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세화수(倚勢禍隨)
권세에 붙으면 재앙이 따른다
倚 : 기댈 의(亻/8)
勢 : 형세 세(力/11)
禍 : 재앙 화(礻/8)
隨 : 따를 수(阝/12)
명(明)나라 초기 범입본(范立本)이 지은 ‘명심보감(明心寶鑑)’이라는 책이 있다. 1592년에 스페인어로 번역 출판되어 서양에 널리 알려졌다. 동양의 고전 가운데 서양에 최초로 소개된 책이다.
여러 글에서 우리나라 방방곡곡에서 초학자용으로 읽혀진 것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 2003년 제작된 ‘대장금(大長今)’이라는 사극에서 주인공 이영애(李英愛)가 ‘명심보감’을 읽고 자주 언급하고, 여러 의녀(醫女)들이 읽는 것으로 나오지만, ‘조선왕조실록’에는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선현들의 문집에 거의 나오지 않고, 권장하는 도서 목록에 한 번도 보이지 않는다.
한문학자 벽사(碧史) 이우성(李佑成) 교수는 평소 “수많은 중국 서적을 인용해서 만든 ‘명심보감’을 고려의 학자가 만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1970년 동해안 학술답사를 하던 중 어떤 농가에서 발견했는데, 1554(단종 2)년에 충주(忠州)에서 간행한 목판본이었다. 범입본이 1393년에 쓴 서문이 있어, 그의 저서임이 확인되었다.
고려 말기 추적(秋適)이라는 학자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고려사’ 추적열전이나 선현들의 문집에는 기록이 없다. 근세 창녕(昌寧) 출신의 학자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이 이 책의 가치를 최초로 인정하였다. 중국에서도 명나라 이후 거의 사라졌다가 우리나라 ‘대장금(大長今)’이 중국 천지에서 워낙 유행함에 따라, 이 책을 다시 알고 번역 출판하기 시작했다.
‘명심보감’은 유교·불교·도교 구분 없이 선현들이나 명인들이 남긴 좋은 말을 가려 뽑은 수신용 책이다. 다만 결론이 수신하고 착한 일 하면 복을 받고 그렇지 않으면 벌을 받는다고 되어 있어 유학자들은 그 가치를 폄하하였다. 이 책에는 수신하거나 처신하는 데 좋은 말이 너무나 많다. 그것만 실행해도 정말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아동용 서적이라 하여 자세히 보는 사람이 드물다. 필자는 고등학교 때 함안여자중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너무 좋아서 손으로 베껴 두고 여러 번 읽었지만, 한문학 교수가 된 이후로는 한 번도 통독해 본 적이 없었다.
근년에 중국에서 간행된 것 3종을 구입하여 두었다가 다시 꺼내 군데군데 읽어 보는데 이렇게 좋은 말이 많은 줄 몰랐다. 그 가운데 이런 말이 있다. “총명한 사람이 우매한 경우가 많고, 계산 잘 대는 사람이 알맞은 것을 잃는 경우가 많다. 남을 손해 보이면 결국 자기가 손해 보고, 권세에 붙으면 재앙이 따른다(算計失便宜. 損人終自失, 倚勢禍相隨).”
자질도 안 되면서 대통령이나 당 대표의 측근인 덕분에 국회에 진출하여 정의를 부르짖으며 설쳐대면서 속으로는 부정을 저지르고 재산 모으는 데 급급하는 자들이 읽어 봤으면 한다.
