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전통문화 교양강좌
한국인(韓國人)의 성씨(姓氏)와 이름
부산시 문화재 감정관 양맹준(楊孟準)
1. 성(姓)
○ 성(姓)과 씨(氏)
선사(先史) : 성(姓)은 여(女)와 생(生)의 결합 - 모계사회(母系社會)의 유습(遺習)
성(姓)이란 본시 혈통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일종의 부호로써 혈록(血綠)의 씨족중심을 벗어나 부족사회 또는 부족국가로 형성 발전이 되면서 서로의 가통(家統)을 호칭하기위한 방법으로 등장을 하게 되었다고 할 수가 있겠다. 때문에 각기 자기의 씨족(氏族)과 구별을 하기 위하여 그 나름대로의 호칭이 있었을 것으로 간주가 되며, 그 호칭 자체가 성(姓)으로 발전이 되어 동일 씨족 간에 서로가 화애돈목(和愛敦睦) 하며 타성 이족(異族)과는 엄격하게 구분이 되어 왔을 것은 상식으로 해득할 일이나, 문제는 모계(母係) 중심 이었던 태초 원시시대(原始時代), 즉 문자가 생겨나기 훨씬 이전부터 성씨에 부합되는 그 어떠한 호칭을 사용하여 왔을 것이라는 추리를 가능하게 한다 하겠다.
삼대(三代, 夏·殷·周) : 남성(男性)은 씨(氏), 여성(女性)은 성(姓)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씨(姓氏)를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 산 · 강 등을 성씨로 삼았다고 한다. 하·은·주(夏殷周) 3대 이전에는 남자는 씨(氏)를, 여자는 성(姓)을 호칭하였다가 하·은·주(夏殷周) 3대를 거치면서 성과 씨의 개념이 새로이 정립되게 된다.
후한(後漢) : 許愼(30~124) : 姓人之所生也
성(姓)의 경우, 중국 문자구조에 관한 최초의 자전(字典)인『설문해자(說文解字)』에 “姓人之所生也(성인지소생야)”라 하여, 사람이 거주하는 곳을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는 성은 출생의 계통을 표시한다는 의미로, 모계시대에는 여계(女系)의 혈통을, 부계시대에는 남계(男系)의 혈통을 나타내는 표지가 되었다
송(宋) : 진은(陳殷) : 姓者統其祖考之所自出 氏者別其子孫之所自分
좌전(左傳) 天子建德 因生以賜姓 胙之土 而命之氏
『좌전(左傳)』에 "天子建德 因生以賜姓(천자건덕 인생이사성)"이라 기록된 것처럼 천자가 유덕한 사람을 세워 제후(諸侯)를 봉할 때 그 조상의 출생지로서 성을 주었다고 한다. 이처럼 출생지를 바탕으로 삼은 성은 동일 혈통을 분별하는 척도가 되었다. 그러나 자손이 번성하여 동일 혈통을 가진 자가 각지에 분산하게 될 때, 각기 지역에 분산된 일파를 표시하기 위한 표지가 필요한 법이다. 이것이 곧 씨(氏)이다. "胙之土 而命之氏(조지토 이명지씨)"라 한바와 같이, 씨(氏)는 지명에 의하여 명명되는 것이다. 이처럼 씨(氏)는 분화된 혈통의 각기 지연(地緣)을 표시하는 표지로서 그 근원적 의미는 성(姓)의 분파를 뜻한다. 그러므로 중국의 고전에서 말하는 성(姓)은 혈통의 연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성에 해당되며, 씨(氏)란 같은 성(姓)에서도 소유한 지역으로써 분별한 것으로 우리의 본관에 해당되는 것이다.
