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매죽마(靑梅竹馬)
연인이나 부부가 어릴 때부터 사이 좋게 지낸 관계를 비유하는 말이다.
靑 : 푸를 청(靑/0)
梅 : 매화 매(木/7)
竹 : 대 죽(竹/0)
馬 : 말 마(馬/0)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이 지은 오언고시(五言古詩) 형식의 '장간행'은 장사를 하러 먼 길을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부인의 노래이다. 30구로 이루어진 이 시는 이렇게 시작된다.
妾髮初覆額(첩발초복액)
折花門前劇(절화문전극)
郎騎竹馬來(낭기죽마래)
遶牀弄靑梅(요상농청매)
同居長干里(동거장간행)
兩小無嫌猜(양소무혐시)
첩의 머리가 처음 이마를 덮었을 때
꽃 꺾으며 문 앞에서 놀고 있었지.
낭군께서 죽마를 타고 와서는
침상을 뱅뱅 돌며 푸른 매실로 장난쳤지.
장간 마을에서 함께 살면서
두 아이는 스스럼이 없었지.
이들 부부는 장간(長干)이라는 마을에 함께 살면서 부인이 태어나서 처음 머리가 이마를 덮을 때인 어린 시절부터 죽마를 타고 푸른 매실로 장난을 치며 소꿉친구로 자라다가 부부의 인연을 맺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청매죽마는 남녀 어린아이들이 사이가 좋음을 이르거나 연인 또는 부부가 어릴 때부터 사이좋게 지낸 관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청매죽마(靑梅竹馬)
어릴 때부터 의좋게 지낸 한 쌍의 남녀
어릴 때부터 한 동네에서 같이 놀며 자란 벗의 대명사는 죽마고우(竹馬故友)다. 장난감 죽마를 타고 놀았으니 주로 사내아이끼리의 우정을 일컫는다. 옛날 문물과 예의를 방대하게 모아 놓은 유교의 경전 '예기(禮記)'에서는 남녀의 구별이 엄격했다.
한부분만 봐도 "남자와 여자는 섞여 앉지 않으며 옷걸이도 같이 하지 않고 수건과 빗도 따로 쓴다(男女不雜坐 不同椸枷 不同巾櫛/ 남녀부잡좌 부동이가 부동건즐)"고 했다. 이처럼 남녀가 유별하다고 교육을 받아왔으니 일곱 살만 되면 남녀부동석(男女不同席)이라고 놀이도 따로 하는 것이 당연했다.
아무리 유별하다고 해서 더 어릴 때 사내아이나 여자아이 함께 어울려 장난감으로 살림살이 흉내를 내는 소꿉놀이는 구별을 할 일이 없다. 푸른 매실(靑梅)을 장난감으로 여기는 계집아이가 죽마(竹馬)를 타고 노는 어린 사내아이와 섞여 놀 때는 남녀가 따로 없다.
엄격한 가르침을 받은 고지식한 어른들이라도 꼬마 아이들이 천진난만하게 어울려 노는 모습에선 절로 미소가 떠오를 수밖에 없다. 이들이 갖고 놀던 장난감을 합쳐 부르게 되면 남녀가 장성하고서도 의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는 성어가 됐다. 당(唐)나라의 시선(詩仙) 이백(李白)의 '장간행(長干行)'이라는 오언고시 시구에서 비롯된 말이라 한다.
어릴 때 함께 스스럼없이 지내다 부부가 된 후 열 여섯에 먼 땅으로 떠난 남편을 그리워 찾아 나선다. 성어가 나오는 앞부분을 보자. "제 머리 막 이마를 덮었을 때 꽃 꺾으며 문 앞에서 놀았지요(妾髮初覆額 折花門前劇/ 첩발초복액 절화문전극), 그대는 죽마 타고 와서 난간을 뱅뱅 돌며 청매로 놀렸지요(郎騎竹馬來 遶牀弄靑梅/ 낭기죽마래 요상농청매)."
장간(長干)이란 마을에서 함께 놀던 때는 두 아이가 서로 친숙하여 스스럼이 없었다는 양소무시(兩小無猜)란 말이 그 뒤에 따른다. 어릴 때를 그리워하며 수백 리 먼 길을 걸어 장풍사(長風沙)에서 반갑게 만난다는 내용이다.
두 남녀의 천진난만한 모습은 어린 시절부터 가까이 지내다 자라서도 의좋은 한 쌍의 부부가 된 행운의 경우다. 우리의 단편 명작 황순원의 '소나기'에서도 천진무구한 소년소녀의 이성에 눈뜨는 과정과 씁쓸한 이별을 그린다. 미소를 가져오는 이런 관계가 요즘 드러나는 모습에선 살벌한 면이 많다.
