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면이 흔들리는
자연 현상으로, 예고 없이 찾아오기 때문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평소에
익히고, 실제 발생 시 침착하게 대처하는 게 중요합니다.
지진 발생 순간에는 적절한 판단이 어려우므로, 평소에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대응합니다.
① 지진 발생 시 상황별 행동요령
② 지진 발생 시 장소별 행동요령
(1) 집 안에서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집 안에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해 둡니다.
· 유리창이나 넘어지기 쉬운 가구 주변 등 위험한 위치를 확인해
두고 지진 발생 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깨진 유리 등에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둡니다.
·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난로나 위험물은 주의하여 관리합니다.
(2) 집 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합니다
· 가구나
가전제품이 흔들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 둡니다.
· 텔레비전, 꽃병 등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않도록
합니다.
· 그릇장 안의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문을 고정해 둡니다.
· 창문 등의 유리 부분은 필름을 붙여 유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합니다.
(3) 집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 가스 및
전기를 미리 점검합니다.
· 건물이나 담장은 수시로 점검하고, 위험한 부분은 안전하게 수리합니다.
· 건물의 균열을 발견하면
전문가에게 문의하여 보수하고 보강합니다.
(4) 평상시 가족회의를 통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비합니다
· 가스,
전기를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 둡니다.
· 머물고 있는 곳 주위의 넓은 공간 등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알아 둡니다.
· 비상시 가족과
만날 곳과 연락할 방법을 정해 둡니다.
· 응급처치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익혀 둡니다.
(5)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보관 장소를 알아 둡니다
· 비상시를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 장소와 사용방법을 알아 둡니다.
· 지진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사용방법을 알아 둡니다.
하나, 비상식품
물, 통조림, 라면
등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
둘, 구급약품
연고, 감기약,
소화제, 지병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셋, 생활용품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지
넷, 기타
라디오, 손전등 및
건전지, 휴대전화 예비 배터리, 비상금, 비상 연락망 등
(6) 지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둡니다
· 지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부 기관의 연락처를 알아 둡니다.
· 정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재난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둡니다.
※ 스마트폰 재난정보 애플리케이션
·
행정안전부 안전디딤돌
· 기상청 지진 정보 알리미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 중심이 낮고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은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불이 나면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꺼야 합니다.
지진 시에는 도로의 손상으로 소방차가 출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평소에 불을 끄는 방법을 알아 두도록
합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5) 건물 담장과 떨어져 이동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 빌딩이 많은 도심지에서는 깨진 유리창이나 간판 등이 떨어져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주변에 가까운 공원이나 넓은 공간이 없다면 최근에 지은 튼튼한 건물 안으로 들어가 우선 몸을 보호합니다.
- 담장이나 전봇대는 지진으로 지반이 약해져 넘어지기 쉬우므로 절대 기대지 말아야 합니다.
(6)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01. 화재가 발생하면 손수건 등으로 코와
입을 막은 후 연기를 피하여 최대한 자세를 낮추고 대피합니다.
02. 야간에는 넘어지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으니, 손전등을 사용하여 조심해서 대피합니다.
03. 겨울철에는 추위로 몸 상태가 나빠질 수 있으니,
두꺼운 옷이나 휴대용 난로 등을 준비하여 추위에 대비한 후 대피합니다.
04. 지하 공간에서는 정전 시 벽에
붙어 이동하고 가까운 출입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05. 끊어진 전선을 비롯한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물건은
만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06. 대피 중에 휴대전화, 이어폰 등을 사용하면 발을 헛디뎌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자제합니다.
07. 화장실, 욕실에 있을 때는 거울이나 전구 등의 파손으로 다칠 수 있으니,
욕실에서 나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08. 갇혔을 때는 주변의 딱딱한 물건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어
구조를 요청합니다.
(1) 사무실에 있을 때에는 책상 아래로 피합니다
· 사무실은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 무거운 물건들이 많아 다칠 위험이 큽니다.
· 사무실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2) 학교에 있을 때에는 책상 아래로 피합니다
·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우려가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합니다.
(3) 고층 건물에 있을 때에는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합니다
· 높은 층의 건물일수록 흔들림이 크고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 고층 건물이 저층 건물보다 지진에 더 잘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지진이 나면 고층 건물은 흔들리는 폭은 크지만, 일반적으로 내진설계를 통하여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4) 백화점이나 마트에 있을 때에는 장바구니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밖으로 대피합니다.
(5) 극장이나 경기장에 있을 때에는 우선 자리에서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며 잠시 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
(6)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에는 즉시 내립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
·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합니다.
(7) 자동차를 타고 있을 때에는 서서히 차를 멈춥니다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의 중앙 부분을 비워둡니다.
·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
할 때에는 열쇠를 꽂은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합니다.
- 운전할 때 지진이 발생하면 흔들림에 의하여 제대로 된 주행이 불가능합니다.
-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줄여 주변을 충분히 살피면서 교차로를 피하여 길 오른쪽에 차를 세웁니다.