▶️ 倚(의지할 의, 기이할 기)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奇(기, 의)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倚(의, 기)는 ①의지(依支)하다 ②기대다 ③치우치다 ④기울다 ⑤맡기다 ⑥믿다 ⑦인하다(因--: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⑧맞추다 ⑨곁, 그리고 ⓐ기이(奇異)하다(기) ⓑ불구(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의지할 의(依)이다. 용례로는 의지하여 따름을 의부(倚附), 화와 복은 서로 인연이 되어 일어나고 가라앉음을 의복(倚伏), 앉을 때 벽에 세워 놓고 등을 기대는 기구를 의자(倚子), 갈대로 결은 자리를 의양(倚佯), 의지하고 믿음을 의장(倚仗), 세력을 믿고 떠세함 또는 앉을 때에 편안히 뒤로 기대는 물건을 의세(倚勢), 꾸밈음의 한 가지로 일정한 음부에 소음부를 붙인 것을 의음(倚音), 몸을 기대는 조그마한 평상을 의상(倚床), 사람을 믿고 등용함을 의용(倚用), 용상의 주위에 병풍처럼 둘러막은 장치를 의장(倚障), 나무 접붙이기의 한 가지로 접본과 접수의 껍질을 벗겨서 밀착시키고 칡으로 단단히 묶어서 접을 붙이는 방법을 의접(倚接), 의뢰하여 맡김을 의촉(倚屬), 어머니가 동구 밖에까지 나가서 자녀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림을 의려(倚閭), 믿고 의지함을 신의(信倚), 가까이 의지함을 친의(親倚), 기이하게 만든 의자를 기의(奇倚), 수치나 위치나 방향 따위가 정상적인 기준으로부터 어긋남 또는 그 정도나 크기를 편의(偏倚), 한쪽 다리는 들고 한쪽 다리만으로 서서 몸을 다른 것에 기댐을 피의(陂倚), 어머니가 아들이 돌아오기를 문에 의지하고서 기다린다는 뜻으로 자녀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을 이르는 말을 의문지망(倚門之望), 자녀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을 일컫는 말을 의려지망(倚閭之望), 어머니가 자녀의 돌아오는 것을 마음을 졸여가며 기다림을 일컫는 말을 의문이망(倚門而望), 자녀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을 일컫는 말을 의려지정(倚閭之情), 말에 기대어 서서 기다리는 짧은 동안에 만언萬言의 문장을 짓는 재주라는 뜻으로 빠르게 잘 짓는 글재주를 이르는 말을 의마지재(倚馬之才), 늙음을 믿고 늙음을 판단하는 뜻으로 손윗사람이라고 해서 남을 얕보거나 젊은이를 억누름을 일컫는 말을 의로매로(倚老賣老), 말에 기대어 서서 기다리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빠르게 잘 짓는 글재주를 부러워하여 이르는 말을 의마가대(倚馬可待), 관리가 직권을 남용하여 민폐를 끼침이나 세도를 부림을 일컫는 말을 의관장세(倚官仗勢), 말에 의지해 기다리는 사이에 일곱 장의 종이에 가득 쓴다는 뜻으로 글을 빨리 잘 짓는 것 대단히 훌륭한 문재를 이르는 말을 의마칠지(倚馬七紙), 중립을 취하여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중립불의(中立不倚) 등에 쓰인다.
▶️ 勢(기세 세)는 ❶형성문자로 势의 본자(本字), 势(세)는 간자(簡字), 埶(세)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힘 력(力; 팔의 모양, 힘써 일을 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埶(예)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문자의 윗부분인 埶(예)는 나무를 심다, 나무가 자라는 일, 나중에 藝(예)로 쓴 글자와 力(력)은 힘, 힘이 있다, 元氣(원기)가 좋다로 이루어졌다. 나무가 자라듯이 원기가 좋다, 기운차다는 말이다. ❷회의문자로 勢자는 '형세'나 '권세', '기세'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勢자는 埶(심을 예)자와 力(힘 력)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埶자는 묘목을 심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심다'나 '재주'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묘목을 심는 모습을 그린 埶자에 力자를 결합한 勢자는 나무가 힘차게 자란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묘목은 작고 연약하지만 언젠가는 크고 울창한 숲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래서 勢자는 점차 큰 힘을 갖게 된다는 의미에서 '형세'나 '기세'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勢(세)는 (1)세력(勢力) (2)힘이나 기운(氣運) (3)형세(形勢) 등의 뜻으로 ①형세(形勢) ②권세(權勢) ③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④기회(機會) ⑤동향(動向) ⑥시기(時期) ⑦불알, 고환(睾丸) ⑧언저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권세 권(權)이다. 