조언위(趙彦衛) : 姓氏後世不復別 但曰姓某氏 雖史筆亦然
준호구(準戶口), 호구단자(戶口單子)
姓: 一般 百姓
氏: 兩班
1) 王이나 諸侯의 封地에 붙인 接尾辭: 伏羲氏
2) 世襲에 따른 官職에 붙인 接尾辭: 太史氏
3) 家族의 序列에 붙인 接尾辭: 伯氏
姓 - 大分類
氏 - 小分類
姓: 本姓, 族姓 家: 가족, 一家
氏: 氏族 族: 族父, 族姑 (再從叔) 族子(三從姪)
姓과 氏의 區分이 없어짐
炎帝 姜氏 - 母가 姜水에서 삶
黃帝 姬氏 - 母가 姬水에서 삶. 25子중 12姓
帝堯 伊析氏
帝舜 姚氏
夏禹 姒氏 --------------- 이상 母系姓
殷湯 子氏姓 ------------- 이후 父系姓
(三國)
舊唐書 - 國人多金朴兩姓 異姓不爲婚
新唐書 - 王姓金 貴人姓朴 民無氏有名
異斯夫 - 金氏이면서 朴氏
朴堤上 - 朴氏이면서 金氏---두 개 이상의 姓 가짐
(高麗)
光宗妃 大穆王后 皇甫氏 - 母의 母의 父姓
景宗妃 獻懿王后 劉氏 - 父의 母의 父姓
顯宗妃 元容王后 柳氏 - 父의 母의 母의 父姓
(朝鮮)
義興朴氏 - 王甲規, 王乙規의 外家姓
高麗末期에서 朝鮮初期까지 姓은 둘 이상 가질 수 있었음 - 外祖父 또는 外祖父의 外祖父 姓 繼承
宣武原從功臣錄券 - 良人 海尺 鮑作 免賤 奴-姓없음
(1910)
民籍簿 - 姓 없는 사람이 있는 이의 1.3배
中國: 姓만 있고 氏는 없음
日本: 氏만 있고 姓은 없음
韓國: 姓도 있고 氏도 있음
일본 德川幕府의 마지막 將軍 德川慶喜(1837~1913)
셋은 松平 둘은 池田 하나는 足利 ․ 伊藤博文 - 林氏
世宗實錄地理志 - 1454년 刊 - 365姓
海東姓氏錄 - 梁誠之(1415~1482) 1470년 作
東國輿地勝覽 - 1480년 刊 - 277姓
東國諸姓譜 - 丁時述(1608~1684) 1670년 作
氏族源流 - 趙從耘 1670년 作
海東姓源 - 洪汝河(1621~1678)
陶谷叢說 - 李宜顯(1669~1745) 1740년 作
盎葉記 - 李德懋 1780년 作 - 486姓
姓源錄 - 李昌鉉(1850~1921)10卷1冊 中人階層 系譜 收錄
增補文獻備考 - 1908년 刊-496姓
朝鮮氏族統譜 - 尹昌鉉1924년作1928~1970世昌書館 28版
國勢調査 - 朝鮮總督府 統計資料-250姓
朝鮮의 姓名 氏族에 關한 硏究 - 中樞院 - 326姓
○ 성의 분류
世宗實錄地理志의 分類
本貫에 의한 區分: 州姓, 府姓, 郡姓, 縣姓, 村姓, 外村姓, 部曲姓, 鄕姓, 所姓, 處姓, 莊姓, 驛姓, 戍姓.
姓氏 出自에 의한 區分: 天降姓, 土姓, 次(土)姓, 人吏姓, 次吏姓, 百姓姓, 入州後姓, 入縣後姓, 加屬姓.
姓의 消滅과 移動에 의한 區分: 亡姓, 亡村落姓, 京來姓,
來姓, 入姓, 入鎭姓, 續姓, 亡來姓, 亡入姓.
賜姓과 歸化에 의한 區分: 賜姓, 唐來姓, 向國入姓, 投化姓.
擇里志의 분류
王室 宗姓 中國 東來姓 高麗 賜姓
陶谷叢說의 分類
著姓 - 金, 李, 朴, 鄭, 崔, 尹, 柳, 洪, 申, 權, 趙, 韓. 등 12姓
次著姓 - 任, 南등 16姓
次次著姓 - 25姓
稀姓 - 41姓
次稀姓 - 19姓
僻姓 - 38姓
貴姓 - 136姓
復姓 - 11姓
姓源考에 의한 分類
왕실(王室) 종성(宗姓) : 金(신라), 王(고려), 李(이)
훈성(勳姓);
고구려(高句麗)
: 재사(再思) → 극씨(克氏), 무골(武骨) → 중실씨(仲室氏), 묵거(黙 居)→소실씨(少室氏).
新羅 六姓高麗
弘述(術)→洪儒(缶林), 白玉→裵玄慶(慶州)
三能山→申崇謙(平山), 卜沙貴→卜智謙(木川)
朝鮮
佟豆蘭→李之蘭, 沙可也→金忠善
歸姓: 高麗 順式→王式, 大光縣→王繼,
女眞人 古刀化→孫保寒, 蒙古人 忽刺歹→印侯
回回人 三可→將舜龍
改姓: 安東權氏 始祖 金幸→權幸
水原崔氏 金永奎→隋城伯 崔永奎
避諱姓: 高麗 顯宗(詢) 詢凝→孫凝
忠穆王(昕) 昕暹→權暹
惡姓: 牛, 馬, 象, 豚, 獐.