(8) 전철을 타고 있을 때에는 손잡이를 꼭 잡습니다
· 전철 안의
손잡이나 기둥, 선반을 꼭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전철이 멈췄다고 해서 서둘러 출구로 뛰어가는 것은 위험하므로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9)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에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산이나 급한
경사지 근처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떨어지는 물체에 주의해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1)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 요청을 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주변에 부상자가 있으면 이웃과 서로 협력하여 응급처치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2) 주변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통신기기 사용이 폭주하여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당황하지 마시고, 라디오 및 주변에 있는 공공 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3) 가정이나 사무실로 돌아간 후에는 안전에 유의하여 주변을 확인합니다
· 가정이나
사무실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안전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확인을 받도록 합니다.
· 옷장이나 사무실 보관함 등의 내용물이 쏟아져내려
부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문을 열 때 주의합니다.
(4) 올바른 정보를 항상 확인합니다
· 여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역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대피해야 할 경우에는 지진 국민행동요령에 따릅니다.
※ 가스, 전기, 수도관 등의 피해를 확인합니다.
하나, 가스 냄새가 나거나 소리가 들릴 경우에는 창문을 열고 밸브를 잠근 후 우선 대피합니다. 대피 후에는 가스 관련 기관(지역 도시가스회사, LPG 공급회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에 확인하고 사용합니다.
둘, 전기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는 원인이 파악될 때까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정전이 되었다면 손전등을 사용하고, 차단기를 내린 후 전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셋, 수도관의 피해가 있다면 밸브를 잠급니다. 하수관의 피해여부를 확인하기 전까지 수도꼭지나 화장실 등 물을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넷, 피해가 확인되었다면 살고 있는 곳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1) 지진해일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 내가 있는
지역이 지진해일의 위험이 있는 지역인지 미리 확인합니다.
· 해안가에 있을 때 지진을 느꼈다면 곧 지진해일이 올 수도 있으니 빨리 해안에서
벗어나,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해안에서 지진을 느끼거나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 대피장소나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피할 시간이 없다면 주변에 있는 튼튼한 건물의 3층 이상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이 오기 전에는 해안의 바닷물이 갑자기 빠져나가거나,
기차와 같은 큰 소리를 내면서 다가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은 한 번의 큰 파도로 끝나지 않고
수 시간동안 여러 번 반복될 수 있습니다. 지진해일 특보가 해제될 때까지 낮은 곳으로 가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일본 서해안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약 1~2시간 후 동해안 지역에 약 3~4m 높이의 지진해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1. 지진은 왜 일어날까요?
지진은 지구를 구성하는 판이 움직이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판이 맨틀 위를 떠다니다가 서로 만나 부딪치면서 힘을 저장해 놓는데, 이 힘이 땅의 약한 부분을 통해 나올 때 땅의 변형이 발생하면서 일어납니다.
전진 : 지진을 일으키는 단층 내에서 가장
큰 지진 전에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지진
본진 : 어떤 진원 부근(하나의 단층)에서 발생하는 지진 중 규모가
가장 큰 지진
여진 : 본진 뒤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지진
Q2. 우리나라에서는 지진이 몇 번 일어났을까요?
우리나라는 1978년 지진 관측 이후 2016년 11월 말까지 1,450여 차례 발생하였습니다. 그 중 가장 큰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입니다.
Q3. 활성단층은 무엇일까요?
활성단층은 최근 지질시대에 활동하였고, 다시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단층을 말합니다. 이 단층은 언제 다시 움직일지 모르기 때문에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으로 정부에서는 활성단층에 대하여 자세한 조사와 연구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지구는 10개가 넘는 판들이 퍼즐 조각처럼 서로 쪼개져 맞물려 있습니다. 판이 맨틀 위를 1년에 수 cm 이상의 속도로 천천히 움직입니다. 움직이는 판은 서로 부딪치면서 점차 압력을 키우게 되는데, 이 압력이 매우 커져 더 이상 버티지 못하면 암석이 갈라지고, 그 충격파가 땅을 흔들어 지진이 발생합니다.
Q4. 규모와 진도는 무엇이 다를까요?
규모(Magnitude)는 지진 자체가 갖는 에너지의 크기입니다.
따라서, 지진파가 관측된 어느 곳에서 계산하더라도 규모는 같습니다.
- 표현방식 :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숫자로 표현 예) 규모
3.8
진도(Intensity)는 어떤 장소에서 느끼는 지진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 물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로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큰 지진이라도 아주 멀리서는 그 영향이 작아져 진도도 작아지며, 같은
지역에서라도 지반조건이나 건물 상태 등에 따라 진도가 달라집니다.
- 표현방식 : 로마자로 표현 예) 진도 IV
※ 규모 1.0마다 약 32배씩 에너지가 커집니다.
예를 들어, 규모 3.0과 규모 5.0은 약 1,000배(32×32≒1,000)의 에너지 차이가 납니다.
Q5. 지진이 발생하면 왜 탁자 아래로 숨어야 하나요?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는 깨진 유리창, 떨어지는 물건 및 벽돌 등에 맞아 다칠 확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바로 대피하는 것보다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우선 몸을 숨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Q6. 건물에서 꼭 나가야 하나요?