어릴 때는 느끼지 못했다가도 자라서는 남자가 여자를 해치기만 하는 존재, 여자는 남자의 앞길을 막으며 앞서가는 존재로 여긴다. 물론 그런 면이 있다고 해도 조금씩 양보하여 친밀한 관계가 회복돼야 사회가 발전하고 인류가 지속된다.
▶️ 靑(푸를 청)은 ❶형성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青(청)의 본자(本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生(생, 청)과 丹(단)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生(생)은 새싹, 丹(단; 물감을 들이는 원료(原料)인 광물)은 돌을 뜻한다. 붉은 돌(丹) 틈에서 피어나는 새싹(生)은 더욱 푸르러 보인다는 뜻이 합(合)하여 '푸르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靑자는 '푸르다'나 '젊다', '고요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靑자는 生(날 생)자와 井(우물 정)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生자는 푸른 싹이 자라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싱싱하다'나 '나다'는 뜻이 있다. 靑자는 이렇게 싱싱함을 뜻하는 生자에 井자가 결합한 것으로 우물과 초목처럼 맑고 푸름을 뜻한다. 그래서 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푸르다'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靑자는 푸름에 비유해 '젊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靑(청)은 ①푸르다 ②젊다 ③고요하다(조용하고 잠잠하다), 조용하다 ④푸른빛 ⑤대껍질(대나무의 순(筍)을 싸고 있는 껍질) ⑥봄 ⑦동쪽 ⑧땅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푸를 창(蒼), 푸를 벽(碧), 푸를 록(綠), 푸를 취(翠)이다. 용례로는 만물이 푸른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 시절을 청춘(靑春), 청춘기에 있는 젊은 사람 특히 남자를 일컬음을 청년(靑年), 푸른 하늘을 청천(靑天), 나무가 무성하여 푸른 산을 청산(靑山), 싱싱하게 푸름을 청청(靑靑), 신선한 과실과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청과(靑果), 푸른 빛을 청색(靑色), 푸른 빛깔의 구름을 청운(靑雲), 청기와로 푸른 빛깔의 매우 단단한 기와를 청와(靑瓦), 푸른 산봉우리를 청봉(靑峰), 푸른 이끼가 난 무덤을 청총(靑冢), 참깨의 잎을 청양(靑陽), 싱싱한 푸른 풀을 청초(靑草), 푸른 귤의 껍질을 청피(靑皮), 창기의 집을 청루(靑樓), 푸른 하늘을 청명(靑冥), 푸른 치마를 청상(靑裳), 남을 기쁜 마음으로 대하는 뜻이 드러난 눈초리를 청안(靑眼), 바늘로 살갗을 찔러서 먹물 따위를 들인 글씨나 그림이나 무늬 또는 그렇게 만든 몸을 자청(刺靑), 봄에 파랗게 난 풀을 밟고 거닒을 답청(踏靑), 늘 푸름을 상청(常靑), 구리에 녹이 나서 생기는 푸른 빛깔을 벽청(碧靑), 흰 바탕에 연한 푸른빛의 잿물을 올린 도자기 또는 그러한 빛을 영청(影靑), 검은빛을 띤 푸른 빛을 아청(鴉靑), 역사책 또는 기록을 한청(汗靑), 청운의 뜻이라는 말로 남보다 훌륭하게 출세할 뜻을 갖고 있는 마음을 일컫는 말을 청운지지(靑雲之志),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하는 말을 청출어람(靑出於藍), 맑게 갠 하늘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벼락이라는 뜻으로 돌발적인 사태나 사변을 이르는 말을 청천벽력(靑天霹靂), 푸른 산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말을 거침없이 잘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청산유수(靑山流水), 전도가 유망한 젊은 사내들을 일컫는 말을 청년자제(靑年子弟), 푸른 산과 푸른 물이라는 뜻으로 산골짜기에 흐르는 맑은 물을 이르는 말을 청산녹수(靑山綠水), 입신출세를 위한 원대한 포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청운만리(靑雲萬里), 나이가 젊어서 남편을 여읜 여자를 일컫는 말을 청상과부(靑孀寡婦) 등에 쓰인다.
