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두선생문집책판 一蠹先生文集冊板
이 문집은 정구(鄭逑)가 저자의 증손인 정수민(鄭秀民)과 함께 감수된 것들을 수집하여 1635년(인조 13)에 일차 간행하였으며, 당시 발문은 장현광(張顯光)이 썼다. 1743년(영조 19)에 이재(李縡)가 초간본에 빠진 것은 끼워 넣고 보완하여 만들었는데, 그것이 소위 유집(遺集) 3권이다.
鄭逑 1543 1620 淸州 道可 寒岡, 泗陽病叟, 檜淵野人 文穆
광해군 9 1617 정사 萬曆 45 75 7월, 東萊 溫泉에서 목욕을 하다. ○ 泗陽精舍를 짓고 泗陽病叟로 自號하다. ○ 五服沿革圖를 완성하다. ○ 一蠹鄭先生實記를 짓다.
鄭秀民 1577년(선조 10)~1658년(효종 9)
張顯光 1554 1637 仁同 德晦 旅軒 文康
金昌翕 1653 1722 安東 子益 三淵, 洛誦 文康
이재(李縡)1680년(숙종 6)~1746년(영조 22)
洪啓禧 1703년(숙종 29)~1771년(영조 47)
남공철(南公轍)1760년(영조 36)~1840년(헌종 6)
潁翁再續藁卷之二 / 跋 / 一蠧鄭先生實紀重刊跋
嶺南藍溪諸生。重刊一蠧鄭先生實紀。以不佞忝山長。來問跋語。先生以佔畢門人。倡明程朱性理之學。燕山時。以史事及禍。不能使斯世被其澤。雖道之將廢也命。亦歿而不泯者存。先生事行。具在國史。又與金文敬,趙文正,李文元,李文純稱五賢。並列從祀。國論已定。實紀之作固末耳。然可見嶺士慕賢之誠。至今不衰。是可書也已。
......................
금릉집(金陵集) 남공철(南公轍)생년1760년(영조 36)몰년1840년(헌종 6)자원평(元平)호금릉(金陵), 영옹(潁翁), 귀은당(歸恩堂), 사영(思潁), 사영거사(思潁居士), 의양자(宜陽子), 이아도인(爾雅道人), 이아당(爾雅堂), 고동각(古董閣), 서선각(書船閣), 전경재(篆經齋)본관의령(宜寧)시호문헌(文獻)특기사항김재련(金載璉), 이덕무(李德懋) 등과 교유
潁翁再續藁卷之二 / 跋 / 一蠧鄭先生實紀重刊跋
嶺南藍溪諸生。重刊一蠧鄭先生實紀。以不佞忝山長。來問跋語。先生以佔畢門人。倡明程朱性理之學。燕山時。以史事及禍。不能使斯世被其澤。雖道之將廢也命。亦歿而不泯者存。先生事行。具在國史。又與金文敬,趙文正,李文元,李文純稱五賢。並列從祀。國論已定。實紀之作固末耳。然可見嶺士慕賢之誠。至今不衰。是可書也已。
순조 | 8 | 1808 | 무진 | 嘉慶 | 13 | 49 | 3월, 귀국하여 이조 판서가 되다. ○ 10월, 한성부 판윤이 되다. ○ 12월, 이조 판서가 되다. |
院長 南公轍 字元平宜寧人▣▣(判書)領相諡文憲 純祖戊辰任 京城
山長 南公轍 字元平宜寧人▣▣領相諡文憲 憲宗己亥任 京城
헌종 | 5 | 1839 | 기해 | 道光 | 19 | 80 | 남계서원 山長 |
헌종 | 6 | 1840 | 경자 | 道光 | 20 | 81 | 12월 29일, 졸하다. ○ 廣州 淸溪山에 장사 지내다. |
......................
정환주(鄭煥周)[1833~1899]의 자는 명신(命新), 호는 미산(薇山)
......................
디지털장서각
Digital Jangseogak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조선 전기의 학자 一蠹 鄭汝昌(1450~1504)의 언행과 행적을 정리한 전기 자료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과 版心題는 ‘文獻公實記’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권수의 편제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으며, 서명과 ‘癸亥(1743)仲秋重刊 灆溪書院藏板’이라는 刊記와 藏板記가 기록되어 있어 간행 시기와 간행처를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1635년(인조 13)에 간행된 초간본이 오랜 세월에 판목이 마모되어 글자를 알아보기 어렵게 되자 濫溪書院의 유생이 李縡의 발문을 받아 1743년(영조 19)에 중간한 것이다. 권수에 전서로 ‘文獻公實紀’라고 쓰고, 좌우에 ‘濫溪書院藏板’ 및 ‘癸亥仲秋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다. 다음에는 목록이 있다. 목록에는 「世系原流」가 있으나 본 도서에서는 결락되어 있다. 다음은 「事實大略」으로 초간본의 「事實」을 실어 놓은 것이고, 「先生詩文」은 초간본의 「先生著述」을 그대로 수록한 것이다. 다음은 「碑狀文字」로 行狀 세 편과 鄭蘊의 神道碑銘 및 6대손 世楨이 기록한 碑銘追記, 林薰의 安陰縣祠堂碑 등이 있고, 戊午士禍에 연루된 사실을 정리한 「士禍首末」이 있다. 이어 「褒贈祀典」은 후대의 추증과 제향에 관한 기사를 시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며, 「諸賢讚述」은 정구에 의해 간행된 초간본의 「名說」, 「薦學行疏」, 「敍述」, 「遺事」 등을 새로 편집하여 수록한 것이다. 「諸賢詩章」은 초간본의 「詩章」에다 金昌翕의 河東鄭一蠹書院을 추가한 것이다. 「先生遺墨」은 정여창이 어떤 사람에게 보낸 편지로 알려진 것이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마지막으로 1635년 장현광의 발문과 도암 이재의 중간 발문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정여창의 생애와 행적을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이다.
