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치원(崔致遠) 연보
최치원(崔致遠, 857년 신라 문성왕 19년•헌안왕 1년 생~951년 고려 광종(光宗) 2년 몰; 향년 95세)
신라의 대문장가
우리나라 유교(儒敎)의 아버지
한국 유학(儒學)의 선구자
신라 하대 학자•문신•문장가
중국 율수현위•표수현위•승무랑•시어사 내봉공•종사관•관역순관•도통순관 역임
중국 자금어대 하사
신라 시독 겸 한림학사•수병부시랑 지서서감•태산(태인)태수•부성군태수•아찬 역임
신라 3최의 한 사람
신라 6두품 출신 대표 지식인
신라 재상의 후예
경주(慶州) 최(崔) 씨(월성(月城) 최(崔) 씨) 중시조
경주 최 씨 시조 신라 개국공신 진한(辰韓) 사로국(斯盧國) 돌산 고허촌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
한국 최초의 고대 소설가
한국 최초의 서사 문학집 『신라수이전』 중편자
한국 최초의 개인 문집 『계원필경』 저자
신라 향가 이후, 대구 형식 4•6변려문의 대가
도교 경전 「천부경」의 저자
본관 경주(慶州) 경주(慶州) 최(崔) 씨
호 유선(儒仙)•해운(海運)•해부(海夫)•홍운(弘雲)
자 고운(孤雲)
시호 문창후(文昌侯, 1023년 고려 현종(顯宗) 14년 추증)
추증직 내사령(중서령, 중서문하성 명예직으로 문하시중의 상위직; 1020년 고려 현종 11년 추증)
후호(後號) 고운(孤雲)
―후호(後號)는 후세의 후손이나 사가(史家)들이 부여하는 이름이다. 고운(孤雲)은 최고운의 자에 해당하지만, 후대에 고운 최치원 선생의 호(號)로 쓰이고 있으므로 후호로 인정한다.
경주 사량부(또는 본파부) 출신
신라 6두품 가문 출신
신라 6두품 최고 관직 아찬 역임
부 최견일(崔肩逸). 신라 재상의 후예, 861년 신라 경문왕(景文王) 2년 곡사(鵠寺) 중창 불사 참여. 이명 최충(崔沖). 문창령(文昌令)에 봉작되어 문창현 수령 역임
빙부(聘父) 안정(安定) 나(羅) 씨 신라 정승 각간(角干) 나천업(羅千業)
처 안정(安定) 나(羅) 씨 신라 정승 각간 나천업(羅千業)의 여식 나운영(羅雲英)
형제
승려 현준(賢俊, 최치원의 형, 880년대 중반 해인사 체류)
최인연(崔仁渷)∙최서원(崔棲遠)과 4촌~6촌 형제(884년 헌강왕(憲康王) 10년 견당사 수행원 최서원, 집사 시랑 최인연)
857년 통일 신라 문성왕 19년•헌안왕 1년 신라 금성 사량부(沙梁部) 출신. 황룡사(皇龍寺) 부근 본피부(本彼部) 출신설과 전북 옥구(沃溝) 내초도 출신설도 있다. 최치원의 전기에서는 고군산(古群山) 출신설이 있고, 『최고운전』(崔孤雲傳)에서는 문창(文昌) 출신이라고도 한다. 금돼지 설화에서는 전북 옥구 내초도에서 출생해 내초도 문창에서 자랐다고 한다. 어린 시절 옥구 하제 소재 자천대에서 학문을 닦았고, 자천대는 일제 때 철거되어 현재 옥구향교로 이전되었다. 그의 출생지가 내초도가 아니라 고군산 군도 선유도라는 설도 있다. 말년에 6두품 최고 관등 아찬(阿飡)에 오른 것으로 보아 6두품 출신으로 추정된다. 신라 재상의 후예이다.
