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심리학은 예술작품의 창조 및 감상에 관계된 우수한 예술작품을 구성하는 심리학적 요소는 무엇인가 ? 예술가의 인격 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 창조 혹은 감상의 숙달화는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하는가 ? 등, 예술에 관계되는 여러 문제를 심리학 방법 및 지견에 입각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예술심리학을 발전시킨 3명의 심리학자를 소개한다.
비고스키 [ 1896~1934 ]
" 예술은 지각, 감정, 상상 의 3자의 결합에 기초한 것이고, 신경 에네르기를 적절히 방출하여 새로운 가치로 창출되어진다. "
아른하임 [ 1904~2007 ]
회화, 영화, 건축 등의 시각예술의 심리적 검토를 연구했지만, 그의 중심개념은
[ 지각은 사고에 지나지 않는다 ] 이라는 시각적 사고의 사고방식이다.
가드너 [ 1943~ ]
음악과 미술등의 예술능력을 포함한 새로운 지능 이론의 체계로 있는 다중지능이론을 제창했다.
병적학 [ 病跡學 ] :
병적학은 독일의 정신과의 메비우스의 조어이다. 예를 들어 정신병에 고통받았던 37세로 자살한 고흐에서 전형적인 것으로, 무엇인가의 정신장애 와 정신질환을 겪은 예술적 천재의 정신병리와 창조성의 관계를 논하는 것이 병적학 이다. 현재에는 병적학의 대상을 예술가 뿐만 아니라 사상가 정치가 과학자 등 폭넓게 여러가지 분야의 저명인사로 확대되었고, 정신장애 와 정신질환의 존재를 필수조건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모네의 그림은 윤곽선을 처리하는 모듈이 결여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지고 쇠라의 점묘법은 색체처리의 모듈이 강조되어 있다. 다른 예로 대뇌의 고차 연합야의 공간시 모듈 손상이 있는 환자가 보는 세계는 피카소의 입체주의처럼 대상이 어디에 있는지 불확실로 있고, 형태시 모듈이 손상이 있는 환자가 보고 있는 세계는 격자상의 흑선과 사각형만으로 구성된 몬드리안의 그림처럼 무엇이 그려졌는가? 가 불명확하다.
아트테라피 :
병적학의 관심은 제 2차 세계대전 후 예술표현과 창조적 활동에 질병, 장애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한 생명력 강화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어 예술심리치료와 교육방면에 대응하는 일을 지향하는 아트테라피로 발전되었다.
유럽예술치료법학회 ~ [ 아트테라피는 예술치료법, 무용치료법, 드라마치료법, 및 음악치료법이 포함된다. ] 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의하면 [ 아트테라피는 여러가지 예술분야를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며, 예술치료법은 회화 조각 등 (조형예술) 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라 간주된다.
#국제대학교상담심리치료학과#상담학과#심리학과#망상#환각#3년제# 상담심리#정신병#심리치료#쿠르트슈나이더#정신장애#망각#환각#상담심리학과#3년제#이상심리학#감정장애#기분장애#인격장애#외인성정신병#알콜중독#알츠하이머#예술심리학#예술치료#병적학#아트테라피#테라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