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쓴 수필 ’봄비‘를 보자. 감성적인 글이다. 아직도 고향의 향수를, 시골생활에 대한 그리움을, 그리고 나의 모습을 그려낸 글이라 싶어서 소개하려 한다.
봄비
이동민
일어나니 창 밖이 희뿌연 했다. 밤 사이 소리도 없이 비가 뿌렸지만 눈치를 전혀 채지 못했다. 실실이 오는 봄비가 소리를 남길 리가 없지만 아파트 위충에 살고부터는 봄비 오는 소리를 잊은지 오래다. 비가 내리는 날의 분위기는 소리마저 가라앉아 버린 듯이 느껴진다. 조용하고, 눅진하고, 그러면서 마음은 무거워지는 것이 비오는 날의 기분이다.
그러나 시골집에서 살 때는 마당에 안개처럼 뿌리는 빗물은 연한 꽃잎에도 초록의 잎에도 대롱대롱 매달린 채 생기를 돋우고 있어 마음의 귀로는 환성의 소리를 들을 수가 있었다. 따라서 온갖 생각들을 일어나게 해주고, 그 생각은 상상의 나래를 펄럭이면서 이 세상 어디에고 훨훨 날아다니고 있었다. 엔젠가 읽었던 시 한 구절도 떠올려 주고 달콤하였던 영화의 장면들도 문득문득 생각나게 해준다. rf서 봄비는 한껏 서정을 머금고 우리의 마음을 젖게 하는가 보다.
젊은이들은 대체로 비오는 날을 싫어하는 것 같다. 활기가 넘치고 생동하는 젊은이들의 봄날이란 햇살을 흠뻑 뒤집어 쓰고 마음껏 뛰어다니는 것이 즐거운 일이다리라. 그러나 젊은 날의나는 어인일인지 비오는 날이 싫지 않았다. 주룩주룩 제법 소리까지 내지르는 장마철이라도 어둡고 적막한 시골집의 사랑채에 누워서 소설책에 파묻혀 지내는 것이 싫지만은 않았다. 비오는 날의 착 가라앉은 분위기와 소설 속에서 전개되는 상상의 세계는 기막히게도 잘 어울렸다. 지루해지면 채으로 얼굴을 가리고 스르르 오수에 젖어들던 한가로우도 이제는 맛보지 못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지금은 종일토록 비오는 날의 일요일이면 할 일이 없이 시간을 겨워한다. 델레비젼이라도 틀어서 나른함을 달래보려 하지만, 우선은 잠시도 쉬지 않고 떠들어 대는 음향이라는 금속성 소리가 딱 질색이고, 영화라도 보고 있을라치면 스르르 눈꺼풀이 내려 앉아도 책처럼 덮어버릴 수 없는 불편함이 옛 그때 와는 비교할 수가 없다.
누구는 옷이 젖을 듯 말 듯 촉촉이 내리는 봄비 속을 우산도 없이 걸어보는 것이 무척 멋있어 보이더라 했다. 이때의 멋이란 밝은 햇살 아래 화사하게 웃으면 손을 맞잡고 뛰어보는 멋 하고는 좀 다르다. 조용하고, 무겁고, 약간은 쓸쓸하고, 그래서 가슴 짜릿한 우수에 젖어보는 그런 멋이다. 그 우울한 모습일랑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세계에서는 결코 멋일 수 없는 환상일 뿐이지만 이렇게 봄비오는 소리를 마음으로 들을 수 있는 날은 우리 사는 세상을 멀리멀리 벗어나서 환상 속에 잠겨 볼 수 있기 때문에 싫지만은 않다.
나이 먹은 지금도 실실이 비가 내리면 공연히 마음이 휑그레 빈 듯 해진다. 그렇다고 어깨에 비를 맞으면서 찾아가 볼 만한 곳이 있는 것도 아니다. 고작해야 구석 방에 가서 조용하고 침침한 방 분위기에 잠겨 낮잠이나 청해보는 것이 비오는 날의 오늘의 내 모습이다.
아파트 위층에 살다 보니 도무지 시골집의 정취가 느껴지지 않는다.그냥 어둑어둑한 날씨와 우중충한 구름빛이 어울려져서 기분마저 칙칙하게 해줄 뿐이다. 출근길도 온통 아스팔트 포장길이고, 시멘트 건물이니까 꽃잎에 방울되어 구르고, 흙속에 가만히 가만히 스며들기만 하던 정감의 기분을 찾아 볼 수 없다. 어깨가 빗물에 젖어서 집에 들어가면 ’산성비라면서 질겁을 하는 아내의 호들갑이 있을 뿐이다.