▶️ 梅(매화 매)는 ❶형성문자로 坆(매)는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每(매)로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梅자는 '매화나무'를 뜻하는 글자이다. 梅자는 木(나무 목)자와 每(매양 매)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每자는 '늘'이나 '마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 하고 있다. 매화나무는 본래 某(아무 모)자가 먼저 쓰였었다. 하지만 후에 '아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자 梅자가 매화나무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梅자는 매화나무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지만 예로부터 매화를 인내나 기품, 품격의 상징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는 사군자(四君子)를 매란국죽(梅蘭菊竹)이라고 했다. 그래서 梅(매)는 성(姓)의 하나, ①매화(梅花)나무, 매실(梅實)나무(장미과의 낙엽 소교목) ②매우(梅雨: 매실나무 열매가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 장마) ③신맛 ④장마(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이나 날씨) ⑤어둡다, 희미(稀微)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매화나무의 열매를 매실(梅實), 매화를 치는 일 또는 그림을 매화(梅畫), 매화와 난초를 매란(梅蘭), 매화와 복숭아꽃을 매도(梅桃), 매화와 대나무를 매죽(梅竹), 매화나무의 숲을 매림(梅林), 매화꽃이 피었다는 소식으로 봄소식을 일컬음을 매신(梅信), 매화를 키우는 온실을 매실(梅室), 매화꽃의 향기를 매향(梅香), 익어서 누렇게 된 매화나무의 열매를 황매(黃梅), 푸른 빛깔의 매화나무 열매를 청매(靑梅), 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슬리어 말린 매화나무의 열매를 오매(烏梅), 매화나무 열매를 익어서 떨어질 무렵에 소금에 절인 것을 염매(鹽梅), 매화 핀 경치를 찾아 구경함을 탐매(探梅), 겨울에 피는 매화를 한매(寒梅), 봄에 피는 매화를 춘매(春梅), 먹으로 그린 매화를 묵매(墨梅), 매화를 아내로 삼고 학을 자식으로 삼는다는 뜻으로 선비의 풍류 생활을 두고 이르는 말을 매처학자(梅妻鶴子),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 즉 사군자를 일컫는 말을 매란국죽(梅蘭菊竹), 매화나무는 심은 뒤 12년 만에 열매가 맺는다는 말을 매자십이(梅子十二), 매실은 시기 때문에 이야기만 나와도 침이 돌아 해갈이 된다는 뜻으로 매실의 맛이 아주 심 또는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음을 이르는 말을 매림지갈(梅林止渴), 같은 뜻으로 망매해갈(望梅解渴), 망매지갈(望梅止渴) 등에 쓰인다.
▶️ 竹(대 죽)은 ❶상형문자로 대나무 잎의 모양으로 대나무를 나타낸다. 竹(죽)의 옛 모양은 筍(순; 죽순) 따위의 글자에 붙어 있는 것에 의하여 알 수가 있다. ❷상형문자로 竹자는 '대나무'나 '죽간'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竹자는 두 개의 대나무 줄기와 잎사귀가 늘어져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竹자를 보면 잎사귀만 늘어져 있는 모습만이 그려져 있었으나 금문에서 부터는 대나무와 잎사귀가 함께 표현되었다. 竹자는 '대나무'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대나무를 이용해 만든 물건이나 '죽간(竹簡)'을 뜻하게 된다. 또 부수로 쓰일 때는 모양이 바뀌게 되어 단순히 잎사귀 만이 표현된다. 그래서 竹(죽)은 (1)곡식을 물에 풀리도록 흠씬 끓여 훌훌하게 만든 음식 (2)팔음(八音)의 한 가지 대로 만든 관악기(管樂器)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대, 대나무 ②대쪽(댓조각), 댓조각(대를 쪼갠 조각), 죽간(竹簡: 글자를 기록하던 대나무 조각) ③부챗살 ④피리(악기의 하나) ⑤죽(세는 단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대로 만든 창을 죽창(竹槍), 대로 만든 그릇을 죽기(竹器), 대나무를 가랑이 사이에 끼워서 말로 삼은 것을 죽마(竹馬), 대나무 숲을 죽림(竹林), 대로 만든 칼을 죽도(竹刀), 대자리를 죽석(竹席), 대나무의 가지를 죽지(竹枝), 대나무의 잎을 죽엽(竹葉), 대의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 어리고 연한 싹을 죽순(竹筍), 우거져서 숲을 이룬 대나무의 떨기를 죽총(竹叢), 가는 대통에 불을 지르거나 또는 화약을 재어 터뜨려서 소리가 나게 하는 물건을 폭죽(爆竹), 소나무와 대나무를 송죽(松竹), 나무와 대나무를 목죽(木竹), 산에서 나는 대나무를 산죽(山竹), 푸른 대나무를 녹죽(綠竹), 먹으로 그린 대나무를 묵죽(墨竹), 단면이 네모가 난 대나무를 방죽(方竹), 껍질을 벗긴 대나무를 백죽(白竹),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가까이 지내며 자란 친구를 이르는 말을 죽마고우(竹馬故友), 대지팡이와 짚신이라는 뜻으로 먼 길을 떠날 때의 간편한 차림을 이르는 말을 죽장망혜(竹杖芒鞋), 죽마을 타고 놀았던 오랜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자란 친구를 이르는 말을 죽마교우(竹馬交友),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 없다고 생각한 것도 소홀히 하지 않으면 후에 긴히 쓰인다는 말을 죽두목설(竹頭木屑), 비가 온 뒤에 솟는 죽순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일시에 많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을 우후죽순(雨後竹筍),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강대하여 대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 또는 세력이 강하여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 모양을 일컫는 말을 파죽지세(破竹之勢),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 즉 사군자를 일컫는 말을 매란국죽(梅蘭菊竹), 깨끗한 땅에는 소나무를 심고 지저분한 땅에는 대나무를 심음을 이르는 말을 정송오죽(淨松汚竹), 저지른 죄가 너무 많아 이루 다 적을 수 없다는 말을 경죽난서(磬竹難書) 등에 쓰인다.
