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수출직결정보] 中, 4000만 아기들의 기저귀는? | ||||
작성일 | 2012-11-08 | 작성자 | 심재희 ( jaehee@kotra.or.kr ) | ||
국가 | 중국 | 무역관 | 칭다오무역관 | ||
-->
-->
中, 4000만 아기들의 기저귀는? - 제4차 베이비붐에 따라 최근 기저귀 수요 급증 - - 귀한 자녀 위해 눈 높아진 중국 부모, 수입 기저귀 선호해 - - 기능성의 고품질 기저귀로 신세대 부모 사로잡아야 - □ 계속되는 중국의 베이비붐 ○ 제4차 베이비붐을 맞은 중국 - 제1차 베이비붐: 1949~1959년, 출산장려정책으로 한 가정당 4, 5명의 아이를 낳았으며 이 시기의 인구증가율은 300%였음. - 제2차 베이비붐: 1962년부터 1973년까지 지속됨. 중국의 국민경제가 점점 발달하면서 출생률은 평균 33%로 10년간 2억6000만 명이 출생함. - 제3차 베이비붐: 1차 베이비붐 세대가 가정을 이루고 출산하게 되며 1986년부터 1990년간 3차 베이비붐 현상이 나타남. 이 기간에 1억2000만 명이 증가함. - 제4차 베이비붐: 2007년에는 황금돼지 아기, 2008년에는 올림픽 아기, 2009년에는 금융위기 아기, 2012년에는 흑룡 아기들이 출생해 현재 4차 베이비붐에 이르고 있음. 2010~2015년간 중국의 20대 부녀 인구는 1억1000만 명임. 산아제한정책 시기의 외동아들·딸은 최대 2명까지 자녀를 낳을 수 있어 4차 베이비붐의 여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흑룡의 해를 맞아 중국에서 일어난 출산 붐 - 중국인들은 용띠 해를 다른 띠보다 특별하게 여김. 더군다나 올해는 60년에 한 번씩 찾아오는 흑룡의 해로 중국인은 이 해에 태어나는 아이는 성공이나 발전을 가져다주는 아이로 믿음. - 1988년 용띠 해에도 출산 붐으로 태어난 아기가 6년 후 초등학교에 입학할 당시 전국적으로 학교 시설이 부족한 사태가 생길 만큼 용띠 해의 베이비붐은 대단한 수준임. -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용띠 아이를 낳으려는 부모들 때문에 중국 대도시 지역의 산부인과는 예약이 몰릴 뿐만 아니라 유아용품점은 용띠 해 특수로 매출이 급증함. - 중국 도시지역 대형 백화점에서 유아용품은 베이비붐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0~30%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상하이 유명 D백화점 관계자에 따르면 올 들어 품질이 좋은 외산 브랜드의 기저귀, 아기용 젖꼭지, 유아복 등이 품귀현상을 빚으며 가격을 인상하는 곳까지 생겨났다고 함. □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중국 일회용 기저귀 시장 ○ 기저귀 사용량의 지속적인 증가 - 생활용지위원회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영유아의 종이기저귀 총 생산량은 104억9000만 장이고, 이 중 영아의 밴드형 기저귀는 72억8000만 장, 영아의 일자형 기저귀는 32억1000만 장임. 수출을 포함한 총 판매량은 102억8000만 장으로, 그 중 밴드형 기저귀는 72억4000만 장, 일자형 기저귀는 30억4000만 장임. - 총 소비량은 95억7000만 장으로, 그 중 밴드형 기저귀는 65억9000만 장, 일자형 기저귀는 29억8000만 장임. 이는 2007년 대비 23.5% 증가한 것임. - 종이 기저귀 이용률은 2007년 17.3%에서 2008년 21.1%로 상승함. - 시장 규모는 117억8000만 위안임. ○ 2020년까지 전국 종이 기저귀 사용률이 60%에 달할 것 - 중국 전역의 종이 기저귀 사용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2000년 기준 2.2%에 불과했던 종이 기저귀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현재는 약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60.1%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 현재 대도시나 연해 지역의 중소도시들에서의 종이 기저귀 이용률이 서부 등 내륙지역보다 높음.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중국 정부의 중부굴기, 서부대개발에 따라 내륙 농촌지역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더불어 종이 기저귀 사용률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측됨. 중국 영아 종이기저귀 시장 예측 (단위: 만 명, 억 장, %)
