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 한방치료
한방에서는 크게 땀의 원인을 신체 음양의 부조화와 기(氣)의 허실 특히, 피부가 있는 몸의 바깥부분을 운행하는 위기(衛氣)를 중요시 합니다. 이 위기는 땀구멍을 열고 닫는 기능으로 땀을 조절해 체온조절 하기에 외부환경에 잘 적응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 위기가 약해지면 땀구멍을 잘 닫을 수 없어 땀이 많이 나오게 되지요. 황기나 삼계탕은 이런 위기를 돋구어 주어 많이들 먹고 있지요~
내부적으로는 신체의 음기운이 부족해도 화(火)가 생겨 땀이 나게되고, 전신적으로 덥고 땀나면 실열(實熱)이라하고, 손발이 차거나 주로 상체에만 열나고 땀나면 허열(虛熱)이라 하고, 주로 수(水)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장의 허실과 관계가 있구요. 이럴땐 숙지황등 찬성질에 진액을 보충해 음기를 돋구는 약을 먹거나 합니다.
침 치료로 기혈을 조절해 효과를 보기도 하지요~
수족한(手足汗)
손발에서 나는 땀
手足汗者津液自胃府傍達於外則手足自汗有熱聚胃府逼而出之者此陽明證也宜大柴胡湯(方見寒門)下之(入門)
수족한(手足汗)은 진액(津液)이 위부(胃府)에서 방달(傍達 여러 방면으로 통하고 퍼짐)하면서 외부로 나오는 것이고, 수족자한(手足自汗 가만히 있어도 손발에 저절로 흐르는 땀)은 위부(胃府)에 열이 몰려 억누르기 때문에 나오는 것인 데, 이는 양명증(陽明證)으로 대시호탕(大柴胡湯 처방은 한문寒門에 있음)을 써서 아래로 설사를 시켜볼만 하다(입문).
○手足汗用芩連栢幷補劑皆不效後以八物湯加半夏茯巔笭爲君白附子川烏爲佐使服之其汗卽無(綱目)
수족한(手足汗)에 금연백(芩連栢 황금, 황련, 황백)에다 보제(補劑 보하는 약재)까지를 병용하여 써도 별 효과가 없어, 팔물탕(八物湯)에 반하(半夏 끼무릇), 복령(茯笭 백복령)을 군(君 병을 치료하는 주된 약)으로 더 넣고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천오(川烏)를 좌사(佐使 보좌하는 역할) 약으로 더 넣어서 복용시켰더니 땀이 즉시 그치는 사례도 있었다(강목).
○治脚汗方白礬乾葛各五錢爲末水三椀煎十數沸逐日洗而纏之三五日自止(本事)
각한( 脚汗발에서 땀이 나는 땀)은, 백반(白礬), 건갈(乾葛) 각 5돈(18,75g)을 가루로 만들어 물 3사발에 넣고 십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그 물로 날마다 발을 씻고 싸매기를 삼오일(三五 보름) 계속하면 저절로 그치기도 한다(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