現在의 大體的 分類
大姓 - 5姓, 著姓 - 50姓, 貴姓 - 48姓, 稀姓 - 42姓,
僻姓 - 45姓, 珍姓 - 60姓, 復姓 - 8姓
同族과 姓氏의 關係
同族 同姓 同貫
同族 同姓 異貫: 江陵金氏, 光山金氏
同族 異姓 同貫: 金海金氏, 金海許氏
同族 異姓 異貫: 文化柳氏, 延安車氏
異族 同姓 同貫: 南陽洪氏 - 唐洪, 土洪
異族 同姓 異貫: 慶州李氏, 延安李氏
異族 異姓 同貫: 淸州韓氏, 淸州楊氏
異族 異姓 異貫:
○ 本貫
本貫. 貫鄕. 鄕貫. 貫籍. 姓鄕. 本. 先鄕. 籍貫. 族本. 氏貫
本貫의 由來
始祖 - 出生地, 出自地, 得姓地, 緣故地
顯祖 - 食邑, 封君 邑號,
一般 祖上 - 世居地, 集姓地
本貫의 變遷
潘南朴氏 ․ 押海丁氏→潘南, 押海가 羅州로 編入→羅州朴氏
羅州丁氏→原 羅州의 朴氏 및 押海, 從義, 伏龍의 朴氏와 區別 必要→潘南朴氏 復歸
〔金寧金氏〕
慶州金氏(敬順王의 4子 大安君 殷說의 3子 濂→封金海君)→後金 金海金氏(濂의 6세손 時興→封金寧君)→金寧金氏(時興의 8세손 文起의 復權 復戶 徭役免除→原金海金氏, 後金 金海金氏 法興派, 歸化 金海金氏와 區分 必要)
〔金寧金氏〕
金海金氏(首露王 後孫 武威王을 始祖)→金仲龜 金寧君 封爵→金寧金氏
顯祖나 勢家에 의한 本貫의 自別
安東金氏 - 壯洞金氏
眞寶李氏 - 眞城李氏
驪州李氏 - 驪江李氏
善山金氏 - 一善金氏
豊山柳氏 - 河回柳氏
全州柳氏 - 무실柳氏
慶州孫氏 - 月城孫氏
○ 族譜
八高祖圖, 內外譜, 家牒, 世譜, 族譜, 家乘, 世系, 大同譜, 家譜, 家乘譜, 系譜, 譜, 子孫譜, 世蹟譜, 宗案, 世德錄, 誌狀錄, 璿源譜, 文獻錄, 淵源譜, 花樹譜, 朔源譜, 世獻錄, 宗表. 등등
우리나라의 族譜
1476년 刊 安東權氏世譜 - 우리나라 最古의 族譜
1562년 刊 文化柳氏 嘉靖譜
1423년 文化柳氏 永樂譜
1454년 南陽洪氏
1476년 安東權氏, 全義李氏
1478년 驪興閔氏
1493년 昌寧成氏
1505년 江陵金氏
1524년 漢陽趙氏
1529년 陜川李氏
1575년 延日鄭氏
1576년 綾城具氏
2. 이름
○ 이름
이르다(謂), 일컫다(稱)
忌諱
高麗:
惠宗 - 武, 定宗 - 堯, 成宗 - 治, 顯宗 - 詢
朝鮮:
太宗 子 - 衣, 世宗 子 - 玉, 世祖 子 - 日, 成宗 子 - 心, 中宗 子 - 山, 宣祖 子 - 玉, 元宗 子 - 人, 仁祖 子 - 水, 顯宗 子 - 火
이름의 종류
아명(兒名), 초명(初名), 관명(冠名), 자(字), 호(號), 자호(自號), 별호(別號), 시호(諡號), 존호(尊號), 휘호(徽號), 택호(宅號), 당호(堂號), 법명(法名), 예명(藝名), 가명(假名), 본명(本名), 필명(筆名)
○ 아명(兒名)
유명(乳名), 소명(小名)
악명(惡名): 역신(疫神)이 더러워 피해가게 함
개동 측간 똥구리 수채
다명(多名): 역신(疫神) 또는 사신(死神)이 너무 흔해 찾지 못하게 함
강아지 삽사리 도야지
강강명(强剛名): 너무 단단해 역신(疫神)이 침투치 못하게 함
돌쇠 차돌 강철 쐬덩이 바우
○ 초명(初名)
교훈적 요소(敎訓的 要所)
염원(念願): 증망(曾望), 자의, 하진, 진경, 희지
현상(現狀): 몽룡(夢龍), 쾌동(快童), 쾌손(快孫), 갑이, 도갑, 점이
훈민정음(訓民正音) 반포직후(頒布直後) 1449년에 김수온(金守溫,1410~1481)의『내불당낙성기(內佛堂落成記)』인「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를 보면 47인 동명이인(同名異人) 7인 40人: 똥구디, 수새, 쇳디
150년 후인『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주질동(走叱同), 죽이(竹伊)
동국신속삼강행실(東國新續三綱行實,1617),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1687).
