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옛님의 정취. 그 향기를 따라 원문보기 글쓴이: 시니브로
전라남도 담양과 곡성 답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3일 동안에 이곳을 모두 들를 수는 없겠지만 일단 출발 전에는 의욕이 넘칩니다^^
뭐, 실제로는 이 가운데 4분의 1이나 5분의 1 정도 가면 다행이겠지만요.
쥔장님 답사기, 도굴단두목님 블로그도 참조하여 작성한 목록 살펴보시고 찾기 어려운 문화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화재에 대한 정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찾기 어려울 것 같은 문화재는 굵은 글씨와 밑줄로 표시하였습니다.
담양군
<대전면>
천연기념물 제284호 담양대치리느티나무(潭 대치리 787-1 소 유 자 한재초등학교
담양 대치리 석불상 (대치리 / 한재 초등학교 교사 앞쪽 노거수 옆으로 옮겨
시도유형문화재 제270호 (담양군) 명 칭 담양척서정(潭陽滌暑亭) 대치리 1038-4번지
시도기념물 제16호 담양오충정려(潭陽五忠旌閭) 평장리 265
시도기념물 제200호담양평장동광산김씨유허비(潭陽平章洞光山金氏遺墟碑) 평장리 204번지
<수북면>
문화재자료 제223호 담양 황금리 금구동고분: 황금리 77(금구동마을) 시대 백제
시도기념물 제187호 담양고성리월성산고분군: 고성리 710-23 외(월성산)
문화재자료 제13호 수북학구당(水北學求堂): 오정리 276
전 중정사지: 수북면 궁산리 산 71// 이 절터 암벽 단애면 두 곳에 고려 말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마애불이 각 한 분씩 조각되어 있다.
전 중정사지 마애상: 높이 20m와 너비 10m에 달하는 거대한 암벽 단애면에 여러개의 선으로 인물 윤곽을 새긴 마애불로서 얼굴과 어깨 및 몸통의 외곽선을 4조선으로 구획하고 가슴에는 흉배를 차고 광배는 화염문을 표현한 듯하다. 배 아랫부분은 탈락이 심하여 입상인지 좌상인지 분명치 않으나 대강의 윤곽선을 살펴보면 입상으로 판단된다.
전 중정사지 마애여래좌상: 암벽 하단에 생긴 자연적인 암음을 이용하여 천연 감실을 만들고 거기에 새긴 선각 마애불이다. 꽃무늬 대좌와 물방울 형태의 거신 광배를 갖춘 이 마애불은 두광과 신광까지도 갖추었다. 육계가 볼록하고 눈, 코, 입은 형태만 조각하였으며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양 어깨에 가사를 걸친 통견이다.
<월산면>
용흥사(龍興寺) :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574
용흥사 당간지주/용흥리 574 /절 입구의 대나무 식당 앞 길가 좌우에 위치한다. 괘불지주의 구멍이 원형과 방형으로 구분되어 2종류의 괘불지주로 판단되며
시도유형문화재 제139호용흥사부도군(龍興寺浮屠群) 수량/면적 7기 /용흥리 산86-1 . 용흥사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자리잡음
보물 제1555호 담양용흥사 순치원년명 동종(潭陽 龍興寺 順治 元年銘 銅鍾)
대웅전 기단 아래 소맷돌
<담양읍>
문화재자료 제267호 담양 호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만성리 70 호국사
문화재 제103호 담양향교(潭陽鄕校) / 향교리 323
천연기념물 제366호 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담양읍 객사리, 남산리 일원 시도유형보물 제505호 담양읍석당간(潭陽邑石幢竿): 담양읍 객사리 45 고려시대
보물 제506호 담양읍오층석탑 담양읍 지침리 4
보물 제737호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 담양읍 남산리 106 /용화사
문화재자료 제21호 천변리석인상(川邊里石人像) /천변리 167-2
[천변리마을회관 등지고 좌측, 주차차량에 가릴 수도]
문화재자료 제18호 남희정(南喜亭) 수량/면적 1동 /백동리 산27-1
<봉산면>
시도기념물 제6호 면앙정: 제월리 402
<용면>
문화재자료 제19호 보리암(菩提庵): 월계리 산81-1/ 지금도 이 암벽에는 담양부사 조철영이 헌종 6년(1840)에 새겨놓은 「김충장공 덕령부인흥양이씨만력정유매담양추월산왜적순절처(金忠壯公 德齡夫人興陽李氏萬曆丁酉罵潭陽秋月山倭賊殉節處□)」라는 명문이 남아있다.
