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명안량(心明眼亮)
마음이 밝으면 눈도 환하다
心 : 마음 심(心/0)
明 : 밝을 명(日/4)
眼 : 눈 안(目/6)
亮 : 밝을 양(亠/7)
1534년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이 34세로 문과에 급제하여 첫 번째 벼슬인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 임명되었다. 얼마 뒤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 겸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에 추천되었으나 임명되지 못했다.
여기에는 곡절이 있었다. 선생의 처숙부 권전(權磌)이 간신 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는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했고, 그 형인 퇴계의 장인 권질(權礩=둘째부인)은 귀양을 갔다. 죄인의 사위가 사관(史官)이 될 수 없다는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예문관 검열이란 자리는 최고로 영예로운 자리로, 학문 있고 문장 잘하고 글씨 잘 쓰는 젊은 관원이 발탁되는 깨끗한 요직이었다. '죄인의 사위'라는 것은 표면적인 이유였고, 실제로 막은 자는 간신 김안로(金安老)였다.
그 당시 김안로는 온 조정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권력을 갖고 있었다. 이조판서, 대제학 등등 겸직이 한명회(韓明澮)보다도 더 많았다. 아들이 중종의 사위였다. 본인이 문과 장원급제할 정도로 학문과 문장이 있었다. 사람됨이 간사하고 음험하여 한평생 남을 모해하고 사건을 꾸며 많은 사람을 죽이거나 귀양보냈다.
그런데 김안로는 영주(榮州: 조선시대는 榮川) 사람이었다. 퇴계선생의 처가도 영주다. 장인 진사 허찬(許瓚: 첫 부인)은 김안로와 동갑이고, 진사에 동반급제한 관계였다. 또 퇴계의 형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처가도 영주이고, 김안로의 먼 친척이었다.
퇴계선생이 관직에 나오자, 김안로는 어느 집 아들이라는 것을 훤히 알고 있었다. 자기에게 당연히 인사하러 오겠지 하고 기다렸으나, 오지 않았다. 얼마 뒤 김안로가 좀 보자고 불렀으나, 가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은 줄을 대어 다투어 자기를 만나려고 하는 판국이었다. 김안로가 속으로 "내가 부르는데도 안 와?"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때 퇴계의 진출을 막았던 것이다.
퇴계선생이 평생 학자의 길을 걸었으니, 흔히 부드러운 분이라는 선입관을 가진 사람이 많다. 그러나 제자 문봉(文峯) 정유일(鄭惟一)이 지은 언행통술(言行通述)에 보면, "의리상 옳은 일에는 용감하게 나가고, 옳지 않은 일에는 꺾이거나 흔들리지 않았다(理所宜爲, 勇往直前, 不挫不撓)"라는 기록이 있다. 이때 김안로를 만나러 갔다면 위대한 퇴계선생은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사람의 한 번의 행동이 천추의 평가를 좌우한다.
맹자(孟子)에 "스스로 돌아보아 바르면 비록 천만 사람이 막을지라도 나는 행한다(自反而縮, 雖千萬人, 吾往矣)"라는 구절이 있다. 이런 것이 선비정신이다. 퇴계선생이 이를 잘 실천하였다.
퇴계선생이 어떻게 이런 굳센 실천을 할 수 있었을까? 밝은 눈으로 세상을 바르게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왜? 마음이 공명정대했기 때문에. 김안로가 사악한 마음으로 불법을 계속 저지르는데 오래 갈 리 없다고 생각했다. 김안로는 과연 1537년 사돈 중종이 내린 사약을 받고 비참하게 최후를 마쳤다.