862년 통일 신라 경문왕(景文王) 2년 6세 중국인 두 학사(學士)와 신라 정승 나천업(羅千業)의 동자(童子) 신라인 6세 최치원(崔致遠)이 함께 쓴 최치원 6세작 첫 한시 오언 절구 「월영대」(月影臺) 작시(『최고운전』)
868년 경문왕 8년 12세 신라 재상 나천업(羅千業)의 여식 나운영(羅雲英)과 성혼 후, 중국 당나라 유학. 전남 영암 포구에서 당나라행 상선을 타고 떠났다고 한다. 나운영과 나눈 연애시와 이별시가 있다(『최고운전』).
874년 경문왕 14년 18세 당나라 예부시랑 배찬(裵瓚) 주관 외국인 시험 빈공과 장원 급제. 과거 급제 후, 2년간 낙양 지방을 여행하며 시작 활동. 율수현위
875년 헌강왕 1년 19세 『금체시』(今體詩) 1권 5편, 『오언칠언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권 100편, 『잡시부』(雜詩賦) 1권 30편 저술. 황소(黃巢)의 난 발발
876년 헌강왕 2년 20세 당나라 선주(宣州) 표수현위 임명. 『중산복궤집』(中山覆蕢集) 1부 5권 저술. 우리나라 최초의 설화 단편 소설 「쌍녀분전기」(雙女賁傳記) 창작
877년 헌강왕 3년 21세 겨울 표수현위 사직. 박학굉사과 과거 시험을 위해 종남산 입산. 양양(襄陽) 이위(李藯)의 문객 생활
878년 헌강왕 4년 22세 종남산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문 생활. 회남절도사 고변(高騈, 고병) 추천으로 관역순관 임명
879년 헌강왕 5년 23세 고변(高騈)의 종사관 서기. 도통순관를 역임하고 비은어대(緋銀魚袋)를 받음.
881년 헌강왕 7년 광명 2년 25세 도통순관, 승무랑 전중시어사 내봉공을 역임하고, 자금어대(紫金魚袋)를 받음. 7월 8일 황소의 난을 꾸짖는 명문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저술
882년 헌강왕 8년 26세 『계원필경』(桂苑筆耕) 20권 저술. 신라 귀국 전까지 17년간 당나라 체류. 고병의 종사관 생활. 당나라 문인 고운(顧雲)∙나은(羅隱) 등과 교유
884년 헌강왕 10년 28세 신라 사신으로 임명되어 8월 회남에서 출발해 10월 신라 사신 김인규, 사촌동생 서원과 귀국길에 신라의 배가 출항했으나 풍랑을 만나 유산에서 대기 후, 겨울이 닥쳐오자 곡포에서 지낸 후, 다음 해 신라 귀국
885년 헌강왕 11년 29세 3월 신라 귀국. 시독 겸 한림학사 수병부시랑 지서서감 제수. 명문 『대숭복사비문』(大崇福寺碑文) 저술
886년 헌강왕 12년•정강왕 1년 30세 1월 『사금체시』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100수 1권, 『잡시부』 30수 1권, 『중산복궤집』 1부 5권, 『계원필경집』 1부 20권,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등 문집 28권을 헌강왕에게 제출. 7월 헌강왕 사망∙정강왕 즉위 후, 진골 세력의 견제로 전북 태인(태산군(太山郡))태수로 좌천
887년 정강왕 2년•진성왕 1년 31세 정강왕 사망. 당나라인 고변 피살. 11월 부성군(충남 서산군) 태수. 『진감국사비명』 저술
888년 진성왕 2년 32세 11월 『왕비 김씨 위선고급망형추복시곡원문』 저술
890년 진성왕 4년 34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저술
893년 진성왕 7년 37세 부성군태수 재직 중 당나라로 가는 사신 하정사로 임명되었으나 도적 때문에 길이 막혀 파견이 취소되었다가 후에 다시 파견됨.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저술
894년 진성왕 8년 38세 관직명 방로태감 천령군태수 알찬. 2월 경남 함양 천령군태수. 『시무책』(時務策) 10여 조 개혁안 작성. 진성왕의 『시무책』 수용으로 6두품 최고 관직 아찬 승진. 「증희랑화상」 시 6편 창작. 경남 함양에는 천령군태수 재직 중에 최치원이 찾던 학사루와 그가 홍수 방지를 목적으로 조성한 함양상림이 있다.