용추사(龍秋寺):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용연리 833
용추사 부도군(龍秋寺浮屠群): 용연리 833 /이들은 가마골에서 올라오는 옛 절 입구 길 오른편의 편평한 대지 위에 자리한다. 부도는 모두 6기인데 백양사로 옮겨진 소요당 부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크게 훼손되어 있고 복원되지 못하였다.
보국사지 당간지주: 용면 도림리/ 금성산성 내 분지 민가 터/ 마름모꼴 석재, 96cm, 1기
<금성면>
연동사지(煙洞寺址):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산 91-3 [경내 석장승 2기]
문화재자료 제188호 연동사지지장보살입상(煙洞寺址地藏菩薩立像) /이 석불은 금성산성 남쪽 높이 약 20m쯤 되는 암벽 바로 밑에 석탑과 같이 보존되어 있다.
문화재자료 제200호 담양연동사지3층석탑(潭陽煙洞寺址3層石塔)
시도기념물 제168호 담양 원율리 오평마을 왕버들나무/원율리 543-2 /마을의 서쪽 논과 하천 사이에 4그루의 왕버들이 남북 방향으로 심어져 있는데, 그 길이가 약 70m에 이른다.
문화재자료 제260호 담양송진우고택(潭陽 宋鎭禹 古宅) /대곡리 541-1
<고서면>
시도기념물 제44호 담양후산리 명옥헌원림(潭陽后山里鳴玉軒苑林) 산덕리 513
시도기념물 제45호 담양후산리은행나무(潭陽后山里銀杏나무) 산덕리 485-1
시도유형문화재 제104호 창평향교(昌平鄕校) 교산리 138
문화재자료 제221호 담양 성월리 월전고분: 성월리 379 외(월전마을)
시도유형문화재 제143호 영은사석조여래좌상(靈隱寺石造如來坐像) 금현리 133
문화재자료 제135호 영은사석불좌상(靈隱寺石佛坐像)
승상[땅에 묻음?// 촬영 허락 받으려면 정중하게 예를 갖출 것]
금현리사지 2(영원사지?) 석불: 금현리 135. 항마촉지인, 결가부좌. 대좌 없고 주형 광배. 편단우견/ 사지에 3*2 암자 있음[영은사와 혼선?]
문화재자료 제12호 수남학구당(水南學求堂) 분향리 1
분향리 사지(分香里寺址): 고서면 분향리 산 15/ 용대마을 뒷산의 석불입상 주변에
시도유형문화재 제144호 담양분향리석불입상(潭陽分香里石佛立像) 분향리 산15
분향리 용태마을 뒤편 야트막한 야산 구릉지대. 개인 소유 밭 가운데 위치
찾기 쉽지 않음. 현장에서 지도 재확인. 삼삼식당 지나 마을 끝까지 직진 후 좌회전[마을회관과 뜸팡의 향기 사이길로 가다 정면 집 나오면 우회전 숲 사이로 조금 더 감]
시도기념물 제99호죽림재(竹林齋) 분향리 338 //죽림매
<남면>
보물 제111호 담양 개선사지 석등 (潭陽 開仙寺址 石燈): 남면 학선리 593-2
개선사지(開仙寺址) :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학선리 593
담양 학선리 미륵: 학선리 개선 마을의 석장승으로 “미륵”이라고 신앙
명승 제40호 담양소쇄원(潭陽 瀟灑園) / 지곡리 123번지 //소쇄매
서봉사지(瑞峯寺址) :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정곡리 절곡
건물의 초석과 석탑의 부재, 석등의 부재, 괘불지주 부재 등이 여기저기서 발견된다.
