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370803?sid=102
美·英 보호아동 10명 중 9명 가정위탁..韓, 보육원 등 시설보호 비중 44% 달해
[서울경제] 44% 대 12%. 우리나라와 영국의 보호대상 아동이 대규모 양육시설(보육원)에 맡겨지는 비중이다. 우리나라 아동보호 체계가 다른 선진국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보육원 같은
n.news.naver.com
보육원 = 소위 말하는 고아원
고아원에서 쭉 살다가 성인되면 알아서 자립해라...가 아닌원가정 상황 나아지면 최대한 복귀할수 있게 하고(조실부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보육원에 맡겨지므로)원가정의 복구 희망이 없거나 학대 등 노답이면시설보다는 위탁가정에서 지내다가새로운 가족 찾아서 입양되는게 베스트어쨌거나 시설 생활은 소수 보육사가 여러 아이를 돌보는 단체생활이라 개인적인 관심을 거의 못받고 미래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최대한 지양하는게 좋음유기견으로 치면 당장 입양처 못구해도 보호소 보다는 임시보호자 만나는게 나은것처럼...사람을 개에 비교해도 되나 싶지만; 입양/위탁 개념은 이쪽이 더 익숙할듯 싶어서 비유해봄
이런 방향성은 그저 몇몇 선진국의 정책이 아니라유엔 권고임보호자 없다고 애들 대형시설에 넣어놓지 말고최대한 소규모 그룹에서 돌봄받을수 있게 하라고한국도 이에 따르려고 애를 쓰고는 있다지만..위는 2018년 기사아래는 더 최근 통계
다행히 최근들어 가정위탁 비율이 좀 늘어났지만여전히 절반은 시설로 보내지고 있음위탁 비율 늘어난 것도 위탁가정이 늘었기보다는 전체 보호아동 발생 건수가 줄어든 덕분인 듯참고보호대상 아동 발생 원인드라마 같은데 많이 나오는 아동 유기(눈물을 머금고 고아원 앞에 바구니를 놓고 간다던가)는 생각보다 소수임
출처: 비공개 입니다
첫댓글 해외는 가정위탁이 엄청 활발하구나 우리나라는 주거환걍땜에 하기가 어럅긴할듯.
우리나라는 가정위탁이 거의 없다고 봐야되는 수준…특히나 큰 아이들은 그룹홈 가면갔지 가정위탁은 하는 사람이 없어…
괜히 선진국이 아니다 정말..이런 글 핫플가면 좋겠는데 댓글2개ㅜㅜ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면 안 되나? 뜻이 있는 괜찮은 가정들도 많고 몰라서 못하는 거도 있을텐데이 제도 자체가 대중화가 안 되고 좀 진입장벽이 있는 거 같아서. 생각이 있는 가정이 있을텐데... 물론 시스템 자체가 바껴야하는 건 맞말임 엄한데 예산쓰지말고 여기에 하지.. 태어나지도 않은 애를 위해서 ㅈㄴ쏟아붓던데 이미 태어난 애나 신경쓰지
한국은 진짜 힘들지 않을까 싶어 학원비 같은거만 생각해도 ㅠ
학대당한 아이들 따뜻한 가정에서 위탁보호받으면 좋긴하겠지ㅜㅜ….
첫댓글 해외는 가정위탁이 엄청 활발하구나 우리나라는 주거환걍땜에 하기가 어럅긴할듯.
우리나라는 가정위탁이 거의 없다고 봐야되는 수준…특히나 큰 아이들은 그룹홈 가면갔지 가정위탁은 하는 사람이 없어…
괜히 선진국이 아니다 정말..
이런 글 핫플가면 좋겠는데 댓글2개ㅜㅜ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면 안 되나? 뜻이 있는 괜찮은 가정들도 많고 몰라서 못하는 거도 있을텐데
이 제도 자체가 대중화가 안 되고 좀 진입장벽이 있는 거 같아서. 생각이 있는 가정이 있을텐데... 물론 시스템 자체가 바껴야하는 건 맞말임 엄한데 예산쓰지말고 여기에 하지.. 태어나지도 않은 애를 위해서 ㅈㄴ쏟아붓던데 이미 태어난 애나 신경쓰지
한국은 진짜 힘들지 않을까 싶어 학원비 같은거만 생각해도 ㅠ
학대당한 아이들 따뜻한 가정에서 위탁보호받으면 좋긴하겠지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