895년 진성왕 9년 39세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 저술
896년 진성왕 10년 40세 1월 「신라 가야산 해인사 결계장기」(新羅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 저술. 11월 아찬 면직 후, 가야산 은거
897년 진성왕 양위•효공왕 1년 41세 1월 하정사 김영과 당나라 사신으로 파견. 진성왕 「양위표」, 효공왕 「사사위표」 저술. 천령군태수 사임
898년 효공왕 2년 2월 42세 관계 은퇴. 여러 지방으로 은거 생활. 경주 남산(南山), 경북 의성 강주(剛州) 빙산(氷山), 합천 청량사, 지리산 쌍계사, 창원 합포현 별서(別墅), 안동 청량산, 봉화 청산, 문경 봉암사, 의성 고운사, 성주 초전, 고령 벽송정, 김천 학사대, 부산 동래 해운대, 양산 임경대, 거창 고견사, 삼천포 남일대, 남해 금산동천, 진해 청룡대 각석, 연기 조치원, 보령 성주사와 보리섬, 공주 공산성, 보은 속리산, 홍성 쌍계계곡, 김제 귀신사, 해남 서동사, 금강산 구룡폭포 등지
900년 효공왕 4년 44세 12월 31일 가야산 해인사에 은거하며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海印寺善安住院壁記) 저술
901년 효공왕 5년 45세 가야산 해인사 은거. 『석순응전』, 『석이정전』 저술
904년 효공왕 8년 48세 가야산 해인사 화엄선원 은거.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부석존자전』 집필
908년 효공왕 12년 52세 이재가 지은 팔각등루의 연원을 기록한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新羅壽昌君護國城八角燈樓記) 저술. 가야산 해인사, 부산 해운대, 지리산 등지 유람. 908년 이후 신라 합천 가야산 사망설(향년 52세)
910년 효공왕 14년 54세 태백산 단군전비(檀君篆碑)의 천부경(天符經) 해독
915년경 59세 태백산 단군전비의 발견과 금강산 유람
917년 61세 지리산 은거. 「지리산 시첩」 창작
918년 경명왕 2년 고려 태조 1년경 62세 왕건 참서 「계림요」(鷄林謠)를 짓고 직위에서 파직 당한 후, 가족과 함께 가야산 해인사 은거. 왕건에게 보낸 최치원의 서신으로 왕건의 건국을 예언했다고 하며, 이후로 최치원은 가야산 해인사로 완전히 은거하게 된다. 형 스님 현준(賢俊) 그리고 정현사(定玄師)와 함께 가족을 데리고 가야산 해인사 은거. 최후 생존 기록으로 이후의 최종 행적은 알 수 없다. 산속 은거설•도인 신선설•자살설 등
924년 경애왕 1년 68세 893년 최치원 작 비문을 새긴 지증대사비 건립
927년 71세 추정. 은거 신선 생활
935년 경순왕 9년 79세 통일 신라 멸망
936년 고려 태조 19년 80세 고려 왕건이 후삼국 통일. 최치원 생존설(양기선)
937년~951년 81세~95세 추정. 신선 생활. 951년 95세 최치원 생존설(함양 상림공원 문후신도비)
1019년 이전 신라 합천 가야산 해인사에서 사망 추정. 가야산에서 은거 중 종적을 감추고 어디론가 가버렸다고 역사의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 사촌아우 최언위, 손자 최은함, 재종손 최항, 증손 최승로
묘역
충남 홍산(鴻山, 옛 부여 지역)
―홍산은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으며, 757년 한산(翰山), 940년 고려 태조 23년 홍산(鴻山), 1914년 부여군 홍산면으로 개칭
충남 대흥(옛 청양 지역)
―충남 대흥 옛 청양 지역에 최치원의 묘가 있다는 설도 있다.
