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Elsholtzia splendens
분류 꿀풀과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 산야
크기 높이 60cm
산야에서 자란다. 줄기는 뭉쳐나고 네모지며 가지를 많이 치고 흰 털이 많으며 높이가 60c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5∼7cm의 잎자루를 가지며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몸의 길이는 1∼7cm, 폭은 0.8∼4cm이고, 잎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어 강한 향기를 낸다.
꽃은 9∼10월에 붉은 빛이 강한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이삭으로 달리며 바로 밑에 잎이 있다. 포는 콩팥 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바늘처럼 뾰족해지고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길이가 6mm 정도이고 입술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윗입술꽃잎은 오목하게 들어가고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편평하고 물에 젖으면 끈적거린다. 향유에 비해 꽃이삭이 크다. 가을에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밀원식물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한다. 한방에서 감기·오한발열·두통·복통·구토·설사·전신부종·각기·종기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쓴다. 제주도·전라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
애기향유(E. saxatilis)
향유(E. ciliata (Thunb.) Hylander)
가을에 개화하므로 척박한 토양의 도로변에 대규모로 재배하면 매우 좋을 뿐 아니라 화단 식재용 소재로도 유망하다. 전초를 향료로 이용할 수 있다.
차가운 음식을 먹어서 속을 상하게 하였을 때 사용하며, 소화기가 허약하여 구토하며 설사가 있는 증상에도 속을 편하게 해주며 수종을 흩어 준다. 한여름 더위 먹은 사람에게 양호한 효과가 있어 증상을 완화시켜 주며 땀을 내게 하는 효능으로 체온을 조절시켜주는 동시에 여름철에 걸린 감기에도 그 효능이 있다.
따뜻한 성질을 지니기에 위와 그 기운을 북돋아 주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은 경우에도 이용된다.
향유는 여름의 요약으로 불린다. 그만큼 여름철에 생기는 감기나 두통, 땀이 나오지 않는 증상에는 그 효능이 탁월하며 주로 한의학에서 표라고 불리는(양방적으로 말하자면 몸을 덥고 있는 피부나 그 밑에 있는 조직)부위에 작용한다.
여름과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면 지상 부분을 잘라내어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그늘에서 말린다.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을 분무하여 수분을 침투시키고 나머지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또는 뿌리를 버리고 잎을 남겨서 잘게 썬 후 햇볕에 말린다. 불에 쪼여서는 안 된다. 여름철에는 꽃과 잎을 따서 차로 달여 먹어도 좋다.
맛은 달면서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다. 폐, 위경에 들어간다. 발한하고 더위를 풀어주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습을 발산시키며 위를 덥혀 주고 위장의 기운을 고르게 하는 효능이 있다. 여름에 한기를 받은 음냉, 두통 발열, 춥고 땀이 나지 않는 증상, 가슴이 더부룩하고 배가 아픈 증상, 곽란, 급성 근육경련, 구역냉기, 번열 제거, 사계절 상한의 주기적 발작 예방, 이뇨, 해수, 복통 설사, 수종, 각기를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복용한다.
중국의 <중약대사전, 본초종신, 득배본초>에서는 주의해야할 금기사항으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표허(表虛)인 사람, 화성기허(火盛氣虛), 음허유열(陰虛有熱)인 사람 즉 표사(表邪)가 없는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된다."
향유를 무더운 여름철 더위 먹었을 때 복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지나치게 과로를 한 경우나 무더위에 더위 먹어 열이 날 때, 땀을 비 오듯이 많이 흘리며 천식이 있거나 구토 설사로 기운이 탈진되었을 때, 갈증이 아주 심한 때에는 향유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초강목>에서는 말하기를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을 사용하여 화를 내리고 기운을 보해주어야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금기 식품으로 중국의 <승심집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청어 해조류, 송채 즉 배추,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꺼린다."
여름에 달여서 차 대신으로 마시면 열병이 없어지고 즙으로 입을 가시면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혀에 구멍이 난 것처럼 갑자기 출혈하는 증상에는 향유 즙 1되를 1일 3회 복용한다. 향유는 상하를 관통하는 효능이 있고 치수하는 효능이 매우 빠르다. 폐가 본 약을 만나면 청화가 이루어져 열이 저절로 내린다. 또 향유는 더위 먹은 것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즙을 짙게 달여서 고를 만들어서 환을 지어 먹으면 수종 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향유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향유와 꽃향유의 지상 부를 약으로 쓴다.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발한해표, 화중화습, 이수소종의 효능이 있어 방향성이 강하여 여름 감기로 열이 나고 오슬오슬 춥고 두통과 땀이 안 나는 증상에 유효하다. 여름철에 복통 및 설사를 일으킬 때 백편두(白扁豆) 즉 흰까치콩과 배합해서 사용한다. 이뇨 작용이 있어서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백출을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력이 있다. 휘발성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성분은 해열, 발한 작용을 보인다. 위액 분비 촉진 작용과 위장의 연동 운동 자극 작용이 있어서 위장 평활근을 억제시키고, 또한 거담 및 피부진균 억제 효과를 보인다. 신장 혈관을 자극하여 사구체에 충혈을 일으켜 사구체 여과율을 증대시키므로 이뇨 작용을 얻게 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향유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향유는 노야기, 석향, 향여 라고도 한다. 꿀풀과의 속하는 일년생 풀인 노야기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 들판, 길가, 개울가, 밭둑에서 널리 자란다. 꽃이 피는 여름철과 가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서습을 없애주며 위를 덥혀주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발한 작용, 해열 작용, 위액분비촉진작용, 지혈 작용, 이담 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서습증, 여름감기, 부종, 소변불리, 곽란으로 배가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는 데 등에 쓴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 내어 먹는다."