서봉사지 석조 보살 입상 (瑞峯寺址石造菩薩立像): 증심사 이건
서봉사지 삼층석탑(瑞峯寺址三層石塔) 서봉사지 부도 : 전남대 이건
시도기념물 제141호 담양 경상리느티나무/ 경상리 365
<대덕면>
시도유형문화재 제54호 담양몽한각(潭陽夢漢閣) 매산리 32-1
시도민속자료 제36호 담양미암사당(潭陽眉巖祠堂) 장산리 213
문화재자료 제180호 담양김선기가옥(潭陽金善基家屋): 장산리 341 장산리 마을 맨 위쪽
<창평면>
문화재자료 제17호 상월정(上月亭) 용수리 산76
등록문화재 제265호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옛 담장 三支川/ 삼천리 82-1 등
시도민속자료 제5호 담양고재선가옥(潭陽高在宣家屋) 삼천리 366-1
시도민속자료 제37호담양고재환가옥(潭陽高在煥家屋) 삼천리 155-1
시도민속자료 제42호 창평춘강고정주고택(昌平 春崗 高鼎柱古宅) 삼천리 411
문화재자료 제222호 담양창평리고분(潭陽昌平里古墳) 창평리 647-3 외
담양 창평 초등학교 석탑재 (潭陽昌平初等學校石塔材) 창평리/ 옥개석 5개
담양 창평리 문인석형 미륵 (潭陽昌平里文人石型彌勒) 창평리 201 창평농협 뒷쪽 방향인 청화 약방 맞은편 골목을 쭉 가다 보면 골목 길가에 있는 이 석상은 “미륵불”로 신앙됨
시도민속자료 제41호 창평장전이씨고택(昌平 長田 李氏古宅) 장화리 장전마을 498
문화재자료 제192호 담양유종헌가옥(潭陽柳宗憲家屋) 해곡리 230//와송당매
<무정면>
영천리 사지 마애여래좌상 (靈泉里寺址磨崖如來坐像): 영천리 산 1[영천리 산 56, 죽산]
영천리 남쪽 부처골에 위치한 이 석불좌상은 자연 암반의 한쪽면을 잘 다듬어 만든 마애불
담양 성도리 석불입상: 성도리 134 /도동마을의 저수지 위쪽의 계곡 평지에 위치/시멘트 보호각[도동 마을 진입, 올레 kt 좌측 마을 직진으로 통과. 저수지길 중간 104번지]
시도유형문화재 제192호 담양오룡리석불입상(潭陽五龍里石佛立像): 오룡리 산38
오룡리 외당 마을 동쪽으로 1㎞가량 떨어져 있는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는 불상이다.
천연기념물 제482호 담양봉안리은행나무/ 봉안리(술지마을)1043-3
문화재자료 제20호 언곡사지삼층석탑(彦谷寺址): 봉안리 68/[언곡사 법당 뒤 연등 따라서]
비봉산의 언곡사터로 전하는 곳에 있었던 탑으로, 1927년 무정초등학교로 옮겨 세웠다가 1996년 다시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해 놓았다.
곡성군
<오산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호 관음사(觀音寺): 오산면 선세리 2 //어람관음석불좌상
전라남도 성덕산에 있는 관음사는 백제 분서왕 3년(300) 성덕보살이 세운 절이다. 한국전쟁으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던 원통전과 금동관음보살이 소실되었다.
곡성 율천리 석장승 (谷城栗川里石長) 오산면 율천리 율촌 [인근 입석과 남근석]
율촌 마을 100m 전방 도로변 좌우에 1개씩 있다. 우측의 것이 남상으로 눈썹은 ‘V’자형으로 수염이 길게 늘어 뜨려져 있다. 크기는 140×80×33cm이다. 좌측의 것은 여자상으로 눈썹은 ‘일(一)’자형이고 훨씬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크기는 115×75×15cm이다.
