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 한국어 | 어원설명 |
kena | 건드리다 건들다 | ◾kena [끄나] : 드르⟶다르⟶다리⟶다이 대⟶(손)대다/ 대는 손이다. 일본어 데, 다는 손이다. ▸건들다. 건드리다 : 여기서 우리말 “건-”의 흔적이 인도네시아어에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어 kena : 대다, 건드리다, ~ 와 접촉하다, 닿다, 치다 (=bersentuhan)/ 알맞다, 꼭 맞다 ( = berpatutan, cocok, sesuai, tepat, berpadanan)/~을 당한, ~을 맞은 (=terantuk, tertimpa, ditimpa) ◾kena : 대다, 건드리다, ~ 와 접촉하다, 닿다, 치다 (=bersentuhan)/ 알맞다, 꼭 맞다 (= berpatutan, tepat, berpadanan)/ ~을 당한, ~을 맞은 (=terantuk, tertimpa, ditimpa) ◾kena [끄나] :(동사) ∼에 닿다 (bersentuhan, terantuk pada)/ (동사) 목표물에 맞다, 명중하다 (tidak luput)/ (동사) 경험하다 (mengalami), 고통을 당하다 (menderita) 고통을 당하다 |
kosong | 비어있는 없는 빈 공석의 | ◾kosong [꼬송] : kohong⟶kosong/ kohong⟶kong⟶gong / 한자음 빌 공(空)/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빌 공(空) ◾인도네시아어 kosong : 빈, 비어 있는, 없는, 공석의 (=hampa, tidak berisi)/ 거주자가 없는, 살지 않는 (=tidak berpenghuni)/ 내용이 없는, 무의미한 (=tidak mengandung arti) ◾kosong [꼬송] : (형용사) 비어있는/(형용사)없는 (kosong)/(형용사 비유어) 의미 없는 (hampa), 낙이 없는 (tidak bergairah) |
omong | 대화 이야기 말 언어 | ◾omong [오몽] : 중원(中文), 르원(日文)/ 글월 문(文)/ 語文 (어문) : 말과 글. 어학(語學)과 문학(文學)/ 어문(語文) 역시 말, 언어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말씀 어(語), 글월 문(文) ◾인도네시아어 omong 語文 : 대화, 이야기, 한담 (=kécék)/ 말, 언어 ◾omong [오몽]語文 : (명사, 속어) 말, 이야기하다 (bicara, cakap)/(명사, 속어) 언어, 말 (bahasa ; perkataan) ◾omong-omong 語文語文 : 이야깃거리, 화제 |
perintah | 지시, 분부 구령, 명령 하달, 지침 | ◾perintah [쁘린따] : ~하랜다. / ㅍ⟶ㅎ 발음변화/ 쁘린따⟶하랜다 ◾인도네시perintah : 지시, 분부 (=suruhan)/ 구령, 명령, 지휘 (=aba-aba, komando)/ 하달, 지침 ◾perintah [쁘린따]:(명사) 지시, 분부 (suruhan)/(명사) 명령 (komando), 구령 (aba-aba)/ (명사) 분부, 지침 ◾memerintahkan [므므린따흐깐] : 명령하다/지시하다/지배하다 ◾memerintah [므므린따] : 명령하다2. 통치하다 ◾permit : permit의 per(흐라⟶ 하라⟶ 말(하)다⟶하라고 말하다/ ㅍ⟷ㅎ) ◾permit 의 mit(믙⟶ 맡⟶ 맏⟶ 말(言)/ 흐다⟶ 히다⟶ 하다 ◾permit : ~하램미드 /~하람미다. ~하랍니다 ◾permit : perm하람+it일르다. 이르다 ⟶~하라고 일르다. |
mengerti | 이해하다 알아듣다 | ◾mengerti[믕으르띠] : mengerti의 신조어ngerti / erti⟶에르티⟶알르티⟶알다⟶어원 ◾mengerti : 이해하다. 알아듣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알다” |
baru | 새로운 처음의 신선한 | ◾baru [바루] : 바로⟶바르⟶ 반⟶ 방 호전현상과 비음현상(지금, 바로, 당장, 방금) ◾baru [바루] : 파르⟶ 푸르⟶ 퍼르⟶ 바르 ⟶바루 / 파릇파릇⟶ 퍼렇다 ⟶파랗다 ◾baru [바루] : 형용사 (보거나 듣기에) 새로운/ (형용사) 싱싱한, 신선한 (segar)/ (부사) 방금 (belum lama antaranya) ◾baru : 새로운, 새삼스러운/ 처음의, 최초의 (=awal) / 오래되지 않은 ( = belum lama dibeli[lagi])
|
ngoyo | 강요하다 시키다 | ◾ngoyo [응오요] :강요 (強要)/ 연구개음 “ㄱ”음이 약화됨/ 강요⟶응오요/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강요(強要 : 억지로 또는 강제로 요구함) ◾ngoyo [응오요] : (동사) 속어 (무작정; 생각없이) 강요하다, 시키다 |
kurang | 적은 양의 보다 적은 | ◾kurang [꾸랑] :꾸랑⟶꼴랑/ 꼴랑이게 다냐? 고작 이것뿐이냐?(인도네시아에서 온 경상도사투리 꼴랑) ◾인도네시아어 kurang : 적은 양의, 근소한, 보다 적은/ 충분치 않은, 모자라는, 부족한, 미치지 못하는 (=belum cukup)/~을 넘지 않게, ~정도, 거의, 대략 (=tidak lebih dari) ◾kurang [꾸랑] : (형용사) 부족한/ (형용사) 못 미치는/ (형용사) 모자라는 ◾kurang : [ Adjective ] less ; not enough , lacking ◾kurang-kurang : 점점 덜 ~하는, 덜 ~할수록/ 비록 덜 ~하지만, 비록 ~하지 못하더라도, 만약 ~하지[이] 않는다면[아니라면] |
lahir | 태어나다 탄생하다 | ◾lahir[ 라히르 ] : lahir어근 lah(랗⟶낳⟶낳다의 어근이 인도네시아어에 남아 있다.) ▸뢓⟶랗⟶낳⟶낳다/ 뢓⟶롷⟶놓 ⟶놓다 ◾lahir : 태어나다. 세상으로 나오다. 외관으로 보이는/ 파생어 melahirkan, kelahiran ◾luar[루아르] : 바깥쪽. 외부. 바깥 부분 ▸파생어: obat, meluar, meluarkan, luaran, luar biasa, keluarbiasaan |
terkaan | 추측 짐작 | ◾terkaan [뜨르까안] : 트륵r발음약화⟶특⟶측(잴 측: 測)/ 추측 / ㅌ⟶ㅊ발음변화 ◾terkaan:(동사) 추측, 짐작 (tebakan, taksiran, perkiraan, ancar-ancar) ▸측안(測案) : 추측해서 하는 생각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잴 측(測), 생각 안(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