 박, 투호(投壺), 병에 화살을 던져 승부를 가리는 놀이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肆 방자할 사; ⾀-총13획; [sì]
방자하다, 극에 달하다, 거리낌 없이 마음대로 말하다
頭 머리 두; ⾴-총16획; [tóu,tȯu]
머리, 머리털, 꼭대기, 맨 앞, 시초, 우두머리, 첫째, 상위, 지혜, 재능, 근처, 근방
日 해 일; ⽇-총4획; [rì]
해, 태양, 햇볕, 햇살, 햇빛, 햇발, 해의 움직임
沒 가라앉을 몰; ⽔-총7획; [méi,mò]
가라앉다, 잠기다, 물에 빠지다, 숨다, 숨기다, 다하다, 없어지다, 다 없애다
則 법칙 칙{곧 즉,본받을 측}; ⼑-총9획; [zé]
법칙, 곧, 법,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跳 뛸 도; ⾜-총13획; [tiào]
뛰다, 도약하다, 빨리 가다, 달아나다, 달리는 모양
入 들 입; ⼊-총2획; [rù]
들다, 수입, 사성(四聲)의 하나, 입성(入聲)
壺 병 호; ⼠-총12획; [hú]
병, 단지, 박, 투호(投壺), 병에 화살을 던져 승부를 가리는 놀이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費 쓸 비; ⾙-총12획; [fèi,bì]
쓰다, 금품을 소비하다, 손상하다, 닳다, 소모되다, 비용, 용도, 재화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房 방 방; ⼾-총8획; [fáng]
방, 방성(房星), 이십팔수의 하나, 집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樓 다락 루{누}; ⽊-총15획; [lóu]
다락, 다락집, 망루, 겹치다, 포개다
上 위 상; ⼀-총3획; [shàng,shǎng,shȧng]
위, 하늘, 임금
見 볼 견; ⾒-총7획; [jiàn,xiàn]
보다, 눈으로 보다, 생각해 보다, 돌이켜 보다, 변별하다, 보이다, 마음에 터득하다, 보는 바, 소견, 생각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知 알 지; ⽮-총8획; [zhī]
알다, 깨닫다, 느끼다, 분별하다, 기억하다, 들어서 알다, 보아서 알다, 사귀다, 나타나다, 다스리다
非 아닐 비; ⾮-총8획; [fēi]
아니다, 부정(否定)의 조사, 등지다, 배반하다, 거짓
常 항상 상; ⼱-총11획; [cháng]
항상, 법, 전법, 불변의 도, 사람으로서 행해야 할 도
人 사람 인; ⼈-총2획; [rén]
사람, 인간, 백성, 남, 타인, 인품, 인격
乃 이에 내; ⼃-총2획; [nǎi]
이에, 너, 접때
日 해 일; ⽇-총4획; [rì]
해, 태양, 햇볕, 햇살, 햇빛, 햇발, 해의 움직임
進 나아갈 진; ⾡-총12획; [jìn]
나아가다, 벼슬하다, 전진하다, 힘쓰다, 움직이다, 이기다, 선(善)으로 나아가다, 추천하다, 다하다, 진력하다
餠 떡 병; ⾷-총17획; [bǐng]
떡, 먹다, 떡처럼 엷고 편편한 것
餌 먹이 이; ⾷-총15획; [ěr]
먹이, 먹다, 이익, 정당한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얻은 이익
公 공변될 공; ⼋-총4획; [gōng]
공변되다,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 공적, 공적(公的)인 것
曰 가로 왈; ⽈-총4획; [yuē]
가로되, 말하기를, 이르다, 말하다, 일컫다
子 아들 자; ⼦-총3획; [zǐ,zi]
아들, 맏아들, 자식, 어조사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從 좇을 종; ⼻-총11획; [cóng]
좇다, 순직하다, 숙부드럽다, 나아가다
我 나 아; ⼽-총7획; [wǒ]
나, 우리, 외고집
遊 놀 유; ⾡-총13획; [yóu]
놀다, 즐겁게 지내다, 여행하다, 취학하다, 자적하다, 벼슬에 나아가다, 사귀다, 틈, 무사(無事), 놀이
乎 어조사 호; ⼃-총5획; [hū]
어조사, 인가, 로다, 구나, -에, -보다, 부사형 어미
因隨入山。於群虎狼中使獨處。又於空室中。以朽索懸巨石。壓其頂。石上復有蛇鼠。囓其索。
비장방이 호공을 따라 호로병 안으로 들어갔는데,
호공은 산중에 호랑이 떼와 이리 떼 사이에서 홀로 살고 있었다.
호공의 집안 넓은 방의 천장에는 커다란 바위가 썩은 동아줄에 매달려 있었는데,
마치 머리 위로 떨어져 압사당할 것처럼 느껴졌다.
또한 그 썩은 동아줄조차 뱀과 쥐들이 갉아먹고 있었다.
