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0장
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 善之與惡, 相去奚若. 人之所畏, 不可不畏. 荒兮其未央哉.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登春臺. 我獨泊兮其未兆, 如嬰兒之未孩. 乘乘兮若無所歸,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俗人昭昭, 我獨昏昏, 俗人察察, 我獨悶悶. 漂兮其若海, 飂兮似無所止. 衆人皆有以, 我獨頑似鄙. 我獨異於人, 而食於母.
(유위에 대한) 배움을 끊어내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은) “예”와 “응”이 서로 떨어진 바가 얼마나 심한가? (심하지 않다.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은) “좋아”와 “싫어”가 서로 멀어진 바가 얼마나 되는가? (얼마 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유위를 일삼기를 즐거워한 채, 무위를 일삼기를) 두려워하는데, (따라서 무위를 배우는 나와 같은 사람들은 세상 사람들의 그러한 모습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유위를 일삼는 바의 수준과 정도가 깊고) 넓다! 그 가운데를 알아차리지 못하겠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유위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유위를 일부러 일삼아 얻은 채) 즐거워하고 즐거워한다. 마치, 큰 접시에 소·양·돼지고기를 차려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유위를 배 불리 먹고, 달게 여긴다). 마치, 봄날에 누대를 오른 것처럼 (유위를 펼치고, 유위를 자기 멋대로 일삼는다). (그러나) 나만 홀로 (유위의 물결이 잠기고 그친 물과 같이, 유위에 대해) 담담하다! (마치, 유위를) 즐거워하거나 (유위를) 일삼고자 하는 바가 (아직) 싹을 틔우지 않은 모습처럼. 마치, (일부러 일삼아) 웃을 줄 모르는 어린아이처럼. (나만 홀로 무위의 물결 위를) 둥둥 떠다닌다! (마치) 되돌아갈 데를 가진 바가 없는 듯. 세상 사람들은 모두 (유위가) 남아도는 바를 가진 바가 있는데, 나만 홀로 (유위를) 잃어버리는 바와 (더불어) 같이 한다. 나는 (홀로)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인 듯하다! (나는 홀로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열리지 않은 (마음의) 모습이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유위가) 밝고 밝은데, 나만 홀로 (유위가) 어둡고 어둡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유위의) 빛나는 바가 지나친 (채, 번쩍이는)데, 나만 홀로 (유위가) 어두운 바가 심하다. (나만 홀로 무위의 정도가 깊은 곳을) 흐른다! (마치) 그 바다와 같이. (나만 홀로 무위의 수준이 높은 곳을) 스친다! (마치) 멈추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람처럼. 세상 사람들은 모두 (지혜와 관직을) 일부러 일삼는데, 나만 홀로 지혜를 (일부러 일삼아) 가지는 바가 없고, 관직을 (일부러 일삼아) 가지는 바가 없다. (이렇게) 나만 홀로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다른데, (비유컨대 나만 홀로 마치 어린아이처럼) 어미(母; 道·自然·性·德無爲·命)로부터 젖을 먹는 바를 기대기 때문이다.
此章文意, 多難曉. 其, 指歸, 則大抵皆守雌守黑之意也.
이 장의 문장의 의미는 (또렷하고 뚜렷하게) 밝히기 어려운 바가 많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 장의 문장이 가리키고 되돌아가는 바는 모두 (무위無爲의 젖을 먹이는) 암컷(雌; 母·道·自然·性)을 지키고,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어두운 바(黑; 昏·德·無爲·命)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絶學無憂, 一句, 疑當屬上章. 老子之, 所謂學, 盖指聞見記誦而言. 夫以聞見記誦爲學者, 其, 求之也. 心, 不能不騖乎外, 其, 行之也. 又不能無同異是非之爭. 故不如絶之. 之, 爲無憂. 亦猶上章, 絶聖棄知, 見少抱樸之意也.