1023년 문묘 배향
경주 최 씨 중시조 시묘
배향
1023년 문묘 배향
1561년 경주 서악서원
1615년 전북 태인 무성서원
1670년 함양 백연서원
1755년 대구 계림사(桂林詞)
1784년 무성서원 최치원 초상화 보존
1846년 창원 월영서원
1850년 경주 낭산 독서당 유허비와 비각
1870년 함양 상림 신도비
1871년 경주 상서장 신도비와 비각
1901년 하동 영당(影堂)
1902년 창원 두곡 영당
1920년 청도 일곡 영당, 임천 영당 도충사(道忠詞), 서산 지곡 부성사(富城祠), 옥구 겸의서원 복건
1924년 창원 월영대 개축 및 비각
1933년 익산 웅포 영당
1937년 가야산 학사당 이건
1949년 경주 상서장 영당
1951년 가야산 학사당 가야서당
1954년 부산 해운대 신도비
1969년 부산 해운대 동상
1971년 가야산 학사당 신도비
1972년 안동 영각(影閣)
1974년 보령 성주사지 신도비, 박정희 대통령 친필 면각대자
1976년 익산 웅포 단동사 신도비
1979년 12월 29일 경남 「하동 운암영당 최치원 초상」이 경남 유형문화재 지정(소재지: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초상의 소재지는 쌍계사에서 1825년 순조 25년 화개 금천사, 1868년 고종 5년 하동향교, 횡천영당, 1924년 운암영당으로 이동
그 외 조선조 영평 고운영당 등지에 제향되었고, 지리산 쌍계사 등지에 화상이 봉안되었다.
1020년 고려 현종 11년 내사령(內史令, 문하시중의 상위직) 추증
1023년 문창후(文昌侯) 추봉, 문묘 배향. 조선조 태인 무성서원, 경주 서악서원, 함양 백연서원, 영평 고운영당, 대구 해안현 계림사 등지 제향
1074년 고려 문종 28년 5대손 최선지(崔善之)를 도염서사(都染署史)로 임명
1145년 고려 인종 23년 김부식의 『삼국사기』 「최치원전」 기록
1200년 고려 신종 3년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에서 최치원 신선설 기록
1459년 조선 세조 5년 최항 등이 최치원 문집 12권 발간
1561년 명종 16년 경주 서악서원 건립
1615년 광해군 7년 전북 태인에 무성서원 건립
1670년 현종 11년 함양 백연서원 건립
1755년 영조 31년 대구 계림사(桂林詞) 건립
1784년 무성서원에서 최치원 초상화 보존
1846년 헌종 12년 창원 월영서원 건립
1850년 철종 1년 경주 낭산 독서당 유허비와 비각 건립
1870년 고종 7년 함양 상림에 신도비 건립
1871년 고종 8년 경주 상서장 신도비와 비각 건립
1901년 고종 광무 5년 하동 영당(影堂) 건립
1902년 고종 광무 6년 창원 두곡 영당 건립
1920년 청도 일곡에 영당 건립. 임천 영당 도충사(道忠詞) 건립. 서산 지곡 부성사(富城祠) 건립. 옥구 겸의서원 복건
1924년 창원 월영대 개축 및 비각 건립
1925년 『고운집』 상하권 간행
1933년 익산 웅포 영당 건립
1937년 가야산 학사당 이건
1949년 경주 상서장 영당 건립
1951년 가야산 학사당 가야서당 건립
1954년 부산 해운대 신도비 건립
1969년 부산 해운대 동상 건립
1971년 가야산 학사당 신도비 건립
1972년 안동 영각(影閣) 건립.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간 『최문창후전집』 영인본 간행
1974년 보령 성주사지 신도비 건립. 박정희 대통령 친필 면각대자
1976년 익산 웅포 단동사 신도비 건립
1979년 12월 29일 경남 「하동 운암영당 최치원 초상」이 경남 유형문화재 지정(소재지: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초상의 소재지는 쌍계사에서 1825년 순조 25년 화개 금천사, 1868년 고종 5년 하동향교, 횡천영당, 1924년 운암영당으로 이동
1982년 최준옥 편 『국역 고운선생문집』 간행
1996년 2월 문화체육부 선정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
1999년 최영성 역주 『고운문집』(「사산 비명」 주해 수록) 간행
2000년 중국 표수현 최치원 동상 건립
2001년 5월 중국 양주 최치원 방문 지역에 비석 “최치원행처”(崔致遠行處) 건립. 10월 중국 양주대학 “한중 최치원 학술세미나”와 “최치원 사료진열전” 개최 및 최치원 동상 전시. 당성유지(唐城遺址)에 최치원사료진열관 건립
2005년 최치원문학상 제정
2007년 중국 양주 당성유적지에 최치원기념관 건립
2013년~2015년 2013년 6월 중국 주석 시진핑(習近平)이 중국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최치원의 시 「범해」(泛海)를 인용했고, 2014년 7월 시진핑이 한국 방문 중 서울대 특강에서 최치원에 대해 언급했으며, 2015년 시진핑이 중국 방문의 해 축하 메시지에서 최치원의 시 「지리산」의 “東國花開洞, 壺中別在天”을 인용했다.
