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論語) 제2편 위정편(爲政篇) 4장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듯을 두고,
서른 살에 독립했고,
마흔에는 남의 유혹에 속아 넘어가지 않았고
쉰 살에는 천명을 알게 되었고,
예순 살에는 남의 말을 순순히 듣게 되었고,
일흔 살에는 내 마음대로 행동하여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게 되었다.” 라고 하셨다
공자의 일생을 단계적으로 정리하다.
이 장(章)은 공자가 자기의 일생을 6단계로 소상히 정리한 것으로서,
우리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는 내용으로 중고등 학교때
배운 것이다.
공자(孔子)는
1.지학(志學)
지학(志學)은 나이 15세를 뜻하기도 하며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어 성인(聖人)의 학문을 습득(習得)할 것을 결심하고
학문으로 인생의 기본적인 뜻을 세우게 된다.
2. 이입(而立)
30세를 뜻한다.
30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基盤)을 닦는 나이라는 뜻이다.
“이입(而立)”은 섰다는 뜻으로 한 사람의 독립된 인격체로 사회에 진출함을
뜻한다.
공자는 30세에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3.불혹(不惑)
나이 40세를 뜻한다.
40세에 학문에 자신을 얻게 되어 인간이 가야 할 방향을 확립하고,
남의 말에 유혹당하거나 흔들리는 일이 없게 되었고,
자기의 뜻대로 행할 수가 있게 되었다.
불혹(不惑)은 학문이 깊어져 의혹이 없어졌다는 것으로 세상 사물에 대해
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림이 없다는 것이다.
4. 지천명(知天命)
나이 50세를 뜻하며.
드디어 천명(天命)을 알게 된다는 나이다.
50세에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의 이치를 알았고,
학문을 성취하는 것이 하늘에서 내려준 사명(使命)이며,
도(道)를 세워 인류를 위하여 공헌(公憲)하는 길이 일생의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천명을 알았다함은(知天命) 학문을 갈고 닦아 후세에 전하는 것이
자신이 하늘로부터 받은 소명임을 깨달았다는 뜻이다.
5.이순(耳順)
나이 60세를 이르는 말이다.
공자(孔子)는 60세가 되어 천지(天地) 만물(萬物)의 이치(理致)에
통달(通達)하게 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理解)하게 되었다
자기와 다른 남의 의견을 들어도 순순히 긍정하게 되었다.
인간 모든 생활의 다양성(多樣性)을 이해하고,
젊었을 때처럼 부질없이 반발하거나 오만하지 않는 마음의 여유(餘裕)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6.종심(從心)
70세를 일컬음이다.
70세가 되면서 의욕(意欲)한 바대로 언동(言動)을 하여도
인간의 법도를 넘어서지 않을 경지에 도달하여 인간으로서의
진정한 나아갈 바를 알게 되었다.
공자는 자기의 지나온 일생(一生)을 말함에 있어서 우리들을 놀라게 할
특별한 이야기는 없다.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을 말하고 있다.
공자는 평상적인 것을 존중(尊重)하고 자기 주변의 작은 것부터
실천하여 70세에는 비로소 인간의 참다운 이치를 알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공자는 논어 술이(述而) 19장에서 말하기를
“子曰 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 述而 19”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도(道)를 아는 사람이 아니라,
옛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찾아 배워 알게 된 사람이다.”라 하였듯이
자기 자신을 선천적(先天的) 천재(天才)라고 생각하지 않고 후천적으로
언제나 배우고 노력하며 끊임없는 공부를 통하여 자기 발전을
향상(向上)시킨 사람이라고 자신을 말하고 있다.
☺농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