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啓(고계)-山中春曉聽鳥聲(산중춘효청조성)(봄날 새벽 산에서 새소리 들으며)
子規啼罷百舌鳴(자규제파백설명) 소쩍새 울기를 그쳤는가 하면 때가치 울어
同窓臥聽無數聲(동창와청무수성) 동창에 누워 듣는 무수한 새의 지저귐 소리
山空人靜響更切(산공인정향갱절) 산은 텅 비고 사람은 고요한데 그 소리 분주하고
月落杏花天未明(월락행화천미명) 살구꽃 그늘에 달은 졌는데 날은 새지 않았다
*高啓[고계, 1336 ~ 1374, 자 계적(季迪), 호 청구자(靑邱子)]는 생애의 대부분을 원나라 말기의 내란시대에 보냈으며, 명나라의 통일 후 잠시 난징[南京]에서 취직한 외에는 쑤저우에서 소지주(小地主)로서 생활하였다. 명태조(明太祖)의 공신배제정책(功臣排除政策)의 여파로 39세에 살해되었다. 명나라 제일의 시인으로 전원생활을 사랑하는 자유인이었으며, 원송(元宋) 이후의 중국에 대두한 시민층의 한 전형이었다. 그의 시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싱싱하고 경쾌하며 또 평이하다. 근체시(近體詩)에서는 주로 강남의 수향(水鄕:강·호수 등 물이 많은 지방)의 풍물을 담백하게 노래했고, 고체(古體)에서는 역사나 전설에서 취재한 낭만을 노래하였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인데, 산속 봄날의 새벽을 청신하고 정취 넘치게 묘사한 절창이라 합니다.
*형식 : 칠언절구(七言絶句)
*子規(자규) : 소쩍새
百舌(백설) : 때까치
첫댓글 새소리에 선뜻 깬 잠....
여명의 고요한 새벽의 아름다움이 가득합니다......
ㅎ, 고요한 새벽의 새소리는 여느 음악 못지 않은 풍취가 있는 듯 합니다.
회장님의 풍부한 시정과 댓글에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행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