2015년 11월 17일 “최치원 서울전―계원행인” 개막(주한중국문화원 개최)
2016년 나종혁 편역•최치원 원작 『최치원전―최치원(한문 국역)/최치원전 <한글본>(흑백 원문)』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중국 강소성 양주(揚州)에 최치원기념관 개관
2017년 나종혁 편 『최치원 서첩(흑백본)』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2020년 나종혁 편•작자 미상 원작 『최충전―활자본 33장 현대어본•고어본•영인본』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가을 고운최치원국제학술대회 개최(경북대에서 영남문화연구원과 최치원문화연구원 주최로, 주제는 “글로벌 최치원과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였다.)
2021년 나종혁 편역•최치원 원작 『최치원 한시집』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나종혁 찬•최치원 원찬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원문•영인본』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최진호 장편 소설 『최치원』 전 5권 발간(1권 성인과의 만남, 2권 통찰의 지혜, 3권 꿈꾸는 별, 4권 하늘의 비밀, 5권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 집사재)
2022년 장일규 저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 『생태환경과 역사』 제8호, 한국생태환경과사학회, pp. 91~115, PDF (논문); 송성안•한정호 공저 「고운 최치원의 관료생활 연구」, 『문화와융합』 제44권, pp. 927~942, 한국문화융합학회, PDF (논문)
2023년 4월 17일 경남 함양군에서 고운 최치원 선생 제향 봉행(함양 최치원역사공원에서 (사)성균관유도회 함양지부 주관). 제18회 최치원문학상 공모. 8월 말 경북 경주시가 고운 최치원 선생 기념관 건립 추진. 9월 10일 나종혁 편역•최치원 원작 『최치원 한시집 <제3판>』 간(도서출판 DRM연구원, 전자책)
저서
시문집―『계원필경』 20권(桂苑筆耕, 헌강왕 때 한국 최초의 개인 문집), 『금체시』 1권 5편, 『오언칠언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권 100편, 『잡시부』(雜詩賦) 1권 30편, 『중산복궤집』(中山覆蕢集) 1부 5권(현위 재직 중 저서), 『사륙집』(四六集) 1권, 『상대사시중장』(上大師侍中狀), 『사시금체부』(私試今體賦) 1권 5편, 문집 30권 등
역사서―『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신라 수장의 명칭을 모두 왕으로 개칭한 사서)
불교서―『부석존자전』 1권, 『법장화상전』 1권, 『석이정전』, 『석순응전』, 『사산비명』 등
도교서―『천부경』(天符經) 한문본
한문 소설―「쌍녀분전기」(雙女墳傳記, 한국 최초의 고대 소설)
서체―쌍계사 「진감선사 비문」
설화―『최문헌전』(崔文獻傳), 「최치원 설화」(조선조 김집(金集)의 『신독재전집』 수록)
문서―『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사산비 서문』(四山碑序文),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 「난랑비 서」(鸞郞碑序, 『삼국사기』에 수록된 신라 화랑도의 사상적 기반을 기록한 글)
