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적 함구증이란?
선택적 함구증(selective mutism)은 불안 장애중의 하나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말을 잘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말하는 것을 거부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증상은 주로 2세에서 4세 사이 나타나게 됩니다. 선택적 함구증을 겪는 아이들은 본인의 선택에 의해서 말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극심한 불안함으로 인해 말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증상
■ 사람들의 눈을 마주치는 것을 힘들어하고 부끄러운 모습을 보입니다.
■ 질문에 대한 대답을 말없이 손으로 가리키거나 고개를 끄덕이며 반응합니다.
■ 다른 대상을 통해 의견을 전달합니다.
■ 누군가 대답을 요구할 때 눈물을 흘리거나 짜증을 냅니다.
■ 사람들이 주변에 오면 부모님에게 매달리거나, 부모님 뒤에 숨으려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제외하고, 한달 이상 지속된다면 선택적 함구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원인
선택적 함구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지만,
함구증을 불안장애로 분류하는 만큼, 그 원인을 불안 증상과 관련하여 보고 있습니다.
불안감이 높은 기질을 갖고 있는 경우, 과거의 심한 트라우마로 인해 높은 불안감을 가진 경우도 함구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언어나 청각의 장애로 인해 소통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외부 감각에 예민한 경우도 말하는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선택적 함구증을 겪는 아이를 돕는 방법
1.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태도로 대해주세요.
선택적 함구증으로 말을 하지 않는 아이에게 비난하거나 벌하는 방식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끊임없이 격려와 지지적인 태도로 아이가 스스로 극복해 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짧은 말이나 제스처로 이전보다 더 나은 반응을 보였을 때 적극적으로 아이들을 칭찬해주시고 격려해 주세요.
아이를 격려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보상을 활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2. 임시적으로 대안적인 소통방법을 찾아보세요.
아이가 선택적 함구증으로 말하는 것에 큰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우, 덜 스트레스 받는 대안적인 소통 방식을 찾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안적인 소통방식에는 손 제스처를 사용하거나, 글씨를 쓰는 것, 보드를 활용해 소통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조금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물론 이 방법은 선택적 함구증을 극복해나가는 과정 속에 임시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3.자극 페이딩 (stimulus fading)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자극 페이딩이란 점차적으로 자극을 늘려나가는 방법입니다.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대화를 할 때, 아주 점차적으로 조금씩 새로운 인물과도 대화에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세요. 그러한 상황들을 반복해 나가다 보면 아이가 느끼는 불편함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의 불안함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4. 선택형 질문을 던져보세요.
아이들이 길게 대답해야한다는 부담감을 덜 수 있도록 선택형으로 질문을 던져주세요. 예를 들어, “오늘 뭐 먹고 싶니?” 보다는 “오늘 고기를 먹을래? 아니면 생선을 먹을래?”, “오늘 뭐할까?” 보다는 “오늘 공원에 갈까? 아니면 집에 있을까?” 라고 묻는 겁니다. 이 방식의 소통법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제스처로 반응하는 것보다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도와줍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해법수학 칼럼 '부주의하고 산만한 우리아이 어떻게 키울까?'
[상담후기] >> 불안 청소년 치료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참고문헌
차상훈, 정성훈, 정운선. (2006). 선택적 함구증 환아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7(2), 106-113.
wikiHow, Meredith Brinster, PhD and Glenn Carreau, How to overcome selective mutism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단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