▶️ 馬(말 마)는 ❶상형문자로 말의 모양으로 머리와 갈기와 꼬리와 네 다리를 본떴다. 개는 무는 것을, 소는 뿔을 강조한 자형(字形)이지만 말의 경우에는 갈기를 강조하고 있다. 부수로 쓰일 때 말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❷상형문자로 馬자는 '말'을 그린 글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馬자를 보면 말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큰 눈과 갈기가 함께 그려져 있었다. 그러나 소전으로 넘어오면서 머리와 갈기는 간략화 되었고 해서에서는 다리가 점으로 표기되면서 지금의 馬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말은 고대부터 사냥과 전쟁에 이용되었지만 주로 먼 거리를 달리는 용도로 쓰였다. 그래서 馬자가 부수로 쓰인 글자들은 주로 '(말을)타다'나 '가다', 말의 행위, 동작과 관계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馬(마)는 (1)성(姓)의 하나 (2)말 등의 뜻으로 ①말(말과의 포유류) ②벼슬의 이름 ③산가지(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④큰 것의 비유 ⑤아지랑이 ⑥나라의 이름, 마한(馬韓) ⑦크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마구간을 마사(馬舍), 말의 똥을 마분(馬糞), 말을 타는 재주를 마술(馬術), 말이 끄는 수레를 마차(馬車), 말을 부리는 사람을 마부(馬夫), 말을 타고 떼를 지어 다니는 도둑을 마적(馬賊), 말의 몇 마리를 마필(馬匹), 말의 다리를 마각(馬脚), 말을 매어 두거나 놓아 기르는 곳을 마장(馬場), 경마할 때에 파는 투표권을 마권(馬券), 말을 타고 나감으로 선거에 입후보함을 출마(出馬), 수레와 말을 거마(車馬), 자기가 사랑하는 말을 애마(愛馬), 타는 말이나 말을 탐을 기마(騎馬), 걸음이 느린 말이나 둔한 말을 노마(駑馬), 걸음이 썩 빠른 말 한마를 준마(駿馬), 말에서 떨어짐을 낙마(落馬), 말이 빨리 달리는 것을 겨룸을 경마(競馬), 말을 탐으로 사람이 말을 타고 여러 가지 동작을 하는 경기를 승마(乘馬), 대나무를 가랑이 사이에 끼워서 말로 삼은 것을 죽마(竹馬), 기차를 말에 비유한 일컬음을 철마(鐵馬), 말의 귀에 동풍이라는 뜻으로 남의 비평이나 의견을 조금도 귀담아 듣지 아니하고 흘려 버림을 이르는 말을 마이동풍(馬耳東風), 말의 다리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숨기려던 정체가 드러남을 이르는 말을 마각노출(馬脚露出), 말의 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옛날에는 전사한 장수의 시체는 말가죽으로 쌌으므로 전쟁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마혁과시(馬革裹屍), 말이나 소에 의복을 입혔다는 뜻으로 학식이 없거나 예의를 모르는 사람을 조롱해 이르는 말을 마우금거(馬牛襟裾), 달리는 말은 말굽을 멈추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난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더욱 발전하고 정진하자는 뜻을 이르는 말을 마부정제(馬不停蹄), 말도 갈아타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예전 것도 좋기는 하지만 새것으로 바꾸어 보는 것도 즐겁다는 말을 마호체승(馬好替乘)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