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딸꾹질하는이유는?
딸꾹질은 주로 횡격막이나 호흡을 도와주는 근육이 경련수축을 하면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횡격막은 우리가 숨을 쉴 때 사용하는 근육 중에 하나입니다.
이 횡격막이 갑자기 수축하게 되면 공기가 성대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면서 딸꾹질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럼 이 횡격막의 갑작스러운 수축은 언제 일어나는 것일까요?
몸에 별다른 병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이 딸꾹질을 할 때에는 지나친 긴장을 하고 있을 때,
과식했을 때, 매운맛이 굉장히 강한 음식이나 너무 차가운 음식을 먹었을 때 등이 있습니다.
가끔 기침을 자주 할 때도 딸꾹질을 하게 되곤 합니다.
딸꾹질하는 이유를 알아보았으니 이제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주신경 자극하기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물을 마시는 방법, 눈을 비비는 방법, 손가락을 귓구멍에 넣는 방법, 재채기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혈액의 이산화탄소량 증가시키기
뇌가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에 더욱 집중하게 해서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방법입니다.
숨을 참거나 10회 정도 숨을 빠르게 들이쉬고 내쉬는 방법, 종이 주머니나 비닐을 이용해 숨을 쉬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혀끝 신경 자극하기
따뜻한 설탕물을 마시게 되면 단맛이 혀끝 신경을 자극해서 새로운 자극에 더 크게 반응하기 때문에 딸꾹질이
멈추게 됩니다.
위의 방법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바로 '깜짝 놀라게 하기'일 겁니다.
이 방법은 유용하지만 신경 기능이 약한 아기에게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는 방법입니다.
신경기능이 약한 아기에게 딸꾹질을 멈추게 하겠다고 놀라게 하면 딸꾹질은 멈추겠지만,
아기에게 큰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일반적인 딸꾹질과 다르게 딸꾹질이 잘 멎지 않고 심각한 수준으로 나오는 경우가 아주
드물게 있습니다.
이때는 병원을 찾아서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위암과 췌장암 같은 암 질환이 있을 수도 있고, 뇌수에 이상이 있거나 뇌경색, 뇌출혈, 뇌진탕 같은 뇌 질환이 원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신경염, 폐렴, 알코올 중독, 심근경색, 기관지염, 천식, 식도염, 천식, 중독물질에 의한 중추성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첫댓글 울랑은 특정 항생제에 거부반응으로 심한 딸꾹질을 한답니다.
한번 복용으로 3일 동안 잠자는 시간에도 하는데 몸에서 그 성분이 바져나가는데는 3일이 걸리더군요.
약처방이야 피할수 있는데 항생제가 들어간 육류나 살아있는 바다가재(항생재를 풀어두나봐요)를 먹고도 그런답니다.
몸이 그러하단걸 몰랐을때는 참 난감했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