因 인할 인; ⼞-총6획; [yīn]
인하다, 인(因), 원인을 이루는 근본, 유래, 연유, 까닭
隨 따를 수; ⾩-총16획; [suí]
따르다, 따라가 수행하다, 연(沿)하다, 좇다, 근거하다, 맡기다, 허락하다, 잇다, 거느리다, 따라서, 때마다, 일마다
入 들 입; ⼊-총2획; [rù]
들다, 수입, 사성(四聲)의 하나, 입성(入聲)
山 뫼 산; ⼭-총3획; [shān]
뫼, 산, 산신(山神), 무덤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群 무리 군; ⽺-총13획; [qún]
무리, 떼, 떼 지어 모이다, 동아리, 동료(同僚), 羣의 俗字
虎 범 호; ⾌-총8획; [hū]
범, 용맹스럽다, 용맹함의 비유, 사납고 모짊의 비유, 바둑 수법 이름, 호구 치다
狼 이리 랑{낭}; ⽝-총10획; [láng]
이리, 짐승 이름, 어지러워지다, 어수선하다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使 하여금 사; ⼈-총8획; [shǐ,shì]
하여금, 시키다, 좇다
獨 홀로 독; ⽝-총16획; [dú]
홀로, 홀몸, 늙어서 자식이 없는 사람, 홀어미, 자손이 없는 사람, 어찌
處 살 처; ⾌-총11획; [chù,chǔ]
살다, 머물러 있다, 남아서 지키다, 묵다, 쉬다, 마음을 두다, 거처하다,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집에 있다, 야(野)에 있다, 벼슬을 하지 않다, 두다, 자리 잡고 있다, 안정시키다, 저축하다
又 또 우; ⼜-총2획; [yòu]
또, 다시, 용서하다, 오른손, 오른쪽(右)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空 빌 공; ⽳-총8획; [kōng,kòng]
비다, 다하다, 없다, 모자라다, 내실이 없다, 근거가 없다, 쓸쓸하다, 부질없이, 헛되이, 비게 하다
室 집 실; ⼧-총9획; [shì]
집, 건물, 방, 거처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朽 썩을 후; ⽊-총6획; [xiǔ]
썩다, 부패하다, 쇠하다, 구리다, 썪은 냄새
索 찾을 색{동아줄 삭}; ⽷-총10획; [suǒ]
찾다, 동아줄, 노, 어질다, 다하다, 꼬다, 새끼 꼬다, 가리다, 선택하다
懸 매달 현; ⼼-총20획; [xuán]
매달다, 달아매다, 매달리다, 늘어지다, 걸다, 상을 걸다
巨 클 거; ⼯-총5획; [jù]
크다, 많다, 거칠다
石 돌 석; ⽯-총5획; [shí,dàn]
돌, 돌로 만든 악기, 비석
壓 누를 압; ⼟-총17획; [yā,yà]
누르다, 억압하다, 무너뜨리다, 막다, 가로막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頂 정수리 정; ⾴-총11획; [dǐng]
정수리, 머리, 꼭대기
石 돌 석; ⽯-총5획; [shí,dàn]
돌, 돌로 만든 악기, 비석
上 위 상; ⼀-총3획; [shàng,shǎng,shȧng]
위, 하늘, 임금
復 돌아올 복; ⼻-총12획; [fù]
돌아오다, 돌려보내다, 뒤집다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蛇 뱀 사; ⾍-총11획; [shé,yí]
뱀, 자벌레, 별 이름
鼠 쥐 서; ⿏-총13획; [shǔ]
쥐, 임금 측근에서 해독을 끼치는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囓 물 설; ⼝-총24획; [niè]
물다, 물어뜯다, 갉아먹다, 침식하다, 이를 부득부득 갈다, 흠, 결함, 풀이름, 다북쑥, 고근(苦菫), 齧과 同字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索 찾을 색{동아줄 삭}; ⽷-총10획; [suǒ]
찾다, 동아줄, 노, 어질다, 다하다, 꼬다, 새끼 꼬다, 가리다, 선택하다
長房不見恐。公曰。子可敎也。
비장방이 그것을 보고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보고,
호공이 ‘자네는 가히 가르칠 만하다’라고 말했다.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房 방 방; ⼾-총8획; [fáng]
방, 방성(房星), 이십팔수의 하나, 집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見 볼 견; ⾒-총7획; [jiàn,xiàn]
보다, 눈으로 보다, 생각해 보다, 돌이켜 보다, 변별하다, 보이다, 마음에 터득하다, 보는 바, 소견, 생각
恐 두려울 공; ⼼-총10획; [kǒng]
두려워하다, 두려움, 협박하다, 으르대다, 아마, 의심컨대
公 공변될 공; ⼋-총4획; [gōng]
공변되다,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 공적, 공적(公的)인 것
曰 가로 왈; ⽈-총4획; [yuē]
가로되, 말하기를, 이르다, 말하다, 일컫다
子 아들 자; ⼦-총3획; [zǐ,zi]
아들, 맏아들, 자식, 어조사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敎 가르침 교; ⽁-총11획; [jiào,jiāo]
가르침, 교령, 가르치다, 하여금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復令食廁蟲。長房惡其穢。公曰。子幾得道。惜於此未破。尙不能成。遂遣歸。令其廣爲遊學。
호공이 벌레가 기어 다니는 변을 주면서 먹으라고 하니,
비장방이 더럽다고 거절했다.
이에 호공이 말했다.
“자네는 (변을 안 먹어서) 득도할 기회를 놓쳤다.
이것으로 끝내기가 아쉽고 애석하기만 하구나.
