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풀다보니 궁급해졌는데요
a상, b상, c상 전압이 100V 이라고 할 때
Y결선일때는 a상 , b상, c상 전압을 벡터적으로 다 더하면 중성점에서 0V가 되고 선간전압은=Va-Vb 해서 100루트3배이 되구요
델타결선의 선간전압은 상전압과 같아서 100V가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 델타결선 선간전압은 키리히 호프법칙에 따라 a상, b상 c상을 다 더해야 계산해야되는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렇게 더하면 선간전압은 0V라는 결론이 나오는데, 이 0V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델타결선에서 b상과 c상을 더하고 a상을 더하면 0v가 되더라구요..
2. 델타결선에서 만약, a상이 고장나면 b상과 c상으로 v결선하여 전압을 공급해야 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b와 c상의 합은 a상과 반대니까
-180도 늦은 위상으로 공급되는것 아닌가 궁금합니다.
a상이 고장나는 순간 -180도로 공급되면 순간적으로 기기에 전압 2배의 전압이 걸리지 않는지도 궁금하구요
이거 집고 넘어가야 실기 문제 편히 풀수있을거같네요
도와주세요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1. a, b, c상 전원을 직렬로 연결할 경우 3상 전체의 전압이 0v가 되는 것이 맞지만,
y결선이나 델타 결선을 하면 각 선간에서 나가는 전압은 0v가 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한상의 전압이 220v라고 할 때, 3상 전체의 전압을 660v라고 하지 않고 220v라고 합니다.
따라서 3상 전압을 말할때에는 한상..혹은 선간의 전압을 말합니다.
2. a,b,c상으로 운전하다가 갑자기 b,c상으로 운전하는 것이 아닙니다.
조건이 부합할 경우 b,c상으로 운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