보물 제1322호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谷城 柯谷里 五層石塔) 오산면 가곡리 2
가곡리 매봉 북쪽 경사면에 위치한 절터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얹은 모습이다. 지붕돌 위에 또다른 돌로 몸돌받침을 만들어 몸돌을 괴고 있는 점
곡성 가곡리 석장승 (谷城柯谷里石長) 오산면 가곡리 가곡
가곡리 가곡 마을 100m 전방 도로변 양 쪽에 마주보고 2기가 서 있다. 우측의 것이 남상으로 머리 위에는 갓을 썼고 수염이 세 가닥 어깨 밑까지 내려와 있다. 얼굴의 표정은 험난하지 않고 온화하다. 크기는 230×60×35cm이다. 좌측의 것은 여상으로 남상보다 온화한 표정이다. 크기는 210×60×25cm이다. 금명문(金名文)은 없다.
<옥과면>
수도암 (修道庵) :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운곡리 산 613
신라의 설두화상이 수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아무런 기록이 없어 전해내려 오는 것에 불과하며 현재 암자는 1928년 9월 경에 박민수가 창건하면서부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수도암잣나무및매화나무 ( 옥과면 설옥리 613
잣나무의 나이는 1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5m, 둘레 2.30m이다. 매화나무의 나이는 1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4.15m, 둘레 1.12m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9호 옥과향교 (玉果鄕校) 옥과면 옥과리 14-1
조선 영조 31년(1755)에 현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정조 20년(1796)에 수리하였으며, 고종 광무 2년(1898)에 다시 고쳐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민속문화재 제2호 옥과성황당목조신상: 옥과면 옥과리 154-4 [옥과리 노인정 안]
옥과 성황당 안에 보존되어 있는 남녀 한 쌍의 목상(木像)이다. 높이가 각각 84㎝, 68㎝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호 유월파정열각 (楡月坡旌烈閣) 옥과면 합강리 48
유월파 정열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왜적과 싸우다 죽은 유팽로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인조 3년(1625)에 세운 건물이다. ‘월파’라는 이름은 장군의 호인 월파에서 비롯.
유월파 정열각이 있는 옥과면 북쪽 끝에는 장군의 말무덤이 있다.
<입면>
곡성 서봉리 석장승 (谷城棲鳳里石長) 입면 서봉리 탑동
탑동 마을 입구의 당산나무 아래에 서로 마주 보면서 장승이 서 있다. 장승의 외형은 반듯하지 않고 많이 구부러진 형상이다. 윗 부분에 얼굴을 표현하고 그 밑에 각각 ‘북방대장군’, ‘남방대장군’이라 음각하였으며 크기는 146×37×43cm, 120×40×45cm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55호 군지촌정사 (涒池村精舍) 입면 제월리 288
섬진강이 반달꼴로 끼고 돌며 멀리 광주 무등산까지 거침없이 바라보이는, 풍수지리상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자리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조선 후기의 건물로 '군지촌정사'는 사랑채의 이름이며, 안채, 대문간채와 더불어 전체를 이루고 있다.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18세기 중엽에 건축되었다고 하나 안채는 19세기 초 정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곡성함허정 (谷城涵虛亭) 입면 제월리 1016
조선 중종 38년(1543) 심광형이 이 지역 유림들과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정자로 일명 호연정이라고도 한다. 증손자 심민각이 오래된 정자를 옛 터 아래쪽으로 옮겨 다시 지었으며 5대손 심세익이 고쳤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80년에 수리를 한 것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곡성충렬사(谷城忠烈祠) 곡성군 입면 삼오리 산60
박언배와 그의 부인 이씨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박연의 후손인 박언배는 조선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안주싸움에서 전사하였다. 그리고 남편의 전사 소식을 들은 부인 이씨 또한 뒤따라 목숨을 끊었다. 그 후 순조 5년(1805)에 박언배와 부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사당이다.