오히려 득도하지는 못했지만,
자네는 고향으로 돌아가서,
그 넓은 마음으로 백성들에게 배움을 베풀도록 하여라.“
復 돌아올 복; ⼻-총12획; [fù]
돌아오다, 돌려보내다, 뒤집다
令 영 령{영}; ⼈-총5획; [lìng,lǐng]
영, 우두머리, 좋다
食 밥 식; ⾷-총9획; [shí,sì,yì]
밥, 먹을거리, 먹다, 갉다, 깨물다, 새김질하다, 식언하다, 녹봉을 받다, 식사
廁 뒷간 측; ⼴-총12획; [cè,si]
뒷간, 평상 가장자리, 버금, 곁, 기울다, 섞이다
蟲 벌레 충; ⾍-총18획; [chóng]
벌레, 동물의 총칭, 구더기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房 방 방; ⼾-총8획; [fáng]
방, 방성(房星), 이십팔수의 하나, 집
惡 악할 악; ⼼-총12획; [è,ě,wū,wù]
악하다, 추하다, 불길하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穢 더러울 예; ⽲-총18획; [huì]
더럽다, 더럽히다, 거칠다, 거친 땅, 잡초
公 공변될 공; ⼋-총4획; [gōng]
공변되다,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 공적, 공적(公的)인 것
曰 가로 왈; ⽈-총4획; [yuē]
가로되, 말하기를, 이르다, 말하다, 일컫다
子 아들 자; ⼦-총3획; [zǐ,zi]
아들, 맏아들, 자식, 어조사
幾 기미 기; ⼳-총12획; [jǐ,jī]
기미, 낌새, 조짐, 거의, 위태하다, 위태롭다
得 얻을 득; ⼻-총11획; [dé,dė,děi]
얻다, 이익, 이득, 덕(德)
道 길 도; ⾡-총13획; [dào]
길, 이치, 근원, 기능, 방법, 사상, 인의(仁義), 덕행(德行), 기예, 정령(政令), , 행정(行程), 바둑․장기에서 行馬의 길, 통하다
惜 아낄 석; ⼼-총11획; [xī]
아끼다, 아까워하다, 아깝다, 가엾다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未 아닐 미; ⽊-총5획; [wèi]
아니다, 아직 -하지 못하다, 아직 그러하지 아니하다, 미래, 장래, 여덟째 지지(地支), 오후 1-3시
破 깨뜨릴 파; ⽯-총10획; [pò]
깨뜨리다, 풀어 떨어지게 하다, 일을 망치다, 째다, 가르다, 지우다, 패배시키다, 깨짐, 깨지는 일, 다하다, 남김이 없다
尙 오히려 상; ⼩-총8획; [shàng]
오히려, 바라다, 바라건대, 높다, 높이다, 숭상하다
不 아닌가 부{아닐 불,클 비}; ⼀-총4획; [bù]
아닌가, 아니다, 크다, 말라(금지의 뜻), 새 이름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成 이룰 성; ⼽-총7획; [chéng]
이루다, 이루어지다, 정하여지다
遂 이를 수; ⾡-총13획; [suì,suí]
이르다, 성취하다, 마치다, 끝내다, 미치다, 통달하다, 자라다, 뻗다, 다하다, 따르다, 순응하다, 맞다, 적합하다
遣 보낼 견; ⾡-총14획; [qiǎn]
보내다, 파견하다, 놓아 주다, 이혼하여 아내를 친정으로 보내다, 풀다, 달래다, 하게 하다, 사역 조동사
歸 돌아갈 귀; ⽌-총18획; [guī]
돌아가다, 돌아오다, 돌려보내다, 반환하다, 시집가다, 시집을 보내다
令 영 령{영}; ⼈-총5획; [lìng,lǐng]
영, 우두머리, 좋다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廣 넓을 광; ⼴-총15획; [guǎng]
넓다, 넓히다, 넓어지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遊 놀 유; ⾡-총13획; [yóu]
놀다, 즐겁게 지내다, 여행하다, 취학하다, 자적하다, 벼슬에 나아가다, 사귀다, 틈, 무사(無事), 놀이
學 배울 학; ⼦-총16획; [xué]
배우다, 학문, 학자
竝與一竹杖。任所之。一夕。投偶於葛陂。忽化爲龍。遂乘之飛去。長房善能縮地。日行千萬里。有縮地鞭故也。
더불어 죽장 하나를 주면서 그것을 맡겼다.
어느 날 저녁 죽장을 넝쿨이 우거진 언덕에 던지니,
죽장은 홀연히 용이 되었는데,
비장방은 용을 타고 날아갔다.
비장방은 능히 축지술을 펼칠 수 있었는데,
하루에 천리길을 갈 수 있었으니,
천리의 거리도 채찍을 펴듯이 다룰 수 있었다.
竝 아우를 병; ⽴-총10획; [bìng]
아우르다, 나란히 하다, 견주다, 함께 하다
與 줄 여; ⾅-총14획; [yǔ,yú,yù]
주다, 베풀다, 동아리, 무리, 동아리가 되다, 따르다, 돕다, 허락하다, 편을 들다, 좋아하다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竹 대 죽; ⽵-총6획; [zhú]
대, 대나무, 피리, 대나무로 만들어 불면 소리 나는 악기, 죽간(竹簡), 옛날에 종이가 없을 때 문자를 기록하는 데 쓰던 것
杖 지팡이 장; ⽊-총7획; [zhàng]
지팡이, 짚다, 지팡이를 짚다, 잡다, 쥐다
任 맡길 임; ⼈-총6획; [rèn,rén]
맡기다, 맡은 일, 마음대로
所 바 소; ⼾-총8획; [suǒ]
바, 일정한 곳이나 지역, 지위, 자리, 위치, 경우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夕 저녁 석; ⼣-총3획; [xī]
저녁, 밤, 쏠리다
投 던질 투; ⼿-총7획; [tóu]
던지다, 주다, 보내다, 증여하다, 들이다, 받아들이다
偶 짝 우; ⼈-총11획; [ǒu]
짝, 인형(人形), 뜻하지 아니하게
於 어조사 어; ⽅-총8획; [yú,wú,yū]
어조사(于), -에, -에서(처소격), -보다(비교격), -를(목적격), -에게(여격), 있어서, 있어서 하다, 이에, 이에 있어서
葛 칡 갈; ⾋-총13획; [gé,gě]
칡, 덩굴, 갈포(葛布), 거친 베
陂 비탈 피; ⾩-총8획; [béi,pí,pō]
비탈, 고개, 보, 못, 막다, 물을 막다
忽 소홀히 할 홀; ⼼-총8획; [hū]
소홀히 하다, 갑자기, 돌연, 다하다, 멸(滅)하다, 말하다
化 될 화; ⼔-총4획; [huà,huā]
되다, 모양이 바뀌다, 고쳐지다, 따르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龍 용 룡{용}; ⿓-총16획; [lóng]
용, 임금, 제왕의 비유, 또 임금에 관한 사물에 관형사로 쓰인다, 뛰어난 인물
遂 이를 수; ⾡-총13획; [suì,suí]
이르다, 성취하다, 마치다, 끝내다, 미치다, 통달하다, 자라다, 뻗다, 다하다, 따르다, 순응하다, 맞다, 적합하다
乘 탈 승; ⼃-총10획; [chéng,shèng]
타다, 오르다, 업신여기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飛 날 비; ⾶-총9획; [fēi]
날다, 떨어지다, 오르다, 빨리 가다, 튀다, 넘다, 날리다, 높다, 누각 같은 것이 높이 솟아 있는 것의 형용
去 갈 거; ⼛-총5획; [qù]
가다, 떠나다, 잃다, 잃어버리다, 배반하다
長 길 장; ⾧-총8획; [cháng,zhǎng]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房 방 방; ⼾-총8획; [fáng]
방, 방성(房星), 이십팔수의 하나, 집
善 착할 선; ⼝-총12획; [shàn]
착하다, 착하고 정당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 높다, 많다
能 능할 능; ⾁-총10획; [néng]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縮 줄일 축; ⽷-총17획; [suō,sù]
줄이다, 오그라들다, 줄어들다, 수축하다, 거두다
地 땅 지; ⼟-총6획; [dì,dė,di]
땅, 토지의 신, 처지, 처해 있는 형편
日 해 일; ⽇-총4획; [rì]
해, 태양, 햇볕, 햇살, 햇빛, 햇발, 해의 움직임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千 일천 천; ⼗-총3획; [qiān]
일천, 천 번, 많다
萬 일만 만; ⾋-총13획; [wàn,mò]
일만, 수의 많음을 나타내는 말, 다수, 크다
里 마을 리; ⾥-총7획; [lǐ]
마을, 거리, 주거(住居)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縮 줄일 축; ⽷-총17획; [suō,sù]
줄이다, 오그라들다, 줄어들다, 수축하다, 거두다
地 땅 지; ⼟-총6획; [dì,dė,di]
땅, 토지의 신, 처지, 처해 있는 형편
鞭 채찍 편; ⾰-총18획; [biān]
채찍, 매질하다, 옛날 형벌의 이름
故 옛 고; ⽁-총9획; [gù]
예, 이미 지나간 때, 옛, 예전의, 옛날의, 원래, 본래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龔聖與作《宋江三十六贊竝序》云。
공성여 작 《송강삼십육찬병서》 이른다.