이 약은 금과 수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약 기운이 위로도 가고 아래로도 간다. 이 약은 불기운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하며 오래 묵은 것이 좋다. 기가 허한 사람에게는 많이 쓰지 못한다.[본초]
줄기는 버리고 생강즙에 추겨 볶아서 쓴다.[입문]"
한 여름철에 그늘에서 냉한 음료를 마시면 양기가 음사에 의해 억제될 수 있는데 내버려 두면 결국은 두통, 발열, 오한, 번열, 구갈 또는 구토, 하리, 곽란병에 걸리게 된다. 이런 경우에 향유가 효험이 있다.
중국의 <본초강목>에서는 "향유의 성질은 따뜻하므로 뜨겁게 해서 복용하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끓인 후 식혀서 복용하는 것이 좋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당나라때 쓴 <본경봉원>에서는 향유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향유는 먼저 오르게 하고 후에 내리게 하므로 뜨거울 때 복용하면 여름철 서사 즉 여름철 더위 먹어 토하고 설사하며 심한 복통, 냉방병에는 발산시키고, 차게 해서 복용하면 해열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치수하는 효능이 매우 빠르다."라고 기록함으로 뜨겁게 마실 수도 있고 차갑게 마실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향유는 땀내기약, 구풍약, 오줌내기약, 열 내림약으로 감모 특히 발열악한, 물고임, 구토설사, 곽란과 배아픔, 더위를 먹었을 때 쓴다. 민간에서는 콜레라, 설사, 각기, 위 아픔에 쓰며 열 내림약, 피멎이 약으로도 쓴다. 또한 위염, 기침, 빈혈, 황달에도 쓴다. 향유 5~15그램을 물 2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 열 내림약, 오줌내기약으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더위 먹었을 때 '향유산'이라하여 향유 15그램, 후박, 백편두 즉 까치콩 각각 7그램을 200밀리리터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향유는 습을 제거하고 이수하는 효능이 탁월하다.
꽃향유/애기향유/가는잎향유/향유의 全草(전초)를 (향유)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과실이 성숙하면 지상부분을 절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곽란, 腹痛吐下(복통토하)를 치료하고 水腫(수종)을 뺀다.
熱風(열풍)을 가시게 하고 갑작스런 轉筋(전근)에는 끓인 국물을 頓服(돈복)하면 좋다. 또 건조분말을 물로 복용하면 비출혈을 멈추게 한다.
氣(기)를 내리고 煩熱(번열)을 베거하며 嘔逆冷氣(구역냉기)를 치료한다.
表(표)를 풀고 邪(사)를 除(제)하며 暑熱咳嗽(서열해수)를 치료하고 發汗(발한) 胃(위)를 따뜻하게 하며 中(중)을 부드럽게 한다.
여름에 끓여서 茶(차)를 대신으로 마시면 熱病(열병)을 없애고, 中(중)을 조정하며 胃(위)를 따뜻하게 한다. 즙으로 양치질을 하면 臭氣(취기)가 가신다.
용법/용량 : 3-10g을 달이거나 또는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채집시기/산지 :주로 늦가을 음력 9~10월에 이삭이 나온 뒤 채취한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가공 :채취한 식물의 전초에 뿌리에 있는 흙이나 그 밖의 부분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털어내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주의 :이 약은 땀을 내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땀이 많이 나고 사람의 겉을 덮고 있는 (표라고 함) 피부 등의 기능이 허한 사람에게는 금한다.
곽란때 명치(心窩)와 배가 불러 오를때 :향유(香薷) 1줌(썬 것), 생강 20(썬 것), 모과 40(썬 것) 들을 물 2잔(큰잔)에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거기에 쌀 반 홉을 넣고 죽을 쑨 다음 장을 쳐서 간을 맞추어 한 두번 먹으면 효과가 난다.
곽란때 토하는 것이 멎지 않을 때 :향유(香薷, 서리맞은 후에 뜯어 그늘에서 말린 것) 600, 후박(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생강즙을 발라 구운 것), 백편두 각각 300. 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20G씩을 물 1잔과 술 반잔을 섞은 데다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식혀먹는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를 할 때 :향유(香薷, 썬 것) 2줌, 모과(속을 파내고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썬 것), 형개수, 볶은 쑥 각각 20, 진창미(볶은 것) 반 홉, 흑두(볶은 것) 1홉을 가루를 내서 한번에 20G씩을 물 1종발 반에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더운 것을 15∼25분만에 한번씩 하루 3번 먹는다.
더위먹었을 때 :'향유산'이라 하여 향유 15그램, 후박, 백편두 즉 까치콩 각각 7그램을 200밀리리터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콜레라, 설사, 각기, 위아픔에 쓰며 열내림약, 피멎이, 땀내기약, 구풍약, 오줌내기약, 열내림약으로 감모 특히 발열악한, 물고임, 구토설사, 곽란과 배아픔, 위염, 기침, 빈혈, 황달 :향유 5~15그램을 물 2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경기(驚氣)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두통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첫댓글 향유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