용례로는 권력이나 기세의 힘 또는 일을 하는데 필요한 힘을 세력(勢力), 일정한 자세를 갖춤을 세구(勢具), 형세가 기울어 꺾임을 세굴(勢屈), 권세를 잡을 수 있는 길을 세도(勢塗), 올려다 봐야 하는 형세를 세앙(勢仰), 권세 있는 사람을 세객(勢客), 세력을 얻기 위한 사귐을 세교(勢交), 권세가 있는 자리 또는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을 세요(勢要), 어떤 동작을 취할 때 몸이 이루는 어떤 형태를 자세(姿勢),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힘 또는 그 형편을 추세(趨勢), 공격하는 태세나 그 힘을 공세(攻勢), 병으로 앓는 여러 가지 모양을 증세(症勢), 정치 상의 형세를 정세(政勢), 남보다 나은 형세를 우세(優勢), 상태와 형세를 태세(態勢), 일이 진행되는 결정적인 형세를 대세(大勢), 사물의 형편과 세력을 형세(形勢), 사람을 두렵게 하여 복종시키는 힘을 위세(威勢), 권력과 세력을 권세(權勢), 적을 맞아 지키는 형세 또는 힘이 부쳐서 밀리는 형세를 수세(守勢), 어떤 때의 형세 또는 어느 일정한 때의 어떤 물건의 시장 가격을 시세(時勢), 사람이 타고난 운명이나 운수를 운세(運勢), 약한 세력이나 기세 또는 물가나 시세 따위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를 약세(弱勢), 실제의 세력 또는 그 기운을 실세(實勢), 힘찬 세력 또는 물가 상승의 기세를 강세(强勢), 세력을 제거함을 거세(去勢), 바깥의 형세 또는 외국의 세력을 외세(外勢), 실상은 없이 겉으로 드러내는 형세를 허세(虛勢), 세력을 더하는 일이나 거드는 일을 가세(加勢), 힘이 상대편보다 못한 형세를 열세(劣勢), 기세가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하여 대항할 적이 없는 모양을 세여파죽(勢如破竹), 권세는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권력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한다는 말을 세불십년(勢不十年), 기세가 다 꺾이고 힘이 빠짐이나 기진 맥진하여 꼼짝할 수 없게 됨을 이르는 말을 세궁역진(勢窮力盡), 권세 있는 사람에게 빼앗기는 것을 이르는 말을 세가소탈(勢家所奪), 권세와 이익을 위하여 맺는 교제를 일컫는 말을 세리지교(勢利之交), 비슷한 두 세력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말을 세불양립(勢不兩立), 사세가 그렇지가 아니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세소고연(勢所固然),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곧 세력이 강대하여 대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 또는 세력이 강하여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파죽지세(破竹之勢),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형제인 장남과 차남의 차이처럼 큰 차이가 없는 형세 또는 우열의 차이가 없이 엇비슷함을 이르는 말을 백중지세(伯仲之勢), 포개어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한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누란지세(累卵之勢), 헛되이 목소리의 기세만 높인다는 뜻으로 실력이 없으면서도 허세로만 떠벌림을 이르는 말을 허장성세(虛張聲勢),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으로 범을 타고 달리는 사람이 도중에서 내릴 수 없는 것처럼 도중에서 그만두거나 물러설 수 없는 형세를 이르는 말을 기호지세(騎虎之勢), 장대 끝에 서 있는 형세란 뜻으로 어려움이 극도에 달하여 꼼짝 못하게 되었을 때를 이르는 말로서 아주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하는 말을 간두지세(竿頭之勢) 등에 쓰인다.
▶️ 禍(재앙 화)는 ❶형성문자로 旤(화)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示=礻; 보이다, 신)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문책(問責)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咼(화)로 이루어졌다. 신의 문책, 타박 등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禍자는 '재앙'이나 '화를 입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禍자는 示(보일 시)자와 咼(화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咼자는 앙상한 뼈와 입을 함께 그린 것이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咼자가 '재앙'을 뜻했었다. 금문에서는 신이 내린 벌을 뜻하기 위해 示자가 더해지면서 지금은 禍자가 '재앙'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禍(화)는 (1)모든 재앙(災殃)과 액화(厄禍) (2)몸과 마음에나 또는 일에 뜻밖에 당하는 불행(不幸)이나 손실(損失) 등의 뜻으로 ①재앙(災殃) ②재화(災禍) ③사고(事故) ④허물 ⑤죄(罪) ⑥재앙(災殃)을 내리다 ⑦화를 입히다 ⑧해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액 액(厄), 재앙 앙(殃), 재앙 재(災),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복 복(福)이다. 