<송의 유민 공성여의 《송강삼십육인찬》에 나오는 송강 일당에 대한 이야기는 《수호지》의 모티브가 됩니다.
《송강삼십육인찬》은 원나라 초기, 주밀의 《계신잡식 속집 상권》서문에 실려 있다고 합니다.>
龔 공손할 공; ⿓-총22획; [gōng]
공손하다, 이바지하다, 공급하다, 받들다, 바치다
聖 성스러울 성; ⽿-총13획; [shèng]
성스럽다, 성인, 한 방면에 대하여 더할 수 없이 뛰어난 사람
與 줄 여; ⾅-총14획; [yǔ,yú,yù]
주다, 베풀다, 동아리, 무리, 동아리가 되다, 따르다, 돕다, 허락하다, 편을 들다, 좋아하다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宋 송나라 송; ⼧-총7획; [sòng]
송나라
江 강 강; ⽔-총6획; [jiāng]
강, 큰 내, 양자강(陽子江), 별 이름
三 석 삼; ⼀-총3획; [sān]
석, 셋, 세 번, 거듭, 자주
十 열 십; ⼗-총2획; [shí]
열, 열 번, 열 배
六 여섯 륙{육}; ⼋-총4획; [liù,lù]
여섯, 여섯 번, 죽이다
贊 도울 찬; ⾙-총19획; [zàn]
돕다, 뵈다, 뵙다, 이끌다, 인도하다
竝 아우를 병; ⽴-총10획; [bìng]
아우르다, 나란히 하다, 견주다, 함께 하다
序 차례 서; ⼴-총7획; [xù]
차례, 차례를 매기다, 담
云 이를 운; ⼆-총4획; [yún]
이르다, 어조사, 친하다
見《東都事略》中載侍郞《侯蒙傳》有書一篇。
《동도사략》 중재시랑 《후몽전》 유서일편을 참고하라.
見 볼 견; ⾒-총7획; [jiàn,xiàn]
보다, 눈으로 보다, 생각해 보다, 돌이켜 보다, 변별하다, 보이다, 마음에 터득하다, 보는 바, 소견, 생각
東 동녘 동; ⽊-총8획; [dōng]
동녘, 동쪽, 오행(五行)으로 목(木), 사시(四時)로 봄, 오색(五色)으론 청(靑), 동쪽으로 가다, 주인(主人)
都 도읍 도; ⾢-총12획; [dū,dōu]
도읍, 서울, 채지(采地), 제후(諸侯)의 하읍(下邑)
事 일 사; ⼅-총8획; [shì]
일, 일삼다, 전념하다, 정치
略 다스릴 략{약}; ⽥-총11획; [lüè]
다스리다, 경륜하다, 둘러보다, 빼앗다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載 실을 재; ⾞-총13획; [zài,zǎi]
싣다, 실어서 운반하다, 기재하다, 머리에 얹다, 수레에 오르다, 탈것, 수레․배․썰매 따위
侍 모실 시; ⼈-총8획; [shì]
모시다, 귀인을 곁에서 모시고 있는 사람, 기르다
郞 사나이 랑{낭}; ⾢-총10획; [láng,làng]
사나이, 젊은이, 남의 아들을 부르는 말
侯 과녁 후; ⼈-총9획; [hóu,hòu]
과녁, 제후, 후작, 임금, 오등작(五等爵)의 둘째
蒙 입을 몽; ⾋-총14획; [méng,mēng]
입다, 입히다, 덮다, 덮어씌우다, 싸다, 받다, 덮어쓰다, 입다, 숨기다, 덮어 가리다, 덮개
傳 전할 전; ⼈-총13획; [chuán,zhuàn]
전하다, 말하다, 보내다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書 쓸 서; ⽈-총10획; [shū]
쓰다, 글씨를 쓰다, 기록하다, 글자, 문자, 글씨, 서법
一 한 일; ⼀-총1획; [yī]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篇 책 편; ⽵-총15획; [piān]
책, 완결된 책, 완결된 시문(詩文), 시문을 세는 단위
陳制賊之計云。宋江以三十六人橫行河、朔、京東。官軍數萬。無敢抗者。
其中。有神行太保戴宗。以甲馬付脚上。日行八百里云。
(후몽이) 도적으로 도적을 다스리는 방법을 말하였다.