<겸면>
곡성 현정리 석불 입상 (谷城玄亭里石佛立像) :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현정리 537
현정리 현정 마을 뒷편 골짜기를 상박골이라 하는데 마을에서 농로를 따라 약 300m 정도 올라가면 길 바로 왼쪽에 석불입상 1기가 서 있다. 지금은 주변을 깨끗이 정리해 놓았으며 불상도 바로 세워 놓았다. 이 곳은 상박골 사지라 부르고 있다. 현재 이 불상은 허리 밑 부분까지 매몰되어 있어 그 아래 부분은 알 수 없고 파손이 심한 편이다. (현 불상고 100cm, 두고 30cm, 두폭 26cm, 견폭 43cm)
곡성 상덕리 석장승 (谷城上德里石長) :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상덕리 상덕
마을에 액운이 있다하여 세워 놓지 않고 현재 길가에 눕혀 놓았다. 상덕 마을 내에 있는 적석 선돌에서 약 5m 떨어져 1기가 있는데 전면이 하늘을 향하게 길가에 눕혀 있다. 새마을 사업으로 마을 안길을 시멘트 포장하면서 장승의 우측 일부에도 시멘트가 묻혀 있다. 얼굴에는 아무런 표정이 없고 머리위에는 관이 있으며 귀는 어깨에 닿고 있다.
<삼기면>
통명사(금계리사지) 석조여래입상 / 삼기면 금계리 355 /광배, 불신 대좌 하나의 돌
<석곡면>
곡성 죽산리 석불입상 (谷城竹山里石佛立像): 석곡면 죽산리 236 [? 산 27]
현재 죽산 마을 김점순 씨 집 옆 텃밭에 있는데 불상을 보호하기 위한 허름한 당우가 서 있다. 4매의 지대석상에 복엽팔신의 도형대연석이 놓여 있고 그 위에 여래입상이 서 있다. 그런데 석질이 서로 다르고 조각 수법과 양식이 달라 이곳이 원 위치인지가 불분명하다. 육계는 파손되었고 소발에 백호는 없다. 눈은 감고 있는 듯하며 코는 떨어져 나가 시멘트로 보강 되었으며 귀는 짧으며 삼도의 흔적이 보인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았는데 통견의 법의가 덮고 있어 수인의 형식은 알 수 없다. 양 발은 앞으로 노출되어 있다.(불상높이 236cm, 대좌고 31cm, 대좌지름 115cm)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석곡리석불입상 (石谷里石佛立像) 석곡면 석곡리 282-1
무릎 이하가 매몰되었지만 거대한 석불상의 예로 주목을 끌고 있다. 머리광배와 불신을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평평한 돌에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다.
<죽곡면>
유형문화재 제272호 곡성당동리석조여래좌상/죽곡면 당동리: (산)460 /당동리 산 2 - 절터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5호 곡성전화장사지석불좌상: 죽곡면 당동리 460
전라남도 기념물 제56호 용산재및덕양사(龍山齋및德陽祠) 中 용산재와 생가터: 목사동면 구룡리 180 //고려의 개국 공신 신숭겸(?∼927)의 탄생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군의 유적이다. 이 유적지에는 제사를 모시는 용산재와 구룡문, 유허비, 유허단 및 비각이 있으며 해마다 9월 중에 제사를 지낸다.
