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HSA(이종 시스템 아키텍처)로 병렬연산 주도 전망 (요약) [NH투자증권-이세철]
▶ 삼성전자는 HSA(Heterogeneous System Architecture)로 이종간의 프로세서 통합 추진 전망. AP(ApplicationProcessor)와 BP(Base Band Processor) 뿐 아니라 GPU도 자체 설계하여 시스템 반도체 역량 확대 예상
▶ HSA(Heterogeneous System Architecture)로 모바일 프로세서 역량 강화
− 삼성전자는 HSA기술을 활용, AP(Application Processor)내 GPU등 이종의 프로세서 간 Task 공유를 위한 설계진행
− 참고로 HSA는 AMD, 퀄컴, 삼성전자, ARM, 미디어텍, TI 등 주요 반도체 업체 중심으로 개발 추진 중인 혼합 시스템 아키텍처 기술임
▶ HSA는 직렬과 병렬 방식을 병행하여 효율적인 컴퓨팅 가능
− HSA 기술은 인간의 뇌와 같이 직렬과 병렬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방식. 즉 인간의 좌뇌와 우뇌 사이에는 뇌간이라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HSA 기술은 뇌간처럼 CPU와 GPU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임
− CPU는 범용 프로세서로 정수연산에 최적화되어 있는 반면 GPU는 부동소수점 연산 능력이 뛰어나고 그래픽을 훨씬 빠르게 처리 가능한 것이 특징
▶ HSA는 향후 인공지능 본격화 시 효율성 높은 프로세서 구현 가능 전망
− 향후 인공지능이 본격화될 경우 CPU와 GPU를 함께 사용하는 HSA 기술은 컴퓨팅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판단
− HSA 기술을 활용할 경우 CPU가 작동하는 동안 GPU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팅 성능 확대 전망
− 삼성전자는 AP와 BP를 자체 설계로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GPU도 자체 설계 전망. 자체 설계된 GPU는 HSA 기술을 통해서 직렬과 병렬 연산을 병행. 이에 따른 시스템 반도체 역량 확대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