▶️ 心(마음 심)은 ❶상형문자로 忄(심)은 동자(同字)이다. 사람의 심장의 모양, 마음, 물건의 중심의, 뜻으로 옛날 사람은 심장이 몸의 한가운데 있고 사물을 생각하는 곳으로 알았다. 말로서도 心(심)은 身(신; 몸)이나 神(신; 정신)과 관계가 깊다. 부수로 쓸 때는 심방변(忄=心; 마음, 심장)部로 쓰이는 일이 많다. ❷상형문자로 心자는 '마음'이나 '생각', '심장', '중앙'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心자는 사람이나 동물의 심장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心자를 보면 심장이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심장은 신체의 중앙에 있으므로 心자는 '중심'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옛사람들은 감정과 관련된 기능은 머리가 아닌 심장이 하는 것이라 여겼다. 그래서 心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마음이나 감정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참고로 心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위치에 따라 忄자나 㣺자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心(심)은 (1)종기(腫氣) 구멍이나 수술한 구멍에 집어넣는 약을 바른 종이나 가제 조각 (2)나무 줄기 한 복판에 있는 연한 부분 (3)무, 배추 따위의 뿌리 속에 박인 질긴 부분 (4)양복(洋服)의 어깨나 깃 따위를 빳빳하게 하려고 받쳐 놓는 헝겊(천) (5)초의 심지 (6)팥죽에 섞인 새알심 (7)촉심(燭心) (8)심성(心星) (9)연필 따위의 한복판에 들어 있는 빛깔을 내는 부분 (10)어떤 명사 다음에 붙이어 그 명사가 뜻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마음, 뜻, 의지(意志) ②생각 ③염통, 심장(心臟) ④가슴 ⑤근본(根本), 본성(本性) ⑥가운데, 중앙(中央), 중심(中心) ⑦도(道)의 본원(本源) ⑧꽃술, 꽃수염 ⑨별자리의 이름 ⑩진수(眞修: 보살이 행하는 관법(觀法) 수행) ⑪고갱이, 알맹이 ⑫생각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물건 물(物), 몸 신(身), 몸 체(體)이다. 용례로는 마음과 몸을 심신(心身), 마음이 움직이는 상태를 심리(心理), 마음에 품은 생각과 감정을 심정(心情), 마음의 상태를 심경(心境), 마음 속을 심중(心中), 마음속에 떠오르는 직관적 인상을 심상(心象), 어떤 일에 깊이 빠져 마음을 빼앗기는 일을 심취(心醉), 마음에 관한 것을 심적(心的), 마음의 속을 심리(心裏), 가슴과 배 또는 썩 가까워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심복(心腹), 본디부터 타고난 마음씨를 심성(心性), 마음의 본바탕을 심지(心地), 마음으로 사귄 벗을 심우(心友),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으로 묵묵한 가운데 서로 마음이 통함을 이르는 말을 심심상인(心心相印), 어떠한 동기에 의하여 이제까지의 먹었던 마음을 바꿈을 일컫는 말을 심기일전(心機一轉), 충심으로 기뻐하며 성심을 다하여 순종함을 일컫는 말을 심열성복(心悅誠服), 마음이 너그러워서 몸에 살이 오름을 일컫는 말을 심광체반(心廣體胖), 썩 가까워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심복지인(心腹之人), 높은 산속의 깊은 골짜기를 이르는 말을 심산계곡(心山溪谷), 심술꾸러기는 복을 받지 못한다를 이르는 말을 심술거복(心術去福), 마음이 번거롭고 뜻이 어지럽다는 뜻으로 의지가 뒤흔들려 마음이 안정되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심번의란(心煩意亂),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 심심풀이로 어떤 일을 함 또는 그 일을 일컫는 말을 심심소일(心心消日), 마음이 움직이면 신기가 피곤하니 마음이 불안하면 신기가 불편하다를 이르는 말을 심동신피(心動神疲), 심두 즉 마음을 멸각하면 불 또한 시원하다라는 뜻으로 잡념을 버리고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면 불 속에서도 오히려 시원함을 느낀다를 이르는 말을 심두멸각(心頭滅却), 마음은 원숭이 같고 생각은 말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안정되지 않아 생각을 집중할 수 없다를 이르는 말을 심원의마(心猿意馬) 등에 쓰인다.