그래도 비는 풀들과 나무와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는 앞산 봉우리들에까지 생명을 주어 봄을 계절을 성숙시켜 준다. 구름이 걷히면서 날이 갤 때 훨씬 더 푸르러져 있는 산의 색깔은 내 마음나저 푸르게 해준다. 나도 따라 메말라진 마음에 젊은이 마냥 꿈도, 소망도, 정취도 빗물에 젖은 풀잎처럼 생기를 얻어 소생하고 있다.
추녀를 타고 마당에 떨어지는낙숫물 소리가 창호지를 통하여 부드럽게 들려오면 그것은 어느 누구도 만들어내지 못하는 아름다운 음악이고 시이다. 먼 산 아래 가물가물 하던 초가집들이 안개 같은 봄비 속에 잠겨 보일 듯 말 듯한 졍경은 정녕 내가 닿을 수 없는 저쪽의 피안처럼 느껴진다. 설령 그 촌가가 지닌 현실은 어렵고 힘든 가난에 찌들어 있더라도 봄비를 통해 바라보면 그 모든 것들이 정화되어 깨끗함만 남겨준다. 시나 음악의 역할이 우리를 환영의 세계로 데리고 가서 마음을 정화시켜 주는 것이라니까 봄비가 바로 시이고 음악이다.
의원이 조용해진지도 꽤나 오래 되었지만 오늘처럼 비라도 오는 둥 마는 둥 하면 더 더욱 조용해진다. 소파에 기대어 지그시 눈을 감고 혹시나 창으로 비소리가 들릴까 귀 기울여 보았지만 온통 자동차가 달리면서 내지르는 소음 뿐이다. 비는 역시 시골에 어울리는 것 같다. 봄비가 데려다 주는 환상의 세계는 아무래도 이 도회지하고는 어울리지 않는다.
언젠가 나이가 더 들어 마당이 넓고, 꽃들이 자라는 시골의 집에서 봄비 소리를 들으면서 살아 볼 수 있을까.
-이동민 수필집,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교음사. 1996. ‘봄비 p76-79-
봄비에는 고향 이야기가 동화책의 삽화처럼 그려져 있다. 그리고 현실의 삶을 부정하는 것도 아니다.
고향 이야기는, 주로 회고조였다. 내가 고향에 가서 살고 싶다는 말은 없었다. 내 삶이 힘들어서 도피처로 고향을 그리워한 것이 아니다. 지금의 읽기로는 누구나 갖고 있는 나의 유토피아로 고향을 떠올렸다는 생각이다. 사회 모습이 빠르게 변하니까 재빨리 적응하지 못한 내가 순박했던 시골생활을 유토피아로 떠올리면서 그리워하였을 뿐이지, 내가 돌아가야겠다는 절박함은 읽어지지 않았다. 도시 생활에서 겪었던 당혹스러운 일들(열쇠 등)을 표현하기도 했다. 이원희의 그림 이야기, 도공 이야기, 환쟁이, 키치와 주부 수필 등등이 취미 생활의 한 자락을 보여주는 글이다. 도시에 살면서 그때의 취미 생활을 지금까지도 붙잡고 있다. 나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버리고, 찾아낸 나의 길이었다. 이 수필집에 실린 글 중에 나의 취미활동을 그린 글이 많다. 아마도 도시에 살면서 도시를 탈출하는 방법으로 선택한 것이 취미생활로서, 예술쪽으로 찾아가지 않았나 싶다.
50대로 접어들면서 내가 찾아낸 생활의 하나는 우리의 고대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고적지와 유적지 답사를 많이 다닌 일이다. 그러나 1990년 대의 우리나라 시대상이라면 고대문화의 관심이 많아지고, 답사를 다니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었다. 유홍준씨의 ‘문화유산 답사기’가 베스터셀러가 된 때였다. 그때는 고상한 취미생활로 여기고 우쭐하였는지 모르지만, 지금 생각하면 시대 분위기에 휩쓸렸을 뿐일 수도 있으리라. 수필집의 제목이 ‘우리 시대의 이야기’이니, 그때의 시대상을 나의 이야기로 포장하여 표현하였으리라는 생각이다.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출간했을 즈음에는 이미 어머니는 먼 곳으로 떠나신 후였다. 그런데도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글이 여러 편이나 실려있었다. 어머니는 내가 마음을 기댈 수 있는 하나의 언덕이었다. 그 믿음은 지금도 변하지 않다. 나는 세 번 째 수필집을 읽으면서 그때의 내 주관이 지금도 크게 바뀌지 않았음을 알았다.
첫댓글 '봄비'를 읽고 있는 동안 제 맘 역시 푹 빠져들기도 하였습니다. 시심은 동심(티없는 맘)이요, 동심은 시심이란 말이 이러한 심정에서 발현 됐지 싶습니다. 늘 강녕하시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