자료원: 中国咨询预测 □ 중국 내 기저귀 브랜드 현황 ○ 로컬 브랜드의 발전은 미비 - 일회용 기저귀는 60년대 P &G에 의해 발명돼 1990년대에 중국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함. - 국외 브랜드는 수십 년간 기술력을 다져왔지만, 중국의 로컬 종이 기저귀 브랜드의 시장 진입은 비교적 늦음. - 또한 해외브랜드 제품의 모방 생산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창조성이 부족함. -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저가로 판매해 고급제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1선 시장에는 진입하지 못함. - 대도시나 1선 도시에서는 국내 브랜드의 기저귀를 찾아보기 힘들고 로컬 기저귀 브랜드는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상품이 거의 없음. ○ 기저귀 10대 브랜드 중 대부분이 외국 브랜드 - 중국 기저귀시장은 상위권 브랜드에 대한 집중도가 높음. 판매량 기준 1~10위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70%임. - 10대 브랜드 중 7개가 수입 브랜드임. - 그 중 하기스(好奇), 팸퍼스(帮宝适), 마미포코(妈咪宝贝), 메리스(花王)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 恒安 그룹의 안아락(安儿乐)이 비교적 순위가 높고 지명도가 있음. 중국 10대 일회용 기저귀 브랜드 및 가격
자료원: 亲贝网 ○ 국가별 기저귀 수입 통계(HS Code 96190010) (단위: 1000만 달러)
자료원: KITA □ 기저귀 수출 절차와 바이어 인터뷰 ○ 기저귀 관세 정보
○ 수출 절차 - 기저귀는 일반 품목과 같이 통관비를 납부하고 검역국에서 검사를 받은 후 수출이 가능함. - 처음 수출 시 검역국에서 일부 샘플을 취해 현지 성급 질병예방센터에 보내며 제품 시험을 함. 5000위안 상당의 비용은 수입상이 부담함. 1개월 후, 검사 결과를 받은 후 검역국에서 일반 제품 검사를 거치고 제품 수출을 완료함. - (참고) 산동성 질병예방센터 http://www.sdcdc.cn TEL: 0531-2679759 주소: 济南市经十路16992号 ○ 한국의 기저귀를 수입하는 중국 바이어 인터뷰 - 바이어명: Weihai Shindadong I/E Co., Ltd. - 취급 품목: 한국 식품, 음료, 화장품, 일용품 등 - 업체 정보: 연 매출액은 300만 달러로, 산둥성 위해 시에 위치하며 한국 제품을 대리 판매한 지 오래 됐음. - 위 업체는 현재 한국 기저귀를 수입해 판매하고 있음. 이 수입 시에 검역국에서 검사한 일부 샘플을 산둥성 질병예방센터로 보내 피부반응 시험, 피부자극 시험 등 2가지 제품 시험을 거쳤음. 이 시험은 1개월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5000위안 상당의 비용이 필요함. 그 후 수입 시 시험 결과 복사본을 검역국에 제출함. - 한국 기저귀에 대한 의견: 중국의 소비자들은 기저귀가 아기가 쓰는 물건이라 가격보다는 브랜드를 중시함. 따라서 유명 브랜드가 시장성이 있다고 생각함. 현재 중국 시장에서는 미국의 팸퍼스, 일본의 메리스, 한국의 하기스 기저귀들이 인기를 끌고 있고 선호도가 높음. 동 업체가 현재 판매하는 한국 기저귀는 매달 약 40박스 수준으로, 브랜드의 지명도가 높지 않아 판매량이 많지 않음. 한국의 유명한 브랜드의 기저귀 제품을 취급할 의향이 있음. □ 전망 및 시사점 ○ 제4차 베이비붐을 맞이해 기저귀의 수요는 점점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앞으로 중국의 2세 이하의 기저귀 사용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지금이 시장 진출의 적기임. ○ 시장 세분화를 통한 진출 전략이 필요함. 최근의 중국 부모들이 기저귀 구입 시에 중요시하는 가치는 가격경쟁력이 아닌 제품의 브랜드 가치와 품질 우수성임. 따라서 유기농 재료를 이용해 제품의 고급화를 꾀하거나 아기의 발진을 줄일 수 있는 가공, 혹은 흡수력을 높여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높아진 요구 수준에 부합해야 함. ○ 또한 중국의 뜨는 ‘출산 경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4차 베이비붐 세대 아기들의 부모 세대인 3차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 특징들을 정확히 파악해, 이에 맞는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광고 등 전통적인 홍보 방식뿐만 아니라 각종 육아 사이트, 블로그 등에 협찬하거나 산후 조리원이나 산부인과 병동 등에 제품을 무료 증정해 샘플링해볼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 방식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中国商业咨询网, 中国行业研究网, 亲贝网, 百度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