“송강의 휘하에 36명의 장수가 있는데,
하와 삭, 경동에서 횡행하여 거리낌이 없으니,
수만의 관군도 감히 대항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신행태보라는 별호를 가진 대종은 갑마라는 부적을 다리 위에 붙여서
하루에 팔 백리를 갈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 나무위키, 송강(수호지), https://namu.wiki/w/%EC%86%A1%EA%B0%95(%EC%88%98%ED%98%B8%EC%A7%80)
陳 늘어놓을 진; ⾩-총11획; [chén]
늘어놓다, 늘어서다, 펴다, 넓게 깔다
制 마를 제; ⼑-총8획; [zhì]
마르다, 자료를 필요한 규격대로 베거나 자르다, 만들다, 짓다, 누르다, 억제하다
賊 도둑 적; ⾙-총13획; [zéi]
도둑, 해치다, 상하게 하다, 죽이다, 해치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計 꾀 계; ⾔-총9획; [jì]
꾀, 계략, 계획, 경영, 꾀하다, 계획하다, 의논하다, 세다, 헤아리다
云 이를 운; ⼆-총4획; [yún]
이르다, 어조사, 친하다
宋 송나라 송; ⼧-총7획; [sòng]
송나라
江 강 강; ⽔-총6획; [jiāng]
강, 큰 내, 양자강(陽子江), 별 이름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三 석 삼; ⼀-총3획; [sān]
석, 셋, 세 번, 거듭, 자주
十 열 십; ⼗-총2획; [shí]
열, 열 번, 열 배
六 여섯 륙{육}; ⼋-총4획; [liù,lù]
여섯, 여섯 번, 죽이다
人 사람 인; ⼈-총2획; [rén]
사람, 인간, 백성, 남, 타인, 인품, 인격
橫 가로 횡; ⽊-총16획; [héng,hèng]
가로, 동서, 좌우, 가로놓다, 옆으로 누이다, 옆으로 차다, 가로지르다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河 강 이름 하; ⽔-총8획; [hé]
강 이름, 황하, 내, 강, 운하
朔 초하루 삭; ⽉-총10획; [shuò]
초하루, 음력의 매월 1일, 천자가 제후에게 나누어 주던 달력, 천자의 정령(政令)
京 서울 경; ⼇-총8획; [jīng]
서울, 크다, 높다
東 동녘 동; ⽊-총8획; [dōng]
동녘, 동쪽, 오행(五行)으로 목(木), 사시(四時)로 봄, 오색(五色)으론 청(靑), 동쪽으로 가다, 주인(主人)
官 벼슬 관; ⼧-총8획; [guān,guǎn]
벼슬, 벼슬자리, 벼슬아치, 관청, 공무를 집행하는 곳
軍 군사 군; ⾞-총9획; [jūn]
군사(軍士), 군사(軍事), 진을 치다, 송대(宋代)의 행정 구획의 이름
數 셀 수; ⽁-총15획; [shù,shǔ,shuò]
세다, 계산하다, 셈에 넣다, 세어서 말하다, 들어 말하다
萬 일만 만; ⾋-총13획; [wàn,mò]
일만, 수의 많음을 나타내는 말, 다수, 크다
無 없을 무; ⽕-총12획; [wú,mó]
없다, 허무(虛無)의 도, 말라, 금지하는 말
敢 감히 감; ⽁-총12획; [gǎn]
감히, 감히 하다, 감행하다, 굳세다, 용맹스럽다
抗 막을 항; ⼿-총7획; [kàng]
막다, 저지하다, 구하다, 두둔하다, 들다, 들어올리다
者 놈 자; ⽼-총9획; [zhě]
놈, 사람, 것,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곳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中 가운데 중; ⼁-총4획; [zhōng,zhòng]
가운데, 마음, 치우치지 아니하다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神 귀신 신; ⽰-총10획; [shén]
귀신, 불가사의한 것, 정신, 혼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太 클 태; ⼤-총4획; [tài]
크다, 심히, 매우, 통하다
保 지킬 보; ⼈-총9획; [bǎo]
지키다, 편안하게 하다, 돕다
戴 일 대; ⼽-총18획; [dài]
이다, 머리 위에 올려놓다, 느끼다, 생각하다, 널(棺)을 묶는 끈
宗 마루 종; ⼧-총8획; [zōng]
마루, 일의 근원, 근본, 사당, 가묘, 종묘, 우두머리, 가장 뛰어난 것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甲 첫째 천간 갑; ⽥-총5획; [jiǎ]
첫째 천간, 십간(十干)의 첫째, 거북의 등딱지, 조가비, 껍질, 씨의 껍질
馬 말 마; ⾺-총10획; [mǎ]
말, 산가지, 투호(投壺)를 할 때 득점을 세는 물건, 크다, 큰 것의 비유
付 줄 부; ⼈-총5획; [fù]
주다, 청하다, 붙이다
脚 다리 각; ⾁-총11획; [jiǎo,jué]
다리, 정강이, 다리의 범칭, 발자취, 물건의 다리, 바탕, 기슭, 걸음걸이, 파발꾼, 급한 전갈을 하는 심부름꾼, 밟다
上 위 상; ⼀-총3획; [shàng,shǎng,shȧng]
위, 하늘, 임금
日 해 일; ⽇-총4획; [rì]
해, 태양, 햇볕, 햇살, 햇빛, 햇발, 해의 움직임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八 여덟 팔; ⼋-총2획; [bā,bá]
여덟, 여덟 번, 팔자형(八字形)
百 일백 백; ⽩-총6획; [bǎi,bó]
일백, 모든, 백 번 하다
里 마을 리; ⾥-총7획; [lǐ]
마을, 거리, 주거(住居)
云 이를 운; ⼆-총4획; [yún]
이르다, 어조사, 친하다
道經有旣濟步法。以易之旣濟卦常存心作步。
도경에는 이미 기제 보법이라는 것이 있으니,
기제의 괘를 항시 마음에 담아서
이것을 보법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기제'는 불 위에 물이 놓여 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적절한 상황에서는 음식도 하고 에너지도 생산합니다.
그런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처럼, 물이 불을 잘못 덮으면 대재앙이 되기도 합니다.
