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이되는 이샘
오늘 비전과정이 발표를 하고 선교사님이 오셔서 강의를 해주셨다. 몽골의 전통의상에는 델, 말가이, 고탈 등이 있었다. 그리고 음식은 크게 차강이데와 올랑이데로 나눠져 있었다. 몽골의 5대 동물에는 말, 양, 소, 염소, 낙타가 있었다. 그리고 몽골의 전통 노래가 가장 신기했다. 흐미라는 창법인데 한 사람이 두 가지 소리를 같이 내는 것이었다. 나담축제는 경기 놀이라는 뜻이었다. 나담축제는 7월 12일부터 7월 15일까지 진행한다고 했는데, 나도 활쏘기 같은 걸로 나가보고 싶다. 비전과정 발표가 끝나고 선교사님이 강의를 해주셨다. 몽골은 넓은 국토로 한반도의 7.4배인데 인구수는 340만 명으로 매우 적다고 하셨다. 그 340만명의 인구에서 80%가 라마불교를 믿고, 기독교인은 전체의 1.5%인 게 조금 놀랐다. 그래서 선교사님이 기독교인을 늘릴 방법은 인터넷으로 알리는 방법이 있다고 하셨다. 나도 인터넷으로 열심히 퍼트려서 몽골의 기독교인을 늘리려고 노력하고 싶다.
누리는 신아영
오늘은 비전과정과 선교사님이 오셔서 강의하셨다. 처음에는 비전과정이 발표했는데 몽골의 의상, 헤어스타일, 음식, 주거문화, 에티켓, 음악과 악기, 나담축제, 동물에 대해 발표하였다.
의상에서는 델, 말가이, 고탈인 전통 옷, 신발, 모자를 설명한 후 남성의 헤어스타일인 변발과 여자의 헤어스타일인 떼르구르우스를 발표하였고 음식에서는 차강이데, 올랑이데인 음식의 종류를 알려주셨다. 게르와 아파트에 대한 설명도 있었고 기본적인 몽골의 에티켓 그리고 몽골의 주요 동물 말, 낙타, 소, 양, 야크를 알려주시고 남자들의 세 가지 경기라는 나담축제, 몽골의 전통창법 흐미, 몽골의 전통악기 야두금, 야탁을 소개하는 등 많은 것을 듣고 알게 되었다.
그 후로 선교사님이 오셔서 직접 체험한 후의 소감과 몽골의 종교, 몽골의 상황 등을 설명해 주셨는데, 나는 사막에서 아이를 잃어버렸을 때 하나님께서 죽이라고 말씀하시며 사랑을 표현하신다는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 이유는 처음에는 왜 이렇게 말씀하시지? 라고 생각했지만, 하나님께서 사랑을 표현하신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는 몽골에 가지는 않지만, 한국에서 기도하고 응원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