용례로는 재앙과 복을 화복(禍福), 재앙을 가져올 근원을 화근(禍根), 재앙과 환난을 화난(禍難), 재앙과 난리를 화란(禍亂), 재앙에 가까이 가는 단계를 화제(禍梯), 재앙의 원인을 화인(禍因), 화를 일으킬 실마리를 화단(禍端), 재변이 아직 드러나지 아니하고 잠겨 있는 기틀을 화기(禍機), 매우 심한 재액을 화변(禍變), 좋지 못한 일을 화사(禍事), 재앙이 벌어지는 빌미를 화색(禍色), 재앙을 주는 신을 화신(禍神),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화심(禍心), 참혹한 재화를 참화(慘禍), 전쟁이나 난리로 말미암은 재앙을 병화(兵禍), 화를 남에게 넘겨 씌움을 가화(嫁禍), 흉악한 재앙을 흉화(凶禍), 재앙을 불러들임을 고화(賈禍), 집안에 일어난 재앙을 가화(家禍), 화를 면함을 면화(免禍), 전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재앙을 전화(戰禍), 병으로 말미암아 입는 재앙을 병화(病禍), 화를 당함을 봉화(逢禍), 남의 일로 말미암아 뜻밖에 당하는 재앙을 비화(飛禍), 재앙이 바뀌어서 오히려 복이 됨을 이르는 말을 화전위복(禍轉爲福), 화복이 꼰 노와 같이 서로 얽혀 있다는 뜻으로 재앙이 있으면 복이 있고 복이 있으면 재앙도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화복규묵(禍福糾纆), 화나 복이 오는 문은 정하여 있지 않다는 뜻으로 스스로 악한 일을 하면 그것은 화가 들어오는 문이 되고 착한 일을 하면 그것이 복이 들어오는 문이 된다는 말을 화복무문(禍福無門), 재앙이 되는 것은 입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라는 말을 화종구생(禍從口生), 재앙은 번번이 겹쳐 오게 됨을 이르는 말을 화불단행(禍不單行), 죄화를 입은 집안의 자손을 일컫는 말을 화가여생(禍家餘生), 화나 복은 모두 자신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을 화복동문(禍福同門), 화란이 생기는 것은 다 덕이 없는 탓임을 이르는 말을 화생부덕(禍生不德), 화는 망령되이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화가 도래함은 다 그 원인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화불망지(禍不妄至), 재앙은 악을 쌓음에 인한 것이므로 재앙을 받는 이는 평소에 악을 쌓았기 때문임을 일컫는 말을 화인악적(禍因惡積) 등에 쓰인다.
▶️ 隨(따를 수, 게으를 타)는 ❶형성문자로 随(수, 타)는 통자(通字), 随(수, 타)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좌부변(阝=阜; 언덕)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따라간다는 뜻을 가진 隋(수)로 이루어지며 뒤에서 따라간다는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隨자는 ‘따르다’나 ‘추종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隨자는 총 16획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글자이다. 隨자는 辶(辵:쉬엄쉬엄 갈 착)자자와 隋(수나라 수)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隋자는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隨자에 쓰인 辶(辵)자는 길과 사람의 다리를 함께 그린 것으로 ‘길을 가다’라는 뜻이 있다. 隨자는 이렇게 길을 가는 모습을 그린 辶자를 응용해 누군가를 따르거나 추종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隨(수, 타)는 (1)수괘(隨卦)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따르다 ②추종하다 ③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④좇다, 추구하다 ⑤발 ⑥발꿈치 ⑦괘(卦)의 이름 ⑧따라서 ⑨즉시, 곧 바로 그리고 ⓐ게으르다(타) ⓑ타원형(楕圓形)(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따를 호(扈)이다. 용례로는 때때로나 그때 그때를 수시(隨時), 때에 따라 곧을 수즉(隨卽), 따라서 함께 참여함을 수참(隨參), 붙좇아서 따르는 일을 수반(隨伴), 어떤 양식에도 해당되지 아니하는 산문 문학의 한 부문을 수필(隨筆), 일정한 임무를 띄고 따라서 감을 수행(隨行), 마음에 느껴진 그대로의 생각을 수감(隨感), 마음속으로 부터 고맙게 여기어 기뻐함을 수희(隨喜), 물결 치는 대로 따른다는 뜻으로 그때 그때의 형편이나 환경에 따름을 이르는 말을 수파(隨波), 벼슬아치의 승진이나 전보가 있을 때 품계의 차례를 따라 함을 수품(隨品), 타고 난 운명에 따름을 수명(隨命), 장사 지내는 데 따라 감을 수상(隨喪), 일정한 계통이 없이 그때 그때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수상(隨想), 그때 그때의 형편이나 시세를 따름을 수세(隨勢), 세상의 풍속을 따름을 수속(隨俗), 남의 뜻에 순종함을 수순(隨順), 붙어 따름이나 따라 감을 수신(隨身), 자기 마음대로 함을 수의(隨意), 여럿 중에 제일을 수일(隨一), 따라 좇음이나 따라 다니며 곁에서 심부름 등을 하는 사람을 수종(隨從), 남의 죄에 관계됨을 수좌(隨坐), 편한 것을 따름을 수편(隨便), 뒤를 따름을 수후(隨後), 수후의 구슬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수주탄작(隨珠彈雀), 자기의 뚜렷한 주견이 없이 여러 사람의 틈에 끼어 덩달아 행동을 함을 이르는 말을 수중축대(隨衆逐隊), 때에 따라 적절히 일을 처리함을 이르는 말을 수기응변(隨機應變)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