동물명(動物名)
강아지 : 강아지(江阿之), 강아지(姜兒只), 개야지(介也之)
삽사리 : 삽사리(揷士里), 삽사리(揷沙里), 수캐(壽快)
돼지 : 도야지(道也之), 도아지(道牙之), 대야지(大也之)
망아지 : 마아지(馬牙之), 매아지(梅兒只), 몽아지(夢牙之)
까마귀 : 가막이(加莫伊), 가마귀(加馬貴)
두루미 : 두로미(杜路未)
신체특징(身體特徵):
감실(甘實), 거묵개(巨墨介), 거묵이(居墨伊), 고읍단이(古邑丹伊), 고읍동(古邑同), 고온개(古溫介), 입분덕(立分德), 어여비(於汝非), 입분이(入分伊), 족고만(足古萬), 고맹이(古孟伊), 동고리(同古里)
충북 단양군 영춘면 제적부(忠北 端陽郡 永春面 除籍簿)
간난이(干蘭, 簡灡, 干蓮, 干郞, 干洛)
아기(阿基, 阿只, 牙己, 岳伊, 愛基, 阿祗)
언년(言年, 言連, 言蓮, 彦年, 彦連, 焉年)
분해(府內, 粉內, 粉年, 粉老味, 痛忿)
서운(西云, 西雲, 西元)
음전(巖全, 奄全, 音全, 音田, 陰田)
○ 관명(冠名)
장자(長子) : 상(上, 尙), 승(承), 맹(孟), 요(堯), 윤(胤, 允, 尹), 춘(春), 인(仁), 방(邦) 等等
차자(次子) : 승(丞), 중(中, 仲), 아(亞), 내(乃), 순(舜), 의(義), 하(夏), 이(二), 차(次) 等等
명설(名說, 유명한 견해) :
정여창(鄭汝昌) 明 使臣 張寧
소순(蘇洵) -
명이자설(名二子說, 두 아들의 이름 이야기)
輪輻蓋軫(윤복개진) : 수레바퀴와 바퀴살과 덮개와 수레뒤턱나무(브레이크)는
皆有職乎車(개유직호차) : 모두 수레에서 맡은 일이 있으나,
而軾獨若無所爲者(이식독약무소위자) : 수레앞턱나무 만은 홀로 하는 일이 없는 것 같다.
雖然去軾(수연거식) : 그렇더라도 수레앞턱나무를 없애버리면
則吾未見其爲完車也(칙오미견기위완차야) : 우리는 완전한 수레라고 보지 않는다.
軾乎(식호) : 식(軾)아!
吾懼汝之不外(오구여지부외식야) : 나는 네가 겉치레를 하지 않음을 두려워한다.
天下之車(천하지거) : 천하의 수레들은
莫不由轍(막불유철) : 바퀴자국을 따라가지 않음이 없으나,
而言車之功(이언차지공) : 수레의 공로를 말함에는
轍不與焉(철불여언) : 바퀴자국은 끼지 않는다.
雖然車仆馬斃(수연차부마폐) : 그렇지만 수레가 뒤집히고 말이 죽어도
而患不及轍(이환불급철) : 그 재난이 바퀴자국에는 미치지 않는다.
是轍者禍福之間(시철자화복지간) : 이 바퀴자국이라는 것은 화(禍)와 복(福)의 사이에 있다.
轍乎(철호) : 철(轍)아!
吾知免矣(오지면의) : 나는 네가 화를 면할 것임을 알겠구나.