'기제'의 다음 괘는 '미제(未濟)'인데, 물 위에 불이 놓여 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미제'는 마지막의 완성된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데,
아직 완성되지 못하였기에(未),
완성을 위하여 무한 수렴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태극기의 중심에 있는 태극 모양이,
영원함을 상징한다는 주장이 있기도 합니다.>
<그림 1. 기제의 괘>
☞ <그림 1>의 출처 : 네이버 블로그, 개벽과 증산도, 후천 상생의 세상으로 개벽하는 대자연 질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amwoonk&logNo=220994650844&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道 길 도; ⾡-총13획; [dào]
길, 이치, 근원, 기능, 방법, 사상, 인의(仁義), 덕행(德行), 기예, 정령(政令), , 행정(行程), 바둑․장기에서 行馬의 길, 통하다
經 날 경; ⽷-총13획; [jīng,jìng]
날, 날실, 세로, 길, 조리(條理), 도로(道路)
有 있을 유; ⽉-총6획; [yǒu,yòu]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旣 이미 기; ⽆-총11획; [jì]
이미, 벌써, 원래, 처음부터,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濟 건널 제; ⽔-총17획; [jì,jǐ]
건너다, 나루, 건지다,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法 법 법; ⽔-총8획; [fǎ,fá,fà]
법, 예의, 도리, 모범, 모형, 품등(品騰), 본받다, 모범으로 삼아 좇다, 법을 지키다, 법대로 행하다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易 바꿀 역; ⽇-총8획; [yì]
바꾸다, 고치다, 교환하다, 바뀌다, 새로워지다, 도마뱀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旣 이미 기; ⽆-총11획; [jì]
이미, 벌써, 원래, 처음부터,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濟 건널 제; ⽔-총17획; [jì,jǐ]
건너다, 나루, 건지다,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卦 걸 괘; ⼘-총8획; [guà]
걸다, 매달다, 입다, 걸치다, 건너다, 통과하다
常 항상 상; ⼱-총11획; [cháng]
항상, 법, 전법, 불변의 도, 사람으로서 행해야 할 도
存 있을 존; ⼦-총6획; [cún]
있다, 안부를 묻다, 가엾게 여기다
心 마음 심; ⼼-총4획; [xīn]
마음, 심장, 가슴
作 지을 작; ⼈-총7획; [zuó,zuō,zuò]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先左足次右次左次右爲離卦。次左次右次左次右次左爲坎卦。
먼저 ‘왼발 → 오른발 → 왼발 → 오른발’로 하여 이괘로 삼고,
차후에 ‘왼발 → 오른발 → 왼발 → 오른발 → 왼발’로 하여 감괘로 삼는다.
先 먼저 선; ⼉-총6획; [xiān]
먼저, 나아가다, 옛날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足 발 족; ⾜-총7획; [zú]
발, 뿌리, 근본, 산기슭, 그치다, 머무르다, 가다, 달리다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右 오른쪽 우; ⼝-총5획; [yòu]
오른쪽, 숭상하다, 오른쪽에 적은 글이나 내용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右 오른쪽 우; ⼝-총5획; [yòu]
오른쪽, 숭상하다, 오른쪽에 적은 글이나 내용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離 떼놓을 리{이}; ⾫-총19획; [lí]
떼놓다, 가르다, 끊다, 나누다, 열다, 헤어지다, 물러나다, 떠나가다, 배반하다, 붙다, 부착하다, 나란히 줄서다
卦 걸 괘; ⼘-총8획; [guà]
걸다, 매달다, 입다, 걸치다, 건너다, 통과하다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右 오른쪽 우; ⼝-총5획; [yòu]
오른쪽, 숭상하다, 오른쪽에 적은 글이나 내용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右 오른쪽 우; ⼝-총5획; [yòu]
오른쪽, 숭상하다, 오른쪽에 적은 글이나 내용
次 버금 차; ⽋-총6획; [cì]
버금, 다음, 둘째, 잇다, 뒤를 잇다, 다음에, 이어서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爲 할 위; ⽖-총12획; [wéi,wèi]
하다, 만들다, 베풀다, 간주하다, 인정하다, 되다, 성취하다, 이루다, 바뀌다, 다스리다, 정치를 하다, 병을 고치다, 해설하다, 배우다
坎 구덩이 감; ⼟-총7획; [kǎn]
구덩이, 험하다, 험난하다, 악기를 치거나 나무를 베는 소리
卦 걸 괘; ⼘-총8획; [guà]
걸다, 매달다, 입다, 걸치다, 건너다, 통과하다
卽水火旣濟步。先左足而三步內。存想旣濟卦初爻先躡。以雷驚棗木心硃書靈寶符三字。付左趾。日行千里。
즉 불 위에 물이 있으니 기제의 걸음이 되기에,
먼저 왼발이 삼보 안에 있는 것이다.
기제의 괘에서 첫 획(효)이 먼저 밟는다는 상상을 실존시킴으로써,
번개를 맞은 대추나무에 영험한 세 글자를 새겨 부적으로 삼고,
그 부적을 왼쪽 발에 붙여서 천리를 갈 수 있는 것이다.
<주역에서 '효'는 음과 양을 의미하는 획을 의미하는데,
3개의 '효'가 모여 소성괘 8괘를 낳습니다.