▶️ 明(밝을 명)은 ❶회의문자로 날 일(日; 해)部와 月(월; 달)의 합해져서 밝다는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明자는 '밝다'나 '나타나다', '명료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明자는 日(날 일)자와 月(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낮을 밝히는 태양(日)과 밤을 밝히는 달(月)을 함께 그린 것이니 글자생성의 의도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밝은 빛이 있는 곳에서는 사물의 실체가 잘 드러나게 될 것이다. 그래서 明자는 '밝다'라는 뜻 외에도 '명료하게 드러나다'나 '하얗다', '똑똑하다'와 같은 뜻까지 파생되어 있다. 그래서 明(명)은 (1)번뇌(煩惱)의 어둠을 없앤다는 뜻에서 지혜 (2)진언(眞言)의 딴 이름 (3)사물의 이치를 판별하는 지력(智力)으로 이치가 분명하여 의심할 것이 없는 것 (4)성(姓)의 하나 (5)중국 원(元)나라에 뒤이어 세워진 왕조(王朝)로 태조(太祖)는 주원장(朱元璋) 등의 뜻으로 ①밝다 ②밝히다 ③날새다 ④나타나다, 명료하게 드러나다 ⑤똑똑하다 ⑥깨끗하다, 결백하다 ⑦희다, 하얗다 ⑧질서가 서다 ⑨갖추어지다 ⑩높이다, 숭상하다, 존중하다 ⑪맹세하다 ⑫밝게, 환하게, 확실하게 ⑬이승, 현세(現世) ⑭나라의 이름 ⑮왕조(王朝)의 이름 ⑯낮, 주간(晝間) ⑰빛, 광채(光彩) ⑱밝은 곳, 양지(陽地) ⑲밝고 환한 모양 ⑳성(盛)한 모양 ㉑밝음 ㉒새벽 ㉓해, 달, 별 ㉔신령(神靈) ㉕시력(視力) ㉖밖, 겉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밝을 금(昑), 밝을 돈(旽), 밝을 방(昉), 밝을 오(旿), 밝을 소(昭), 밝을 앙(昻), 밝을 성(晟), 밝을 준(晙), 밝을 호(晧), 밝을 석(晳), 밝을 탁(晫), 밝을 장(暲), 밝을 료(瞭), 밝힐 천(闡),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꺼질 멸(滅), 어두울 혼(昏), 어두울 암(暗)이다. 용례로는 명백하고 확실함을 명확(明確), 밝고 맑고 낙천적인 성미 또는 모습을 명랑(明朗), 분명히 드러내 보이거나 가리킴을 명시(明示), 분명하고 자세한 내용을 명세(明細), 밝고 말끔함을 명쾌(明快), 밝음과 어두움을 명암(明暗), 명백하게 되어 있는 문구 또는 조문을 명문(明文), 밝은 달을 명월(明月), 분명하고 똑똑함을 명석(明晳), 세태나 사리에 밝음을 명철(明哲), 똑똑히 밝히어 적음을 명기(明記), 일정한 내용을 상대편이 잘 알 수 있도록 풀어 밝힘 또는 그 말을 설명(說明), 자세히 캐고 따져 사실을 밝힘을 규명(糾明), 사실이나 의사를 분명하게 드러내서 밝힘을 천명(闡明), 날씨가 맑고 밝음을 청명(淸明), 흐리지 않고 속까지 환히 트여 밝음을 투명(透明), 틀림없이 또는 확실하게를 분명(分明), 마음이 어질고 영리하여 사리에 밝음을 현명(賢明), 어떤 잘못에 대하여 구실을 그 까닭을 밝힘을 변명(辨明), 의심나는 곳을 잘 설명하여 분명히 함을 해명(解明), 의심할 것 없이 아주 뚜렷하고 환함을 명백(明白), 어떤 사실이나 문제에서 취하는 입장과 태도 등을 여러 사람에게 밝혀서 말함을 성명(聲明),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하다는 말을 명약관화(明若觀火),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이라는 뜻으로 사념이 전혀 없는 깨끗한 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명경지수(明鏡止水),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명주탄작(明珠彈雀), 아주 명백함이나 아주 똑똑하게 나타나 의문의 여지가 없다는 말을 명명백백(明明白白),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말을 명모호치(明眸皓齒) 등에 쓰인다.