行列
五行法
天干法 地支法
數交法 四端法 五常法
安東金氏 金玉均: 均→圭
南陽洪氏 洪英植: 植→杓
潘南朴氏 朴泳孝: 泳→勝
達城徐氏 徐光範: 光→丙
徐載弼: 載→廷
○ 字
《儀禮, 士冠禮》冠而字之 敬其名也
<疏>君父之前稱名 至於他人稱字也 是敬其名也
《禮, 曲禮上》男子二十 冠而字
<注> 成人矣 敬其名. 字所以相尊也
○ 號
號辯, 號記, 號說,
三國時代: 元曉 - 小性居士, 百結先生
《白雲居士語錄》
所處以號 所志以號 所遇以號 所畜以號
號의 頻煩字: 東西南北 梅蘭菊竹 松雲雪鶴 春秋山月
知虛醉孤白無晦古靑淸滄蒼休夢黙
號譜: 純祖時 編 230餘形. 卷1 - 堂, 齋 卷2 - 菴, 亭, 軒, 村 卷3 - 隱, 窩, 翁, 窓, 谷, 皐, 坡, 厓, 灘 卷4 - 巖, 峰, 山, 川, 溪, 湖, 汀 卷5 - 洲, 圃等 80形 卷6 - 陰, 叟, 松 等 120餘形
東岡(金宇顒, 李恒福) 東皐(李浚慶, 趙穆) 黙齋(李貴, 許積)
金正喜: 號 503개 香閣煮茶處鱸香閣老人
芙蓉秋水此隣居 海棠花下戱兒孫
吳世昌: 葦滄, 韋倉
한글 號
한힌샘 주시경, 가람 이병기, 외솔 최현배, 늘봄 전영택
○ 諡號
私諡: 高麗 2人, 朝鮮 2人.
賜諡: 正二品이상, 功臣
王, 王妃 - 諡號都監 - 諡冊(玉冊, 金譜)
一般人 - 奉常寺
禮曹에 行狀 제출 - 禮曹 檢討후 奉常寺 移送 - 奉常寺 諡號 評論 諡狀 作成후 弘文館 移送 - 弘文館 應敎 三望 議論 (應敎 또는 副應敎와 奉常寺正 이하 諸員및 議政府 舍人 또는 檢詳이 署經) 吏曹 移送 - 吏曹에서 諡號單望子 作成 國王 入啓 受點-國王 受點후 臺諫 署經 - 敎旨 作成
《策贈儀: 1421년》焚黃禮
李舜臣: 忠武. 忠壯. 武穆.
危身奉上曰 忠. 折衝禦侮曰 武.
勝敵克亂曰 壯. 布德執義曰 穆.
贈諡. 追諡. 改諡. 後改諡(再改諡)
權慄 : 初諡 - 莊烈. 改諡 - 襄烈. 再改諡 - 忠莊
金宗直: 初諡 - 文忠. 改諡 - 文簡. 還元諡 - 文忠
諡號의 글자
周禮 諡法: 28字
史記 諡法: 194字
世宗 「儀禮」「經傳通解續」 「文獻通考」참조 107字
總 301字(194字+107字)
文靖公: 孟思誠, 南孝溫, 金堉, 申欽, 曺植등 99人
文簡公: 金宗直, 金昌協, 盧守愼, 徐有榘, 成渾등 84人
忠武公: 李舜臣, 李浚, 李守一, 南怡, 金時敏, 金應河 11人
忠壯公: 鄭撥, 鄭運등 31人
忠烈公: 宋象賢, 高敬命, 金方慶, 吳達濟, 河緯地등 30人
總2971人: 2779人說 - 新羅 6人, 高麗 548人, 朝鮮 2225人
忠 :
危身奉上, 事君盡節, 盛衰純固, 慮國忘家, 推賢盡忠, 推能盡忠, 廉方公正, 廉方公平, 臨亂不忘國, 臨患不忘國, 險不避難.
文 :
經天緯地, 道德博聞, 道德博文, 博學好文, 博學多聞, 勤學好問, 勤學好文, 博學多識, 博學多見, 敏而好學, 敬直慈惠, 慈惠愛民, 忠臣接禮, 忠信愛人, 剛柔相濟,愍民惠禮, 錫民爵位, 修德來遠, 施而中禮, 修治班制.
廟號: 定宗, 顯德(文宗妃), 景純敦孝(端宗), 德宗
諡號
尊號
王后徽號
文祖: 體元贊化 錫極定命, 聖憲英哲 睿誠淵敬, 隆德純功 篤休弘慶, 洪運盛烈 宣光濬祥, 堯欽舜恭 禹勤湯正, 啓天建統 神勳肅謨, 乾大坤厚 廣業永祚, 莊義彰倫
行健配寧, 基泰垂裕 熙範昌禧, 立徑亨道 成獻昭章, 致中達和 繼曆協紀, 剛粹景穆 峻惠衍祉, 宏猷愼徽
綬緖佑福, 敦文顯武 仁懿, 孝明, 翼皇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