집필자
이동인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가+ 가-
자료UCI: RIKS+CRMA+KSM-WZ.1803.0000-20140402.TOYO_0800
기본정보
· 분류 고서-기타 | 개인-전기 | 사부-전기류
· 작성주체 정여창(鄭汝昌, 1450-1504) 편 역대인물바로가기
정구(鄭逑, 1543-1620) 편 역대인물바로가기
이재(李縡, 1680-1745) 중수 역대인물바로가기
· 판종 목판본
· 발행사항 [함양(咸陽)] : 남계서원(濫溪書院), 순조 3(1803)
· 형태사항 1冊(65張) : 四周雙邊 半郭 21.9 x 17.1 cm, 有界, 10行20字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 34.2 X 22.5 cm
· 주기사항 表題: 一蠧實紀
刊記: 癸亥(1803)仲秋重刊 濫溪書院藏板
跋: 崇禎八年乙亥(1635)...張顯光謹跋
重刊跋: 崇禎乙亥後百有九年癸亥(1803)...李縡謹跋 李縡 1680 1746 牛峯 煕卿 陶菴, 寒泉, 三州 文正
印: 在山樓蒐書之一
藏書記: K. Mayema
· 현소장처 일본 동양문고
· 청구기호 Ⅶ-2-72
......................
李縡 1680 1746 牛峯 煕卿 陶菴, 寒泉, 三州 文正
영조 19 1743 계해 乾隆 8 64 4월, 朴弼周에게 편지하여 出處를 논하다. ○ 8월, 영남 유생 成憲柱 등이 상소하여 소환을 청하다. ○ 9월, 別諭가 내렸으나 상소, 사양하다. ○ 이해에「朱子語類抄節」이 완성되고, 〈尊攘編〉 편찬이 시작되다.
도암집(陶菴集) 이재(李縡)생년1680년(숙종 6)몰년1746년(영조 22)자희경(熙卿)호도암(陶菴), 한천(寒泉)본관우봉(牛峯)시호문정(文正)특기사항노론(老論)의 낙론(洛論)을 대표하는 학자(學者)
陶菴先生集卷二十一 / 書[十三] / 答灆溪院儒 癸亥
영조 | 19 | 1743 | 계해 | 乾隆 | 8 | 64 | 4월, 朴弼周에게 편지하여 出處를 논하다. ○ 8월, 영남 유생 成憲柱 등이 상소하여 소환을 청하다. ○ 9월, 別諭가 내렸으나 상소, 사양하다. ○ 이해에「朱子語類抄節」이 완성되고, 〈尊攘編〉 편찬이 시작되다. |
竊以文獻先生懿德正學。實爲百世宗師。後生顓蒙。夙所欽仰。而嶺嶠脩絶。無由一訪遺躅於灆溪岳城之間。乃蒙僉尊不鄙。遠辱章甫。請以山長之名。自顧菲劣。無以堪此。而亦未敢仰孤多士之勤意。謹以奉許。而抑又有可復於齋中者。夫書院之設。正爲藏修讀書之所。而今則有其名而無其實。此爲遠近公患。僉尊居先生之院。苟不讀其書而明其道。則其將何顔拜先生於芬苾如在之際耶。往雖不諫。來猶可追。果能從事於斯學否。如其不然。鄙人不敢以山長自居矣。金生之回。已及此意。而猶慮其不詳。更憑邸便付謝。願明示尊意。俾决其辭受也。
陶菴先生集卷二十一 / 書[十三] / 答灆溪院儒 乙丑
영조 | 21 | 1745 | 을축 | 乾隆 | 10 | 66 | 〈中庸講說〉, 「檢身錄」이 완성되다. ○ 7월, 대사헌이 되었으나 사직하다. |
六德如書之言九德。就其目而論先後之次。則分別是非。在所當先。故以知爲首。與四德全體。本自不同。且此知字。視中庸三達之知。大學格致之知。淺深自別。不可一例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