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 한국은 암 다음 2위가 심혈관질환, 4위가 뇌혈관질환입니다. 혈관질환이 무서운 이유는 어느날 갑자기 사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혈관질환은 혈액의 변화부터 시작합니다. 질환 발생 수년 전부터 혈중 콜레스테롤과 혈당이 많아져 혈액이 끈적끈적해지고 혈관을 손상시키는 염증물질도 생깁니다.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2021)
(단위 : 인구 10만몀당 명)
암 – 1위 161.1, 심장질환 – 2위 61.5, 폐렴 – 3위 44.4, 뇌혈관질환 – 4위 44.0, 자살 – 5위 26.0, 당뇨병 – 6위 17.5
혈액 탁하게 하는 습관
과식
과식을 하면 몸 속으로 들어온 지방이나 탄수화물이 많아져 혈액을 탁하게 만듭니다. 특히 콜레스테롤 등 지방은 혈관 벽에 조금씩 쌓여 피가 통과하는 통로를 좁게 만듭니다. 당분은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하는데, 과잉 생성된 포도당은 혈액을 끈적끈적하게 만드는 주범입니다. 적정 칼로리 섭취와 함께 콜레스테롤을 만드는 포화지방, 트렌스지방의 섭취도 조심해야 합니다. 설탕 등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단순 탄수화물 섭취도 줄여야 합니다.
음주와 흡연
알코올과 흡연은 혈액 내 염증 물질을 늘립니다. 또한 알코올은 우리 몸에 있는 단백질을 지방으로 바꿉니다. 흡연 중 생기는 일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보상작용으로 적혈구가 많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혈액이 끈적끈적해집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아드레날린을 분비시켜 체내 산화 스트레스를 많이 만들어 혈액 내 염증 물질이 증가하고 혈관벽을 손상시킵니다.
스트레스 → 고콜레스테롤 → 고혈압 → 고혈당 →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혈액 깨끗하게 하는 습관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입니다. 걷기,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을 하면 당뇨병,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혈액 속 나쁜 물질은 감소합니다. 근력 운동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육이 충분해야 혈액 내 당이 필요한 양보다 많아졌을 때 빨리 소모해 당뇨병 등을 막아 줍니다.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피하고 잠을 푹 자는 것은 혈액을 맑게 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백혈구가 활발하게 활동해 몸 안에 있는 혈전 유발물질 등이 제거합니다.
건강한 피를 만드는 음식
피가 탁하고 끈적끈적해지면 심근경색 ·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먹는 음식은 혈액 건강을 좌우합니다. 혈액을 오염시키는 음식이 있는가 하면, 오염된 혈액을 맑게 하는 음식이 있습니다.
혈액을 탁하게 하는 음식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
튀김, 팝콘, 도넛, 케이크 등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은 혈액을 오염시킵니다. 트랜스지방은 액체 상태의 식물성 지방에 수소를 첨가해 고체 상태로 만든 지방을 말합니다. 트랜스지방을 과다 섭취하면 나쁜 콜레스테론인 LDL 수치가 높아져 혈액이 탁해집니다.
정제된 곡물
정제된 곡물은 곡류의 속껍질까지 벗겨낸 것을 말합니다. 흰쌀, 밀가루가 대표적입니다. 정제된 곡류는 몸에 흡수되는 속도가 빨라 체내 혈당을 급격히 높입니다. 혈당이 급격히 오르면 인슐린 분비가 방해되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 혈관 건강이 악회되고, 자연스럽게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가공육
가공육은 지방 부위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습니다. 대부분은 식품을 보존하기 위해 나트륨을 첨가하는데,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올라가면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세포에 있던 수분이 혈액으로 빠져나오고 혈액량이 증가하면서 혈압이 오릅니다. 연구에 따르면 베이컨, 햄 등 가공육을 하루 50g 섭취할 때마다 관상동맥 심질환 위험이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맥경화의 진행 과정
건강한 혈관 → 동맥경화증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 → 혈관 내부가 거의 막힌 상태
혈액을 맑게 하는 음식
미역
미역에는 후코이단, 알긴산 등 혈액을 맑게 해주는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습니다. 미역에 풍부한 식이섬유가 혈전을 예방하고 피를 맑게 해줍니다. 특히 미역의 수용성 섬유질인 알긴산은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체외로 배출합니다.
주꾸미, 오징어, 낙지. 굴
주꾸미, 오징어, 낙지, 굴에는 혈액을 깨끗이 하는 ‘타우린’ 성분이 풍부합니다. 타우린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며 심장 수축력을 높여 심장에서 내보내는 혈액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깨
깨에는 혈액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성분이 풍부합니다. 혈액 중 여분의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침착하면 혈간 내부가 두터워져 좁아지는데, 이를 억제해 혈관을 보호합니다. 또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해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다만, 열량이 높기 때문에 하루에 큰 숟가락으로 10g 이하로 섭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