지진으로 인한 손상이 없는 안전한 건물이라면 집안에 있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Q7.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공공 청사나 학교 등 공공건축물 중에서 “지진안전성 표시제” 표시가 붙어 있는 건물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축물입니다. 2005년부터 지은 3층 이상 건축물은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는 2층 이상으로 내진설계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며, 내진설계 여부는 건축물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Q8. 지진으로 인하여 불이 났을 때에는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하나요?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아는 순간 “불이야”라고 외쳐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후 서로 도와 초기에 불을 끄는 것이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Q9. 우리 동네 지진대피소는 어디인가요?
지진대피소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www.mois.go.kr/), 국가공간정보(www.nsdi.go.kr) 및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7.1월부터는 ‘생활안전지도’ 및 ‘안전디딤돌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대피소를 확인 할 수 없다면 주변의 넓은 공원이나 운동장으로 대피하여야 하니 주변의 공원과 운동장을 미리 파악해 두시기 바랍니다.
‘지진 옥외대피소’는 운동장·공터 등 구조물 파손 및 낙하로부터 안전한 외부 장소를 대상으로 전국 5,532개소가 지정되어 있고, ‘지진 실내구호소’는 지진 피해 장기화시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 등을 대상으로 집단 구호를 실시하기 위하여 내진설계가 적용된 시설물에 대하여 전국 1,536개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Q10. 지진이 발생하면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 다음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대규모 지진으로 건축물 등에 피해가 발생하여 귀가하기 어려울 때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임시주거시설로 안내해 드릴 예정입니다. 지진 피해는 지역이나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피해 상황을 파악하여 귀가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Q11. 여진은 끝나는데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지진은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난으로 여진이 끝나는 시기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본진 발생 이후 여진의 횟수 및 규모가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지진을 관측하는 기상청 홈페이지 및 텔레비전, 라디오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진은 암반의 움직임이 멈출 때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일어납니다. 실제로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규모 9.0)의 경우, 1년간 8천여 건이 발생하였고, 3년 동안 총 1만여 건의 여진이 있었습니다. 평소에 지진 시 행동요령을 알아두어 여진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Q12. 지진해일은 어디서 발생하나요?
지진해일은 수심이 1km 이상인 해저에서 지진이 일어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서쪽 바다에서 일어나는 해저 지진으로 인하여 주로 동해안에서 지진해일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해안까지 지진해일이 도달하려면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걸립니다. 실제로 동해와 삼척은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입은 적도 있습니다.
지진해일(Tsunami)이라는 단어는 쓰나미(津波)라는 일본어에서 유래하였으며, ‘Tsu’는 ‘항구’, ‘na mi’는 ‘파도’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일본 산리쿠 연안(1896년 6월)에서 발생한 지진해일 피해가 알려지면서 세계 공통어로 사용되었습니다.
Q13. 지진해일이 발생했을 때의 긴급대피장소는 어떤 곳인가요?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는 지진해일이 발생했을 때 긴급피난을 목적으로 10분 이내에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미리 정해놓은 곳입니다.
4개 시·도,
22개 시·군·구에 618여 개의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를 지정해 두고 있으며, 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공데이터포털(http://data.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14. 지진 피해를 대비하여 가입할 수 있는 보험이 있나요?
풍수해보험에 들면 지진뿐만 아니라 태풍, 홍수, 대설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으며, 화재보험의 특약으로도 지진관련 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풍수해보험은 정부에서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여, 가입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풍수해보험에 가입하실 분은 읍·면·동사무소(주민센터) 및 시·군·구청 재난관리부서나 아래의 보험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동부화재 :
1588-0100 또는 02-2100-5103
현대해상 : 1588-5656 또는 02-2100-5104
삼성화재 :
1588-5114 또는 02-2100-5105
KB손해보험 : 1544-0114 또는 02-2100-5106
NH농협손해보험 :
1644-9000 또는 02-2100-5107
지원율 :
일반 55%, 차상위 76%, 기초생활수급자 86%(지방자치단체 추가 지원을 통해 최대 92%까지 지원 가능)
- 보상 내용 : 전파,
반파, 소파, 침수, 온실 비닐 파손
- 상품 종류 : 주택, 온실 정액보상형 / 주택, 세입자 동산 정액보상형 / 공동주택
실손비례보상형
[예시]
· 대상 규모 : 단독주택 80m2,
26평의 상품 I 기준
· 보험료 : 총 39,000원 중 주민 부담 17,500원
· 보험료
전 파 : 7,200만원 (주택
전체를 재건축해야 하는 경우)
반 파 : 3,600만원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벽의 30m2 이상 수선해야 하는 경우
등)
소 파 : 1,500만원 (벽면의 5m2 이상 수선해야 하는 경우 등)
재난 정보를 알 수 있는 기관
-
행정안전부 : http://www.mois.go.kr/
- 기상청 : http://www.kma.go.kr
- 국민재난안전포털
: http://www.safekorea.go.kr
- 응급의료포털 : http://www.e-gen.or.kr
-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긴급신고전화 통합서비스
- 재난신고
119
- 범죄신고 112
- 민원상담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