▶️ 眼(눈 안, 눈 불거질 은)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눈목(目=罒; 눈, 보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艮(간, 안)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眼자는 '눈'이나 '눈동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眼자는 目(눈 목)자와 艮(그칠 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艮자는 허리를 구부린 채 시선을 마주하지 못하는 사람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단순히 '보다'라는 뜻만을 전달하고 있다. 眼자는 눈을 강조해 그린 艮자에 目자를 결합한 것으로 '눈'이나 '눈동자'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目자도 눈을 그린 것이긴 하지만 주로 '보다'라는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眼자는 신체기관의 일부인 '눈'을 뜻하기 위해 별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참고로 眼자와 유사한 글자로는 眠(잠잘 면)자가 있으니 혼동에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眼(안, 은)은 (1)'눈 안'의 경우는 ①눈, 눈동자 ②구멍 ③안광(眼光), 시력(視力) ④요점(要點) ⑤어린 싹 ⑥거품 ⑦기수사(基數詞;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 양수사(量數詞; 기수사) ⑧보다, 만나다 등의 뜻이 있고 (2)'눈 불거질 은'의 경우는 ⓐ눈 불거지다(은) ⓑ눈 불거진 모양(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눈 목(目)이다. 용례로는 사물을 분별하는 견식을 안목(眼目), 눈으로 바라볼 수 있는 범위를 안계(眼界), 눈을 보호하거나 시력을 돕기 위해 쓰는 기구를 안경(眼鏡), 눈의 안이나 마음속을 안중(眼中), 시력을 높이어 일컫는 말을 안력(眼力), 눈알로 척추동물의 시각 기관인 눈구멍 안에 박혀 있는 공 모양의 기관을 안구(眼球), 늙어서 시력이 나빠진 눈을 노안(老眼), 어떤 일을 눈여겨 보아 그 일을 성취할 기틀을 잡음을 착안(着眼), 먼눈이나 눈먼 사람을 맹안(盲眼), 핏발이 선 눈이나 어떤 일을 이루려고 애가 달아 기를 쓰고 있는 상태를 혈안(血眼),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사람됨이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을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속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정든 사람이나 늘 생각하며 만나 보기를 원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안중지인(眼中之人), 눈은 높으나 손은 낮음이란 뜻으로 눈은 높으나 실력은 따라서 미치지 못한다를 이르는 말을 안고수비(眼高手卑), 눈빛이 종이의 뒤까지 꿰뚫어 본다는 뜻으로 독서의 이해력이 날카롭고 깊음을 일컫는 말을 안광지배(眼光紙背) 등에 쓰인다.
▶️ 亮(밝을 량/양)은 회의문자로 亮(량)은 동자(同字)이다. 어진사람인발(儿; 사람의 다리 모양)部와 高(고)의 생략형 '高에서 안의 口(구)를 뺀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부수(部首)는 사람, 사람이 높은 곳에 있으면 똑똑히 보이므로 '밝다'의 뜻이 있다. 또 고명(高明)한 인사는 남을 보좌(補佐)할 수 있으므로, 전(轉)하여 '돕다'의 뜻이 되었다. 그래서 亮(량/양)은 ①밝다, 환하다 ②분명해지다(分明---), 뚜렷하게 되다, 밝아지다 ③날이 밝다, 날이 새다 ④빛을 내다, 밝히다, 빛나다 ⑤드러내다, 나타내다 ⑥우렁차다, 크다, 분명하다(分明--) ⑦돕다 ⑧미쁘다(믿음성이 있다) ⑨높이다 ⑩참으로 ⑪진실로(眞實-) ⑫빛, 불빛, 밝음 ⑬양암(諒闇: 임금이 부모의 상중(喪中)에 있을 때 거처하는 방)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환하게 밝음을 양명(亮明), 아랫사람의 사정 따위를 밝게 살핌을 양찰(亮察), 소리가 매우 맑음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양랑(亮朗), 사정을 잘 알아서 용서하거나 허용함을 양허(亮許), 마음이 밝고 곧음을 양직(亮直), 창살 없는 창을 일컫는 말을 양창(亮窓), 소리가 맑고 깨끗함을 청량(淸亮), 맑고 밝은 모양을 유량(瀏亮), 바르고 성심이 있음을 정량(貞亮), 단정하고 진실함을 단량(端亮), 삼가 밝힘이나 삼가 정성을 다함을 인량(寅亮), 임금을 도와 천하를 다스림을 익량(翼亮), 도자기가 땅 속에 오래 파묻혀 있은 탓으로 썩어서 그 광택을 잃는 현상을 실량(失亮), 제갈량이 여자들 머리장식용 쓰개를 사마의에게 보내 욕 보였다는 뜻으로 큰일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참아야 하는 작은 모욕을 일컫는 말을 양유건괵(亮遺巾幗)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