그러한 소성괘가 8행 8렬의 행렬을 이루어,
주역의 대성괘 64괘를 이룹니다.>
卽 곧 즉; ⼙-총9획; [jí]
곧, 가깝다, 나아가다
水 물 수; ⽔-총4획; [shuǐ]
물, 물의 범람, 홍수, 오행(五行)의 하나
火 불 화; ⽕-총4획; [huǒ]
불, 오행(五行)의 하나, 타다, 태우다
旣 이미 기; ⽆-총11획; [jì]
이미, 벌써, 원래, 처음부터,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濟 건널 제; ⽔-총17획; [jì,jǐ]
건너다, 나루, 건지다,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先 먼저 선; ⼉-총6획; [xiān]
먼저, 나아가다, 옛날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足 발 족; ⾜-총7획; [zú]
발, 뿌리, 근본, 산기슭, 그치다, 머무르다, 가다, 달리다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三 석 삼; ⼀-총3획; [sān]
석, 셋, 세 번, 거듭, 자주
步 걸음 보; ⽌-총7획; [bù]
걸음, 걷다, 걸리다, 보병, 처하다, 행위, 운수, 나루, 여섯 자
內 안 내; ⼊-총4획; [nèi]
안, 들다, 들이다, 어머니
存 있을 존; ⼦-총6획; [cún]
있다, 안부를 묻다, 가엾게 여기다
想 생각할 상; ⼼-총13획; [xiǎng]
생각하다, 생각, 모양, 형상
旣 이미 기; ⽆-총11획; [jì]
이미, 벌써, 원래, 처음부터, 그러는 동안에, 이윽고
濟 건널 제; ⽔-총17획; [jì,jǐ]
건너다, 나루, 건지다,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卦 걸 괘; ⼘-총8획; [guà]
걸다, 매달다, 입다, 걸치다, 건너다, 통과하다
初 처음 초; ⼑-총7획; [chū]
처음, 시작, 첫, 처음의, 비로소, 처음으로
爻 효 효; ⽘-총4획; [yáo]
효, 육효(六爻), 주역의 괘를 이루는 6개의 가로 그은 획, 엇갈리다, 본받다
先 먼저 선; ⼉-총6획; [xiān]
먼저, 나아가다, 옛날
躡 밟을 섭; ⾜-총25획; [niè]
밟다, 오르다, 올라가다, 이르다, 다다르다
以 써 이; ⼈-총5획; [yǐ]
써, -로써, 부터, -에서, 까닭
雷 우레 뢰{뇌}; ⾬-총13획; [léi]
우레, 천둥, 큰 소리의 형용, 사나운 모양의 비유
驚 놀랄 경; ⾺-총23획; [jīng]
놀라다, 겁내다, 두려워하다, 동요하다, 어지러워지다, 떠들다, 일어서다, 놀래다, 놀라게 하다, 빠르다, 신속하다
棗 대추나무 조; ⽊-총12획; [zǎo]
대추나무, 과실나무의 한 가지, 대추, 빨강, 대추의 빛깔
木 나무 목; ⽊-총4획; [mù]
나무, 오행(五行)의 첫째,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心 마음 심; ⼼-총4획; [xīn]
마음, 심장, 가슴
硃 주사 주; ⽯-총11획; [zhū]
주사(朱砂), 붉은 물감으로 주목(朱墨)의 원료로 쓰인다
書 쓸 서; ⽈-총10획; [shū]
쓰다, 글씨를 쓰다, 기록하다, 글자, 문자, 글씨, 서법
靈 신령 령{영}; ⾬-총24획; [líng]
신령, 팔방․하늘․구름의 신, 신령하다, 영혼, 죽은 사람의 혼백, 죽은 이를 높이어 이르는 말, 목숨, 명수(命數)
寶 보배 보; ⼧-총20획; [bǎo]
보배, 보물, 보배롭게 여기다, 신(神)
符 부신 부; ⽵-총11획; [fú]
부신(符信), 수결(手決), 상서(祥瑞), 길조
三 석 삼; ⼀-총3획; [sān]
석, 셋, 세 번, 거듭, 자주
字 글자 자; ⼦-총6획; [zì]
글자, 아이를 배다, 기르다
付 줄 부; ⼈-총5획; [fù]
주다, 청하다, 붙이다
左 왼 좌; ⼯-총5획; [zuǒ]
왼, 왼쪽으로 하다, 그르다, 어긋나다
趾 발 지; ⾜-총11획; [zhǐ]
발, 복사뼈 이하의 부분, 발가락, 발자국
日 해 일; ⽇-총4획; [rì]
해, 태양, 햇볕, 햇살, 햇빛, 햇발, 해의 움직임
行 갈 행; ⾏-총6획; [xíng,háng]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千 일천 천; ⼗-총3획; [qiān]
일천, 천 번, 많다
里 마을 리; ⾥-총7획; [lǐ]
마을, 거리, 주거(住居)
此道經荒唐之術。何可深信也。】
이것이 도경의 황당한 술법이니,
어찌 진실로 믿을 수 있겠는가?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道 길 도; ⾡-총13획; [dào]
길, 이치, 근원, 기능, 방법, 사상, 인의(仁義), 덕행(德行), 기예, 정령(政令), , 행정(行程), 바둑․장기에서 行馬의 길, 통하다
經 날 경; ⽷-총13획; [jīng,jìng]
날, 날실, 세로, 길, 조리(條理), 도로(道路)
荒 거칠 황; ⾋-총10획; [huāng]
거칠다, 풀이 땅을 덮다, 거칠게 하다
唐 당나라 당; ⼝-총10획; [táng]
당나라, 허풍, 저촉되다, 위반되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術 꾀 술; ⾏-총11획; [shù,zhú]
꾀, 계략, 길, 통로, 규칙, 법칙, 수단, 방법, 일, 사업
何 어찌 하; ⼈-총7획; [hé]
어찌, 무엇, 얼마
可 옳을 가; ⼝-총5획; [kě,kè]
옳다, 가히, 쯤, 정도
深 깊을 심; ⽔-총11획; [shēn]
깊다, 깊게 하다, 깊이, 매우
信 믿을 신; ⼈-총9획; [xìn]
믿다, 진실, 분명히 하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或怪其稱帶。此倣督、任帶之脈絡。而又似襴衫之纓帶也。故名焉。
혹시나 조근대처럼 그렇게 사칭하는 기이한 물건을 본다면,
이 글에서 변증한 것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만약 그와 같은 물건을 사용하여 근맥 경략이 좋아지기를 바란다면,
그것은 또한 난삼에 달린 갓끈처럼 우스꽝스러운 몰골이 될 뿐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알린다.
