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과 기재부의 올해 경제성장율 전망이 하향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가장큰 요인은 7개월 연속되고있는 전년동기대비 마이너스 수출증가율입니다.
중국의 재개방 파급효과가 예상보다 낮고 3,000조에 육박하는 가계부채도 원인입니다.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 S&P는 1.1%, OECD는 1.6%, IMF는 1.5%로 하향전망했습니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1% 초반으로 예상합니다.
빠른 시일안에 수출의 전년대비 증가를 기록하기를 기대합니다.
Korea likely to slash 2023 growth forecast amid plunging exports
수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한국은 2023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가능성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3-05-07 16:29 Updated : 2023-05-07 17:38
Korea Times
Korea is leaning toward revising down its growth forecast for this year, in the face of a deepening export slump, a weaker-than-expected spillover effect of China's reopening and other worsening economic risks here and abroad.
수출 부진이 심화하고 중국의 재개방의 파급효과가 예상보다 약하고 국내외 경제상황이 악화하면서 한국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Earlier this year, both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Bank of Korea (BOK) estimated the country's economy to expand by 1.6 percent in 2023.
올해 초,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한국의 경제가 2023년에 1.6퍼센트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But their respective chiefs then hinted at the possibility of lowering the growth outlook last week, in a corresponding move to decreased projections announced by international financial organizations in recent months.
그러나 그들의 각 책임자들은 지난주 최근 수개월간 국제금융기구들이 발표한 전망치 감소에 상응하는 조치로 성장전망을 낮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The BOK is scheduled to announce its updated economic growth outlook during a monetary policy board meeting, May 25.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plans to do so by the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한은은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새로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상반기 말에 전망을 다시 할 계획이다.
"The government will think again over the growth outlook by comprehensively taking into account data from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concerning our economy,"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conomy and Finance Choo Kyung-ho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on the sidelines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s (ADB) annual meeting at Songdo Convensia in Incheon, Thursday.
“정부는 우리 경제와 관련된 다른 금융기관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성장 전망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이다,” 라고 추경호 기재부 장관은 목요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 개발은행 연례회의와 별도로 가진 기자회견에서 말했다.
He apparently backed away from his previous view in early April, when he said lowering the GDP forecast "is not in the government's scenario for the time being."
그는 지난 4월 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낮추는 것이 "당분간 정부의 시나리오에 있지 않다"고 했던 기존 견해에서 물러난 한 것으로 보인다.
Also on the sidelines of the ADB meeting, BOK Governor Rhee Chang-yong said during an interview that the central bank may reduce its growth estimate for Korea due to a "slower-than-expected economic recovery in China."
“또한 ADB(아시아개발은행) 회의와는 별도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인터뷰에서 한은이 “중국의 기대 이하의 경제회복으로” 한국에 대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The BOK chief was referring to China's reopening after years of pandemic lockdowns, which was highly anticipated to help revitalize Korea's export-reliant economy.
한은 총재는 수년간의 팬데믹으로 인한 폐쇄 이후 중국의 재개방을 언급하고 있었는데 이는 한국의 수출 의존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Sagging demand continued in China for Korea's key export products, while China's quarterly GDP beat market expectation and grew at 4.5 percent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2023.
한국의 주요 수출상품에 대한 중국의 수요는 계속 감소했고, 중국의 분기 GDP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2023년 1분기에 4.5% 성장했다.
For instance, Korea's semiconductor exports plummeted 41 percent year-on-year in April, continuing to decline for the ninth straight month, according to data compil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예를 들어,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4월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1% 급감해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Outbound shipments of petroleum products to China also fell 27.3 percent year-on-year during the cited period.
중국으로의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27.3% 감소했다.
With a weaker-than-expected spillover effect from China's reopening, Korea's exports worldwide slid 14.2 percent year-on-year to $49.6 billion in April, extending a losing streak for the seventh consecutive month.
중국의 재개방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예상보다 약해지면서 4월 전세계 한국의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4.2% 감소한 496억달러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The lackluster export performance adds further pressure on the Korean economy, already saddled with snowballing household debt, which amounted to nearly 3,000 trillion won in 2022, up 700 trillion won during the past five years.
수출 부진은 지난 5년간 700조가 증가해서 2022년에 3,000조원에 육박하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안고 있는 한국 경제를 더욱 압박하고 있다.
Consequently, global credit rating agency S&P cut the 2023 economic growth estimate for Korea to 1.1 percent, Wednesday, down from 1.4 percent in its previous outlook released in December.
이에 따라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S&P는 한국의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발표한 1.4%에서 1.1%로 낮췄다.
S&P's projection is the lowest among growth forecasts for Asia's fourth-largest economy announced by major institutions ―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reduced its economic outlook for the fourth straight time to 1.5 percent in April, while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lso lowered Korea's growth outlook by 0.2 percentage point to 1.6 percent in April.
S&P의 전망은 주요 기관들이 발표한 아시아 4위 경제대국에 대한 성장률 전망치 중 가장 낮다. – 국제통화기금(IMF)은 경제전망을 4번 연속 하향해서 1.5%로 낮추었고, OECD는 4월에 한국경제전망을 0.2% 낮춘1.6%로 하향했다.
Sung Tae-yoon, a Yonsei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speculated the Korea's growth may fall to the low 1 percent range this year after growing 2.6 percent in 2022.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2022년 2.6% 성장에 이어 올해는 한국의 성장률이 1% 초반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The government thus should take all possible measures to tackle risks, both domestic and overseas," Sung said.
“따라서 정부는 국내외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고 성교수는 말했다.
#S&P한국경제성장전망1.1% #IMF1.5% #OECD1.6% #한국은행1.6% #중국재개방효과 #가계부채3,000조 #수출성장율7개월연속마이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