남양리사지 삼층석탑: 죽곡면 남양리 36(와룡부락 서북)/높이 1.5M -옥개석 등 부분적파손
죽곡면소재지 ->와룡체육공원 직전 좌회전(광주가든, 남양리회관 통과) 남양마을 삼거리에서 우회전(東) 약 4KM, 임도. 마을 없고 2~3가구. 200년 묵은 소나무 지나서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호 태안사 (泰安寺): 죽곡면 원달리 20
신숭겸 장군 비각 (申崇謙將軍碑閣)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신숭겸 장군은 곡성군 복사동면 구룡리의 출생자로 평산 윤씨 시조이며 고려건국 때 태조 왕건을 도와 개국 공신이 되고 또 대장군이 되었다. 태안사 입구에 있는 이 비각은 정면과 측면 각각 1칸의 팔작지붕으로 주심포 건물이다. 안에는 ‘장절공 태사 신선생 영적비’가 있고 그 측면에 '선생 몰후 일천 십년 중원 정축 구월일'이라 음각되어 있다.
<오곡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호 도동묘 (道東廟) 오곡면 오지리 463
안호가 조선 숙종 2년(1676)에 우리나라 주자학의 시조인 안향과 중국 송나라 주자를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사당 안에는 주자와 안향의 초상화가 놓여 있으며, 용의 모습을 한 향로와 술잔이 있다. 해마다 봄(3월 15일)과 가을(9월 15일)에 제사를 모시고 있다.
전라남도 기념물 제56호 명 칭 용산재및덕양사 (龍山齋및德陽祠) 중 [덕양서원]
전남 곡성군 오곡면 덕산리 36,목사동면 구룡리 180 /덕양서원(德陽書院) 덕산리 16-1
평산 신씨의 시조이며 고려 개국 공신인 신숭겸 장군의 신당으로 조선 숙종 때 사액 받은 서원이며 고종 5년(1868) 대원군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다시 복원되어 지금은 신씨 문중과 호남 일대 유림들이 모여 춘추로 향사하고 있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0호 덕산사 (德山祠) 오곡면 덕산리 산27
고려 예종 때 원수 윤관(?∼1111) 장군과 부원수 오연총(1055∼1166) 장군을 모시는 사당이다. 선조 16년(1583)에 함경도 경성에 지은 이 사당은 1935년경 지금 자리로 옮겼다.
<곡성읍>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호 곡성향교 (谷城鄕校) 곡성읍 교촌리 190
곡성향교는 조선 선조 3년(1570)에 지었다고 전하지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중종(재위1506∼1544) 이전에 세운 것으로도 보인다.
등록문화재 제228호 곡성 단군전 (谷城 檀君殿) 곡성읍 학정리 99-2
소유자(소유단체) (사)국조단군 곡성숭모회 1931년 건립
이 건물은 단군왕검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3·1운동 당시 곡성에서 만세를 주도했던 신태윤(1885~1961)이 후학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건립하였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2호 도림사 (道林寺) 곡성읍 월봉리 327
도림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통일신라 헌강왕 2년(876) 도선국사가 고쳐 세웠는데 이 때 도인들이 숲같이 모여들어 절 이름을 도림사(道林寺)라 하였다고 한다.
현재 절 안에는 작은 규모의 법당인 보광전을 비롯하여 응진당, 지장전, 약사전, 칠성각, 요사채 등이 있다.
보물 제1341호 도림사괘불탱 (道林寺掛佛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271호 곡성도림사보광전목조아미타삼존불상
도림사 동종: 1706년 석곡면 방송리 운흥사에서 주조
도림사 부도군 (道林寺浮屠群)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327
도림사 당간지주 (道林寺幢竿支柱)
진광전으로 오르는 계단 양 쪽에 1쌍 4개와 그 뒤에 1개씩 모두 6개의 지주가 서 있다.
<고달면>
동진사 (東津祠) :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뇌죽리 907
고려 말 충신 충분공 백암 김재와 충정 용암 김수를 모신 사우이고 김재의 도해시(蹈海詩)와 김수의 도해녹둔형록(蹈海錄遯荊錄), 쌍절록(雙節錄)이 보관되어 있다.
연왕사 /061-362-9919: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목동리 68-1석조여래좌상(목 없음/매립
백곡리 사지 석불입상: 고달면 백곡리 (산)74/ 면소재지 ->남원으로 가는 60번 도로 부처고개 오른쪽 산자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