절학무우絶學無憂, (이) 한 문장은 아마도 앞 (제19)장(의 내용을) 잇는 문장인 듯하다. 노자가 일컬은 학(學; 배움)은 (일부러 일삼아) 듣고 보고 쓰고 외우고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일부러 일삼아) 듣고 보고 쓰고 외우(고 말하)는 바로써 배우는 사람, 그는 (일부러 일삼아 듣고 보고 쓰고 외우고 말하는 바) 그것을 구하게 된다. 마음이 (일부러 일삼아) 밖으로 달려가지 않을 수 없게 되는 바, 그는 그것을 일삼게 된다. 따라서 (그는) 같고 다름, 옳고 그름이 (일부러 일삼아) 다투어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는 그러한 유위有爲에 대한 학學) 그것을 끊어냄만 같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유위有爲에 대한 학學을 끊어냄)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됨을 일삼는다. 따라서 (절학무우絶學無憂는) 앞 (제19)장의 “절성기지(絶聖棄智; 그 위는 유위有爲한 성스러움을 끊어내고, 유위有爲한 지혜로움을 내버려야 한다), 견소포박(見少抱樸; 그 위가 일부러 일삼은 겉모양有爲을 가지는 바가 없는 모습을 드러내게 되면,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꾸미지 않은 속바탕의 모습無爲을 품어 안게 된다)”을 뜻한다.
唯, 應之順也. 阿, 則有意於附和矣. 兩者之間, 相去, 甚近. 而善惡, 判焉. 此, 皆戒人, 愼微也.
유(唯; 예)는 (비유컨대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유위有爲를) 따르겠다(는 의사표현)이다. 아(阿; 응)는 (비유컨대 유위有爲한)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고, 따라서 (유위有爲를) 기대며, (유위有爲와 더불어) 아우러지겠다(는 의사표현)이다. (따라서) 둘 사이, 서로 떨어진 거리는 아주 가깝다. 또한, (둘을 말미암아) 좋아함과 싫어함이 (일부러 일삼아) 분별되게 된다. (따라서 유지여아唯之與阿~황혜기미앙재荒兮其未央哉) 이것은 모두 (유위有爲를 일삼는) 세상 사람들을 (다음과 같이) 경계시킨다.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바(微; 有爲)를 삼가라.”
吳幼淸曰, 幾何, 言不甚相遠也. 奚若, 言何如其相遠也. 荒, 猶廣也. 凡人之所畏, 而不敢爲者, 皆不可以不畏. 其事, 甚多. 而未易窮盡. 此, 爲學者之, 所以多憂也. 此, 說未知是否.
(따라서 중국 원元나라 때)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17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기하幾何는 서로 멀어진 바가 아주 심하지 않다는 뜻이다. 해약奚若은 ‘그 서로 멀어진 바가 얼마나 되는가?’라는 (말로서, 서로 떨어진 바가 얼마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황荒은 (무위無爲를 일삼기 두려워하는 수준과 정도가 깊고) 넓다는 말이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즐거워한 채, 무위無爲를 일삼기를) 두려워한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감히 (유위有爲를 일삼은 채, 무위無爲를) 일삼지 않는다. (따라서 무위無爲를 배우는 노자와 같은 사람들은) 모두 (그러한 세상 사람들의 모습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른바) 그 (세상 사람들이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 아주 많다. 따라서 (그들로 하여금 무위無爲의) 끝점을 다하게 하기가 쉽지 않다. 이것이 (무위無爲를) 배우는 (노자와 같은) 사람들이 근심하는 바가 많은 까닭이다.” (이른바, 오징의 주석) 이것은 뜻한다. “(세상 사람들은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즐거워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그른 일인지 알지 못한다.”
凞凞, 和怡自得之貌. 如享太牢, 飽而甘也. 如登春臺, 暢以肆也.
희희(熙熙; 凞凞)는 (비유컨대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유위有爲를) 즐거워하며, (유위有爲를) 일부러 일삼아 얻는 모습이다. 여향태뢰如享太牢는 (비유컨대 유위有爲를) 배 불리 먹고, (유위有爲를) 달게 여긴다는 말이다. 여등춘대如登春臺는 (비유컨대 유위有爲를) 펼치고, (유위有爲를) 자기 멋대로 일삼는다는 말이다.
泊然者, 如水之湛以止也. 好惡不形, 嗜欲不萌, 此之, 謂未兆.
박연泊然은 (유위有爲의) 물결이 잠기고 그친 물과 같다는 말이다. (유위有爲를) 좋아하거나 (무위無爲를) 싫어하는 바가 (아직) 모양을 갖추지 않은 모습, (유위有爲를) 즐거워하거나 (유위有爲를) 일삼고자 하는 바가 (아직) 싹을 틔우지 않은 모습, 이것이 미조未兆의 뜻이다.
乘乘, 疑卽汎汎之意, 適然而行, 悠然而居, 汎汎然, 莫適所向. 故曰若無所歸也.