현존 저서―『계원필경』, 『법장화상전』, 『사산 비명』
* 우리나라 유학(儒學)의 아버지: 통일 신라 시대 아찬을 역임한 고운 최치원(崔致遠) 선생은 우리나라 유교(儒敎)의 아버지이고 한국 유학(儒學)의 선구자이다. 신라 재상의 후예로서, 어려서는 아버지 문창령 최충의 이야기가 『최충전』(『최고운전』)으로 전해오고 있고, 6세에 월영대에서 중국인 두 학사와의 첫 시가 있으며, 신라 정승 나천업의 파경노 이야기가 있다. 12세에 나천업의 여식 소저 나운영과 혼인하고, 중국 당나라로 유학을 가서 빈공과에 과거 급제하고, 율수현위, 표수현위에 제수되었으며, 여러 관직을 중국에서 역임했다. 고운, 나은(羅隱) 등과 교유했으며, 발해인 고변의 종사관을 거쳐 28세에 신라로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장인 신라 재상 나천업(羅千業)이 연로해서 이미 별세한 후였다. 진덕왕 당시 여러 관직을 하면서 6두품 최고 관직 아찬에 오르고 태인 등지의 수령을 거쳐 가야산으로 가족들과 은거했다. 중국에서의 16년간의 유학생 시절과 관직 시절에 쓴 저술들이 『계원필경』(桂苑筆耕) 전 20권으로 완성되었다. 160여 편의 한시를 남겼으며, 「토황소격문」과 「시무 20조」 등의 중요 문건을 썼다. 우리나라 최초의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을 재해석했으며, 수많은 불교 관련 글을 쓰기도 했다. 최치원의 나운영(羅雲英)과의 사랑 이야기는 한글 소설 「최고운전」(崔孤雲傳)으로 전래되고 있고, 최치원의 중국 유학 시절의 이야기는 「쌍녀분전기」로 전래되고 있다. 진덕왕 때 시무 20조로 6두품 출신이 오를 수 있는 최고 관직 아찬에 임명된 후에 898년 42세에 관직을 은퇴하고 전국을 여행한 후 가야산에 은거했다. 908년 52세에 가야산에서 최초의 사망설이 있고, 최치원의 공식적인 활동이 이 시기에 종료되었다는 설도 있다. 910년 54세에 태백산에서 「천부경」을 해독했으며, 917년 61세에 지리산에 은거해 「지리산 시첩」 16수를 완성했다. 918년 62세에 최후 생존 기록으로 고려 왕건 참서 「계림요」를 지어 고려 왕건(王建)의 건국을 예언했다고 한다. 이후에는 최치원의 행적이나 생존 기록이 없으나 936년 80세 고려 태조 당시 최치원 생존설이 있으며, 951년 95세 최치원 생존설도 있다. 최치원의 사망 연도는 마지막 생존설이 있던 951년 고려 광종조 향년 95세로 추정한다. 가야산에서 종적을 감추고 어디론가 가버렸다고 후대에 알려져 있다.
신라 재상의 후예로서 신라의 대문장가였으며, 4•6변려문을 앞세우고 신라의 유학을 선도한 우리나라 유교의 아버지이고 한국 유학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최치원 선생은 한국 최초의 고대 소설가이며, 또한 한국 최초의 서사 문학집 『신라수이전』의 중편자이기도 하다. 한국 최초의 개인 문집 『계원필경』의 저자이며, 신라 향가 이후, 대구 형식 4•6변려문의 대가이기도 하다. 또한 최치원은 도교 경전 「천부경」의 해설자이다. 경주 최 씨 중시조이며, 신라 3최의 1인이다. 무엇보다, 최치원은 신라 재상 나천업의 여식 소저 나운영과의 사랑 이야기를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 『최고운전』(작자 미상 원작)으로 남겼고, 중국 유학 시절의 이야기를 우리나라 최초의 설화 소설 「쌍녀분전기」로 남긴 낭만적 소설가의 원조이다.