< '난삼'은 유생들이 입었던 예복인데,
예복에 머리에 쓰는 갓에나 달았던 갓끈을 붙였으니,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되는 것입니다.>
或 혹 혹; ⼽-총8획; [huò]
혹, 혹은, 있다, 늘, 언제나
怪 기이할 괴; ⼼-총8획; [guài]
기이하다, 의심하다, 의심스럽다, 도깨비, 정상(正常)이 아닌 것
其 그 기; ⼋-총8획; [qí,jī]
그(지시 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 조사)
稱 일컬을 칭; ⽲-총14획; [chēng,chèn]
일컫다, 이르다, 부르다, 설명하다, 칭찬하다, 가리다, 저울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此 이 차; ⽌-총6획; [cǐ]
이, 이곳, 이것, 가까운 사물을 가리킴, 이에, 그래서, 斯와 비슷하게 쓰여 접속의 뜻을 나타낸다
倣 본뜰 방; ⼈-총10획; [fǎng]
본뜨다, 준거하다, 의지하다
督 살펴볼 독; ⽬-총13획; [dū]
살펴보다, 바로잡다, 단속하다, 경계하다, 계칙하다
任 맡길 임; ⼈-총6획; [rèn,rén]
맡기다, 맡은 일, 마음대로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脈 맥 맥; ⾁-총10획; [mài,mò]
맥, 혈맥, 수로(水路), 줄기, 연닮, 잇달음
絡 헌솜 락; ⽷-총12획; [luò,lào]
헌 솜, 누이지 아니한 삼(麻), 명주, 깁
而 말 이을 이; ⽽-총6획; [ér]
말 이음, 순접․역접의 접속사, 구 말에 붙여 어세를 돕는 조사, 너
又 또 우; ⼜-총2획; [yòu]
또, 다시, 용서하다, 오른손, 오른쪽(右)
似 같을 사; ⼈-총7획; [sì]
같다, 닮다, 잇다
襴 난삼 란{난}; ⾐-총22획; [lán]
난삼(襴衫)
衫 적삼 삼; ⾐-총8획; [shān]
적삼, 윗도리, 내의, 옷, 의복의 통칭
之 갈 지; ⼃-총4획; [zhī]
가다, 이(指示代名詞), -의(冠形格助詞)
纓 갓끈 영; ⽷-총23획; [yīng]
갓끈, 끈, 새끼, 가슴걸이, 말의 가슴에 걸어 안장을 매는 가죽 끈
帶 띠 대; ⼱-총11획; [dài]
띠, 띠다, 띠를 두르다, 차다, 허리에 차다
也 어조사 야; ⼄-총3획; [yě]
어조사, 또, 또한, 잇달다
故 옛 고; ⽁-총9획; [gù]
예, 이미 지나간 때, 옛, 예전의, 옛날의, 원래, 본래
名 이름 명; ⼝-총6획; [míng]
이름, 인륜상, 신분상에서 쓰이는 부자, 군신, 존비, 귀천 등의 명칭, 외관, 외형
焉 어찌 언; ⽕-총11획; [yān]
어찌, 이에, 이, 여기
4. 맺음말
다산 정약용은 『경세유표』에서 무과시험 활쏘기의 5가지 폐단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바로 격축, 공로, 징포, 만과, 무액입니다.
☞ 참고사항 : 『경세유표』 제15권 하관 수제(夏官修制) 무과(武科) 원문,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87A_0180_020_0010_2002_003_XML
☞ 참고사항 : 『무과시험 활쏘기의 다섯가지 폐단』, http://cafe.daum.net/kukmoonyun/JRHv/52
무과시험에서 대리 시험이 판을 치는 형국에서,
조승을 몰래 사용하는 부정 행위 정도는 소소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만약 무과 응시자가 좋은 스승을 만나고 또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았다면,
조승줄 같은 보조 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사실 명문 무인 집안의 무과 응시자가 조승줄 같은 보조 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조승줄을 사용한 무과 응시자들은 일반 서민들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조승줄을 사용해야만 했던 궁사의 애환에 대하여 연민을 느낄 수도 있지만,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승줄을 사용하는 것을 비웃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조승'을 쓰지 않고도,
몸과 다리를 펴는 힘을 쓸 수 있고,
그 힘을 견갑의 힘에 보탤 수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팔과 견갑의 힘만으로 활을 당기는 것보다
더 큰 힘으로 활을 당길 수 있지 않을까요?
「조근대변증설」에서 '조승'이 비록 부정적인 예로 사용되었지만,
'견갑과 다리를 연결시켜서 활을 당기는 힘에 더 했다는 점'에서,
'조승'을 통하여 지금은 잊혀진 선조들의 활쏘기 단면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요?
김홍도의 활쏘기 그림에서,
교관이 궁사의 줌팔과 어깨를 만지고 있는 모습과 연관이 있을 것도 같습니다.
|
첫댓글 굉장히 흥미있는 글입니다. 조근대와 조승줄 이글을 읽어보면 머릿속에 언뜻 그림이 떠오른것이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겠죠. 음~ 결국 사람이 어떤 물건을 사용 하려면 120%를 사용해야 하나 조근대를 사용하면 30~40%만 사용해도 되는 물건(?)인것 같습니다. 아바타에 나오는 짐꾼 로봇(안에 탑승하여 조종), 다리에 착용하면(스프링 역할)일반적으로 걷거나 뛰는 속도보다 몇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물건......, 어쨌던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육당 선생이 군밤장수의 포장지에서 발견해서 귀중한 자료를 모은것을 보면 이분의 식견이 얼마나 높았는지도 알수 있구요. 그리고 나름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무액과 같은 폐단들과 조승줄 부정 행위 등은,
우리 활쏘기의 어두웠던 민낯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감추려고만 하지 말고,
타산지석이나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 같습니다.
어두웠던 과거에서,
아무 것도 배우지 못한다면,
내일도 어둡기는 마찬가지가 될 뿐이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씁쓸하기만 하는, 그런 느낌이 듭니다.
@오늘즐거운(홍성우) 그때나 지금이나 다를바 없음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결국은 나만 잘 되면 된다는 생각 이지요.....
감사힌 잘 읽었습니다.
조승줄의 실물도 보고 싶어집니다^^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嘗創說輪筇'라는 구절에 대한 설명인데요,
오주 이규경이 「윤공변증설」에서 '윤공'에 대하여 논증한 것을 의미합니다.
'윤공'의 황당스러운 발상을 빌려,'조근대'의 우스꽝스러움을 표현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윤공'은 지팡이인데, 롤러스케이트와 스키봉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평지에서는 바퀴를 이용하는 것처럼 달리고,
험지에서는 지팡이를 이용해서 도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