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愈(한유)-符讀書城南(부독서성남)(부야, 책을 성남에서 읽어라)
木之就規矩(목지취규구) 목재를 규격에 맞게 하는 것은
在梓匠輪輿(재재장윤여) 목수와 수레바퀴 만드는 사람에 달려 있고
人之能爲人(인지능위인) 사람이 사람답게 되는 것은
由腹有詩書(유복유시서) 뱃속의 시와 글에 달린 것이다
詩書勤乃有(시서근내유) 시와 글은 부지런하면 터득할 수 있지만
不勤腹空虛(불근복공허) 부지런하지 않으면 속이 비게 된다
欲知學之力(욕지학지력) 배움의 힘을 알고 싶으면
賢愚同一初(현우동일초) 어진 이와 어리석은 이도 시작은 똑같음을 알면 된다
由其不能學(유기불능학) 배우지 않음으로 인해
所入遂異閭(소입수이려) 나아가는 방향도 달라진다
兩家各生子(양가각생자) 양가에서 각기 아들이 태어나도
提孩巧相如(제해교상여) 두세 살 어릴 때는 재주가 비슷하고
少長取嬉戱(소장취희희) 조금 성장하여 함께 놀 무렵이면
不殊同隊魚(불수동대어) 떼지어 헤엄치는 물고기와 같다
年至十二三(연지십이삼) 나이가 열두세 살이 되면
頭角秒相疎(두각초상소) 두각을 조금 드러내기도 한다
二十漸乖張(이십점괴장) 스무 살이 되면 점점 더 거리가 생겨
淸溝映汚渠(청구영오거) 맑은 도랑이 흐린 도랑에 비치듯이 된다
三十骨觡成(삼십골격성) 서른 살이 되면 골격이 형성되어
乃一龍一豬(내일룡일저) 하나는 용, 하나는 돼지처럼 된다
飛黃騰踏去(비황등답거) 준마는 뛰어 달리는데
不能顧蟾蜍(불능고섬서) 학문을 못 이룬 두꺼비는 돌아볼 수도 없다
一爲馬前卒(일위마전졸) 한쪽은 말 앞의 졸병이 되어
鞭背生蟲蛆(편배생충저) 채찍 맞은 등에는 구더기가 생기고
一爲公與相(일위공여상) 한쪽은 삼공이나 재상이 되어
潭潭府中居(담담부중거) 크고 깊은 관청에서 산다
問之何因爾(문지하인이) 그렇게 된 이유는
學與不學歟(학여불학여) 모두 학문을 하고 안 한 차이다
金壁雖重寶(금벽수중보) 금옥은 귀한 보물이나
費用難貯儲(비용난저저) 쓰기 쉬워 저축하기 어렵고
學問藏之身(학문장지신) 학문은 몸에 간직하면
身在則有餘(신재즉유여) 살아있으면 모두 다 쓸 수 있다
君子與小人(군자여소인) 군자와 소인은
不繫父母且(불계부모차) 부모 따라 정해진 것이 아니다
不見公與相(불견공여상) 보라, 삼공과 재상도
起身自犁鋤(기신자리서) 농민의 몸에서 나온 것이다
不見三公後(불견삼공후) 보라, 그 삼공의 후손들이
寒饑出無驢(한기출무려) 헐벗고 굶주리고 나귀 없이 다니는 것을
文章豈不貴(문장기불귀) 문장이 어찌 귀하지 않겠느냐
經訓乃菑畬(경훈내치여) 경서의 가르침은 밭과 곡식 같은 것
潢潦無根源(황료무근원) 고인 빗물은 근원이 없어
朝滿夕已除(조만석이제) 아침에 찼다가도 저녁에는 없어진다
人不通古今(인불통고금) 사람이 고금의 일에 통하지 않으면
牛馬而襟裾(우마이금거) 소나 말이 옷을 입는 것과 마찬가지
行身陷不義(행신함불의) 행실이 불의함에 빠지고도
況望多名譽(황망다명예) 하물며 많은 명예를 어찌 바라겠느냐
時秋積雨霽(시추적우제) 시절은 가을이라 장마도 그치고
新凉入郊墟(신량입교허) 산뜻한 기운이 들판에 서렸으니
燈火秒可親(등화초가친) 등불을 점차 가까이하여
簡編可卷舒(간편가권서) 책을 펴기에 좋은 계절이다
豈不旦夕念(기불단석염) 아침저녁으로 네 생각이 떠나지 않으니
爲爾惜居諸(위이석거제) 너를 위해 세월을 아껴라
恩義有相奪(은의유상탈) 부자 사이도 의가 상하는 경우가 있어
作詩勸躊躇(작시권주저) 시를 지어 머뭇거리지 말고 공부하라 권하는 것이다
*韓愈{한유, 768년 ~ 824년, 자는 퇴지(退之), 하양[河陽, 하내군(河內郡) 남양(南陽)지금의 허난성 난양] 출생, 그의 선조가 창려(昌黎, 지금의 랴오닝성 진저우(錦州)에 살아 세인들은 그를 한창려 또는 창려선생이라 부름}는 당나라 때의 걸출한 문학가, 사상가, 철학가, 정치가로 훗날 그를 당송팔대가의 첫째로 꼽으며 유종원과 함께 한류韓柳로 일컬었습니다.
