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판암(擲盤唵)은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사찰이다. 『송고승전(宋高僧傳)』에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한다. 원효(元曉)가 이곳에 암자를 짓고 수도하였다. 어느 날 명상으로 멀리 중국 땅 장안성을 투시하였더니, 마침 그곳 종남산(終南山)의 운제사(雲際寺) 대웅전에서 1천여 명의 승려들이 예불을 드리고 있었다.
이 예불하는 광경을 보고 합장을 하던 원효는 대웅전의 대들보가 썩어서 무너지고 있는 것을 보았다. 원효는 위급한 사태를 알리고자 옆에 있던 소반에 ‘해동원효척반구중(海東元曉擲盤救衆)’이라는 여덟 자를 적어서 하늘 높이 힘껏 던졌다. 던져진 소반은 운제사의 대웅전 앞뜰 위에서 윙윙거리며 공중에 맴돌았다.
막 예불을 마친 승려들은 이 신기한 광경을 구경하려고 모두가 재빨리 대웅전 앞뜰로 나왔다. 이때 굉음과 함께 대웅전이 폭삭 무너지고 공중을 맴돌던 소반도 땅에 떨어졌다. 깜짝 놀란 승려들은 땅에 떨어진 소반에 적힌 글자를 보고는 자기들의 생명을 구해준 은인이 신라의 원효임을 알게 되었다.
장안성 내에 있던 1천여 명의 승려들은 이로 인하여 길을 떠나 양산군 천성산 석굴에 있던 원효를 만나게 되었다. 이들은 이곳에서 원효의 오묘한 법문과 가르침을 받고서 모두 성인(聖人)이 되었으며, 모두가 끝내 이곳에서 열반을 하였는데 열반한 육신은 그대로 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이 설화는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이 중국이나 일본의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원효 화쟁 사상의 총서 격인 『십문 화쟁론(十門和諍論)』이 인도로 전해져 진나계에 의해 범어로 번역되기도 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당나라의 수도 장안에서 1천여 명의 승려들이 원효의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왔다는 다소 과장된 이야기가 첨가되면서 널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