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송찬영 기자]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지인 강원도 일대에 국비와 민간 자금 3조 3000억원이 투입돼 체류형 관광지로 집중 육성된다.
이는 평창·강릉·정선 등 동계올림픽 개최지가 올림픽 때 ‘반짝 각광’을 받다가 사장되는 전례를 밟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으로, 국내외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논란이 됐던 가리왕산의 활강장 건설이나 설악산과 서울 남산의 캐이블카 건설은 예정대로 강행할 방침이어서 생물 다양성 보호와 환경성 평가를 주장해 온 환경 시민 단체와의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제 2차관은 28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올해 관광정책 추진방향을 밝혔다.
이에 따르면 평창은 대관령 가족휴양지와 오대산 자연명상마을을 각각 조성해 가족 휴양과 치유(힐링) 관광지로 특화하고, 강릉은 도심 철도 폐선 부지를 활용한 문화거리와 강릉아트센터 건립, 한국문화(K-컬처) 축제 개최 등을 통한 젊음과 낭만의 여행지로 육성한다.
정선은 에코 익스트림 파크, 동강레포츠단지 조성 등으로 역동적 레저스포츠 관광의 메카로 조성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상반기 중 동계올림픽 특구 종합계획을 변경해 오는 2032년까지 국비와 민자유치 등을 통해 총 사업비 3조3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대관령 가족 휴양지(766억원), 강릉아트센터(509억원), 강릉문화거리(300억원), 오대산 명상·힐링 관광지(295억원), 노람뜰 녹색치유단지(153억원), 효석문화예술촌(100억원) 등이 포함된다.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월 1∼14일, 10월 19일∼11월 1일을 관광 주간으로 정하고 방학 다양화, 학교일정 다변화, 관광시설·숙박·교통 할인, 지역별 맞춤형 관광프로그램 운영 등을 한다.
정부는 아울러 ▲ 2월 12∼15일 내나라 여행박람회 개최 ▲ 관광서비스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두루누비 시스템 구축 ▲ 수상레저활동 대중화 ▲ 내·외국인을 위한 템플스테이 확대 ▲ 백제문화유산 및 남도문화권의 관광상품 개발 ▲ 비무장 인근 지역의 안보·생태 관광지 육성 ▲ 올해의 관광도시로 광주 남구와 강릉, 고령 선정 등을 한다.
문체부는 오는 5월부터 10월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엑스포에 ‘한식, 미래를 향한 제안 : 음식이 곧 생명이다’를 주제로 참가해 한국의 음식문화를 전세계에 홍보할 예정이다.
문체부 김 차관은 "올해에는 지난해 1420만명보다 9.2% 늘어난 155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것"이라며 "국내 관광시장 규모도 작년 24조원에서 올해 26조원으로 성장해 국가경제의 활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러나 환경 파괴 이유로 논란을 벌였던 가리왕산 활강 경기장은 예정대로 건설하고, 동계올림픽 개최 시기에 맞춰 설악산에 친환경 케이블카와 서울 남산에 곤돌라형 케이블카 설치도 강행 추진한다는 방침이어서 환경영향평가를 통한 적정성 검토를 요구해 온 환경시민단체와의 마찰을 피할 수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