최치원 선생의 업적은 한국과 중국 등지의 여러 기념사업으로 후세를 빛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유학의 아버지인 최치원은 고운학(孤雲學) 또는 최치원학(崔致遠學)의 창시자로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 최치원 기념사업: 최치원을 기념하는 여러 기념관, 기념도서관, 기념공원 등이 건립되었고, 문학상, 학술대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들이 개최되고 있다. 경북 경주에는 최치원을 모신 사당 상서장과 최치원 선생 전시관이 소재한다. 1996년 2월 문화체육부 선정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된 바 있다. 2000년 중국 표수현에 최치원동상이 건립되었다. 2001년 5월 중국 양주에 최치원 기념 비석 “최치원행처”가 건립되었고, 중국 당성유지에 최치원사료진열관이 건립되었다. 경기 하남시에는 고운최치원도서관이 건립되어 있다. 경기 남양주에 최치원기념관이 건립되었다. 경북 의성에 의성최치원문학관이 건립되었다(소재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241). 2020년 경북대에서 고운최치원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경남 함양에 최치원역사공원과 고운최치원기념관이 건립되었다. 2005년 최치원문학상이 제정되어 2023년 제18회까지 시행되고 있다. 부산 해운대 동백섬에서 최치원 기념 동상과 유적비, 정자 해운정이 건립되었고, 매년 최치원 선생 추모 다례제가 개최되고 있다. 최치원 기념사업이 활발한 지역은 중국 최치원 활동 지역, 경북 경주 최 씨 본관 지역, 경기 지역, 경남 함평 지역, 부산 해운대 지역 등 전국에 산재해 있다.
* 김부식의 『삼국사기』 권46 열전편 「최치원전」 수록; 『동문선』(東文選)에 최치원의 일부 시문 수록.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최치원의 관직은 방로태감 천령군태수 알찬. 유학의 선구자로 고려 유학자 최승로(崔承老), 최언위(崔彦撝)로 승계.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에 저서명 『사륙집』(四六集)과 『계원필경』의 기록이 있음.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 권22 잡문(雜文) 「당서불립최치원전의」(唐書不立崔致遠傳議)에 그의 소설이 언급됨. 『삼국유사』에 본피 출신으로 고려 중기까지 황룡사, 매탄사 남쪽에 최치원의 집터가 남아 있었다는 기록이 있음.
* 부산 해운대•동백섬 지역 최치원 유적: 최치원이 부산 동백섬 지역을 방문한 후, 자신의 자명을 따라 해운대라고 지명을 붙였고, 동백섬 절벽에 “해운대”(海雲臺)라고 직접 지명을 새겼으며, 동백섬 언덕에 최치원의 동상과 시비가 있고, 부산 해운대구는 최치원이 『토황소격문』을 지었던 중국 양저우시구와 자매결연을 맺음.
* 전북 군산 지역 최치원 설화: 857년 전북 군산 내초도동 출생설. 금돼지에서 태어났다는 옥구 금돈시굴 설화가 있음. 최치원이 글을 읽었다는 이야기의 배경인 자천대(紫天臺) 위치가 일제 강점기 옥구향교로 이전(구 위치: 전북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하제, 신 위치: 전북 옥구읍 상평리 옥구향교)
* 「지리산 시첩」(智異山詩帖): 「지리산 시첩」(智異山詩帖)은 고운 최치원이 지리산에 머물 때 창작했다고 하며 원문은 「시첩」 16수이고, 현존작은 8수로 알려져 있었다. 나종혁이 인터넷에서 제9수를 발견해서 시첩 9수로 확정되었다. 이중환(李重煥, 1690년~1752년)의 『택리지』(擇里志)에 「지리산 시첩」 10절구가 실려 있다고 한다. 본 시첩은 이지봉(李芝峰)의 시화(詩話)에 따르면, 조선 시대 선조(宣祖) 신묘년에 지리산의 노승이 암굴에서 여러 책을 구했으며, 이 가운데 최치원의 친서와 시 1첩이 발견되었다. 최치원의 시 1첩은 총 16수지만 8수만 발견되었다. 당시 구례군수 민대륜(閔大倫)이 이지봉에게 전달했고, 이지봉이 최치원의 필적과 시작임을 확인했다. 앞의 8수는 『지봉유설』(芝峯類設)에 수록되었고, 제9수는 『택리지』 수록분이다. <끝>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신완순의 「삼국사기 ‘최치원전의 비밀’」(『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2016년 03월 09일); 디지털군산문화대전, 기타 자료 「최치원」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