한유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어머니를 잃었고, 3세에 아버지를, 14세에 형 한회(韓會)를 잃고 형수 정부인(鄭夫人) 밑에서 가난하고 어려운 생활을 하였는데, 7세 때부터 독서를 시작한 한유는 13세에 이미 문장에 재능을 보였고, 덕종(德宗) 정원(貞元) 2년(786)부터 장안(지금의 산시성 시안)에서 과거에 응시했으나, 이렇다 할 문벌도 배경도 없었던 그는 세 번이나 낙방하고서 정원 8년(798)에 31세의 나이로 진사과에 합격했으며, 다시 이부시(吏部試)에 응시하였을 때에도 다시 세 번 낙방한 그는 정원 11년(795) 세 번이나 재상에게 글을 올리고서야 가까스로 천거되었고, 경조윤, 병부시랑(법무부차관), 이부시랑(문교부차관)을 역임하였고, 819년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헌종이 불골(佛骨, 부처의 유골이나 사리)을 궁중으로 맞아들이려는 행사를 벌이자 불교의 폐해가 심각함을 느낀 그는 이를 극구 만류하는 간불골표諫佛骨表를 지었다가 황제의 미움을 사 조주지사로 좌천되었습니다. 문하에 가도賈島, 맹교孟郊 등의 인물이 배출되었습니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입니다. 헌종은 원화 14(819)년에 불골佛骨(부처의 사리)을 궁중에 맞이하여 사흘 동안의 공양을 하였다. 한유는 유학 부흥의 입장에서 이를 반대하여 논불골표論佛骨表를 올렸다. 때문에 천자의 노려움을 사 사형이 될 것을 한 등급 감형되어 조주자사로 좌천되었다. 이 작품은 그 도중에 뒤따라 온 질손(한상)에게 자기 신념을 밝힌 것이다.
*형식 : 오언고시(五言古詩)
*符(부) : 한유의 아들
城南(성남) : 한유의 별장이 있는 곳
就規矩(취규구) : 규격에 맞다
梓匠(재장) : 목수
輪輿(윤여) : 수레 바퀴 만드는 사람
同一初(동일초) : 모두 처음은 같다
異閭(이려) : 나아가는 방면이 달라짐
提孩(제해) : 두 서너살 아이
同隊魚(동대어) : 떼지어 헤엄치는 물고기
乖張(괴장) : 서로 상반되다
淸溝(청구) : 맑은 도랑
汚渠(오거) : 더러운 흐린 도랑
豬(저) : 돼지
飛黃(비황) : 준마
騰踏(등답) : 뛰어오르다
蟾蜍(섬서) : 두꺼비
潭潭(담담) : 깊숙한 모양
府中(부중) : 장관의 관청
不繫父母且(불계부모차) : 부모가 낳을 때 정해지는 것이 아니다, 且는 어조사
犁鋤(이서) : 호미, 여기서는 농민의 뜻
三公(삼공) : 태사, 태부, 태보
經訓(경훈) : 경서의 교훈
菑畬(치여) : 菑는 개척한 지 1년째 되는 새 밭, 畬는 2년째 되는 밭인데, 여기서는 녹으로 받는 쌀을 가리킴
潢潦(황료) : 웅덩이에 괸 빗물
襟裾(금거) : 옷
郊墟(교허) : 들이나 언덕
簡編(간편) : 책
居諸(거저) : 일월, 세월, 시경에 나온 말, 시경에 日居月諸 昭臨下土라는 구절이 있는데, 居와諸는 어조사로서 日月이란 뜻으로 쓰임, 독음이 ‘거저’임에 주의 할 것
첫댓글 예나 지금이나 학문을 배우고 읽히길 게을리 하지 마라.....
일촌광음불가경이라....
조실부모하고 형수 밑에서 자라서 그런지 자식 사랑이 절절하게 다가옵니다.
ㅎ, 소년이로학난성, 작일소년금백두,
돌아보면 열심히 배우는 시절은 그리 길지 않은데
왜 그때는 그리도 공부하기가 싫었는지 많이 후회됩니다.
회장님의 댓글에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