승승乘乘은 (무위無爲의 물결 위를) 둥둥 떠다닌다는 말로서, (무위無爲에게) 나아가고 나아간다, (유위有爲에서) 멀어진 채, (무위無爲에게) 머문다, (무위無爲의 물결 위를) 둥둥 떠다닌 채, (유위有爲에게) 나아가 닿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마치) 되돌아갈 데를 가진 바가 없는 듯.”
沌沌, 不開貌.
돈돈沌沌은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열리지 않은 (마음의) 모습이다.
察察, 昭之過也. 悶悶, 昏之甚也.
찰찰察察은 (유위有爲의) 빛남이 지나친 (채, 번쩍이는) 모습이다. 민민悶悶은 (유위有爲의) 어둠이 심한 모습이다.
漂兮, 以海喩. 飂兮, 以風喩. 皆, 言其, 莫適歸也.
표혜漂兮는 (무위無爲의 정도가 깊은 곳을 흐르는) 바다의 모습을 비유한다. 요혜飂兮는 (무위無爲의 수준이 높은 곳을 스치는) 바람의 모습을 비유한다. (표혜漂兮와 요혜飂兮는) 모두 (바다와 바람) 그것은 (유위有爲에게) 나아가거나 되돌아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以, 猶爲也. 頑, 無知貌. 頑, 無知貌, 鄙, 野人也.
(중인개유이衆人皆有以의) 이以는 (지혜와 관직을) 일부러 일삼는다는 말이다. (아독완사비我獨頑似鄙의) 완頑은 (일부러 일삼은) 지혜를 가진 바가 없는 모습을 뜻하고, 비鄙는 (일부러 일삼은) 관직을 가진 바가 없는 사람을 뜻한다.
自衆人熙熙以下, 皆彼我, 相形. 而言人皆縱肆, 而我獨晦黙. 人皆泰侈, 而我獨拙約. 人皆用智, 而我獨守愚. 人皆有爲, 而我獨無智. 此, 皆其, 異於人者也. 由衆人, 視之, 則我, 誠不如人. 遠矣.
중인희희衆人熙熙에서부터 (그) 이하(의 내용)는 모두 세상 사람들과 노자가 마주하는 모습이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모두 (유위有爲를) 쫓고, (유위有爲를) 자기 멋대로 일삼지만, 노자는 홀로 (유위有爲를 쫓는 바에 대해) 어둡고, (유위有爲를 자기 멋대로 일삼는 바에 대해) 조용하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가) 크고,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가) 분수에 넘치지만, 노자는 홀로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에) 서툴고, (무위無爲를 일삼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진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지혜를 일부러 일삼지만, 노자는 홀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어리석은 바를 지킨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만, 노자는 홀로 (일부러 일삼은) 지혜를 가지는 바가 없다. 이것들이 모두 노자가 세상 사람들에 대해 다른 바들이다. 세상 사람들(의 모습)을 말미암아 노자를 살피면, 노자는 정말로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하지 못하게 된다. (세상 사람들과 노자 사이의 떨어진 거리가 정말로) 멀(기 때문이)다.
唯人, 皆自聘其私, 而我獨一聽乎天. 一順乎道. 此, 其, 所以貴也.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아 구한다. 그 (유위有爲를) 자기 멋대로 일삼는 바를. 그러나 노자는 홀로 오롯하다. (그) 하늘(의 소리德·無爲·命)을 듣는 바에 대해. 이른바, (노자는 홀로) 오롯하다. (그) 도(道; 自然·性)를 따르는 바에 대해. 이것이 노자가 귀한 사람이 되는 까닭이다.
食母, 一本, 作求食於母. 盖以嬰兒之, 純乎無知, 而待哺於母. 喩至人之迫然無爲, 一聽乎天. 詩, 所謂不識, 不知, 順帝之則者, 是也.
식모食母가 어떤 책에는 구식어모求食於母로 되어 있다. 이른바, 어린아이는 일부러 일삼은 지혜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에 대해 순수한데, 따라서 어미로부터 젖을 먹는 바를 기대게 된다. 비유컨대, (따라서 어린아이와 같이 일부러 일삼은 지혜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에 대해 순수한 바가) 지극한 사람은 (어린아이가 어미의 젖을 먹게 되듯) 무위無爲에 이르게 되고, 하늘(의 소리)을 듣는 바에 대해 오롯해지게 된다. 『시경詩經』이 (「대아大雅·문왕지십文王之什·황의皇矣」에서) 일컬은 바, “(따라서 몸도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알아차리지 않고, (마음도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알아차리지 않은 채, 임금이 제정한 법률을 (저절로 그러하게) 따르게 된다”, 이것(이 그 뜻)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일부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