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증불고(破甑不顧)
깨진 시루는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나간 일은 아쉬워하여도 소용없으므로 깨끗이 단념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破 : 깨뜨릴 파(石/5)
甑 : 시루 증(瓦/12)
不 : 아닐 불(一/3)
顧 : 돌아볼 고(頁/12)
출전 : 후한서(後漢書)의 곽태전(郭泰傳)과 곽림종별전(郭林宗別傳)
요즘은 가정집에서 시루나 독을 구경하기 힘들다. 시루는 떡을 찌는데 쓰는 둥근 질그릇으로 아래쪽에 물이 잘 빠지도록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독은 장독을 먼저 떠올리듯 간장, 된장이나 술, 김치 등을 보관하는 큰 질그릇이다. 떡 방앗간이나 냉장고가 편리한 요즘은 속담 등 옛말에서나 남았다.
'시루에 물 퍼붓기'는 구멍 뚫린 시루에 물 붓는 족족 새 버리니 헛일이다. 여증급수(如甑汲水)로 한역하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란 속담과 똑 같다. 아무리 힘이나 밑천을 들여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일을 비유할 때 적당한 비유다. 시루가 들어가는 또 다른 성어 깨진 시루(破甑)는 돌아보지 않는다(不顧)는 돌이킬 수 없는 것은 깨끗이 단념하란 뜻이다.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때의 송(宋)나라 범엽(范曄)이 쓴 '후한서(後漢書)'에 실린 맹민(孟敏)의 고사에서 유래했다. 자가 숙달(叔達)인 맹민이 어느 때 시루를 지고 가다 떨어뜨려 깨졌는데 뒤돌아보지도 않고 갈 길을 갔다.
지역의 명사 곽태(郭泰)란 사람이 연유를 물었더니 '시루가 이미 깨졌는데 돌아본다고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甑以破矣 視之何益/ 증이파의 시지하익)' 하고 답한다. 곽태는 맹민의 대범하고 과단성 있는 행동에 학문을 권유해 훗날 명성을 떨치게 됐다.
이 이야기에서 떨어뜨린 시루 타증불고(墮甑不顧)나 맹민의 자를 써 숙달파증(叔達破甑)이라고도 쓴다. 처세 격언서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이미 떨어져 깨진 시루 되돌아본들 어찌 하겠는가(瓦甑旣墮 反顧何爲/ 와증기타 반고하위)'라고 나온다.
독에 관해서는 반대의 이야기가 있다. 옹기장수가 독을 팔러 장에 가다가 길에서 잠이 들었는데 많이 팔아 큰 부자가 되는 꿈을 꾸었다. 기분 좋아 기지개켜다 지게를 넘어뜨려 독이 왕창 깨졌다. 실현성이 없는 허황된 계산을 '독장수 구구', 옹산(甕算)이라 한다. '독을 보아 쥐를 못 친다'는 말은 투서기기(投鼠忌器)라 하여 해가 되는 것을 없애버려야 하나 자기에게 손해가 올까 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과감하게 독을 깨뜨린 파옹구아(破甕救兒) 일화는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부터 비범함을 일러준다. 같이 놀던 꼬마가 물이 가득한 독에 빠졌는데 어른들이 망설이는 사이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내용이다.
화려한 세월이 영원히 계속되는 줄 아는 사람은 꽃이 지지 않을 것이라며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을 모른 척 한다. '죽은 자식의 귀 모양 좋다 하지 말라'란 속담이 잘 말해준다. 이미 잃어버렸거나 다 틀어진 일을 놓고 자랑하거나 아까워해 보았자 소용이 없다. 과거에 연연해서 좋은 일이 다시 올 것만 기대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면 가슴만 탄다.
'대나무 숲에 바람이 지나가도 소리는 남지 않고(風過而竹不留聲/ 풍과이죽불류성), 못 위로 기러기가 날아간 뒤 그림자가 남을 리 없다(雁去而潭不留影/ 안거이담불류영).' 채근담(菜根譚) 어록이다. 이미 끝난 일은 깨끗이 잊는 사람이 새 출발을 잘 할 수 있다.
▶️ 破(깨뜨릴 파, 무너질 피)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돌석(石; 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皮(피,파)로 이루어졌다. 破(파)는 돌이 부서지다, 나중에 돌 뿐이 아니라, 사물이 깨지다, 찢어지다, 찢다의 뜻으로 쓰였다. ❷회의문자로 破자는 '깨트리다'나 '파괴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破자는 石(돌 석)자와 皮(가죽 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皮자는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여기에 石자가 더해진 破자는 '돌을 벗기다', 즉 '돌을 깨부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破자는 '(일을)망치다'나 '흩트리다'와 같이 상황이 그릇됐음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破(파, 피)는 (1)깨어지거나 찢어지거나 또는 상하거나 한 흠집 (2)사람의 흠집이나 결함(缺陷) (3)풍수지리의 득(得)이 흘러간 곳 등의 뜻으로 ①깨뜨리다, 깨다 ②부수다, 파괴하다 ③째다, 가르다 ④지우다, 패배시키다 ⑤일을 망치다 ⑥쪼개지다 ⑦갈라지다 ⑧흩뜨리다 ⑨다하다, 남김이 없다 ⑩깨짐, 깨는 일, 깨진 곳 ⑪악곡(樂曲)의 이름 그리고 ⓐ무너지다(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부술 쇄(碎)이다. 용례로는 찢어지고 터짐을 파탄(破綻), 깨뜨리어 헐어 버림을 파괴(破壞), 가산을 모두 잃어버림을 파산(破産), 판국이 결딴남을 파국(破局), 한자의 자획을 풀어 나누는 것을 파자(破字), 깨어져 못 쓰게 됨을 파손(破損), 파괴하고 멸망함을 파멸(破滅), 깨뜨리거나 갈라져 터짐을 파열(破裂), 깨어진 조각이나 부서진 조각을 파편(破片), 격식을 깨뜨림 또는 그리 된 격식을 파격(破格), 무표정하거나 굳어 있던 얼굴빛을 부드럽게 하여 활짝 웃음을 파한(破顔), 깨뜨림 또는 깨어지게 함을 파각(破却), 찢어진 종이로 인쇄나 제본 등의 공정에서 손상하여 못쓰게 된 종이를 파지(破紙), 심심함을 잊고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 어떤 일을 함 또는 그런 일을 파한(破閑), 약혼을 파기함을 파혼(破婚), 깨어지거나 떨어지거나 하여 흠이 있는 과실을 파과(破果), 무찔러 깨뜨림을 돌파(突破), 폭약을 폭발시킴을 폭파(爆破), 규정이나 관습 등을 깨뜨려 버림을 타파(打破), 진리가 될 만한 것을 밝혀 듣는 사람의 납득하도록 궤뚫어 말함을 설파(說破), 쳐부숨으로 태권도에서 벽돌이나 기왓장 따위를 맨손이나 머리로 쳐서 깨뜨리는 일을 격파(擊破), 보아서 속을 확실히 알아냄을 간파(看破), 험한 길이나 먼길을 끝까지 걸어 나감을 답파(踏破), 구멍을 뚫고 폭약을 재어 터뜨려 바위 등을 깨뜨림을 발파(發破), 중도에서 꺾이지 않고 목적지까지 다 달림을 주파(走破), 풍파나 장애물에 부딪쳐서 배가 부서짐을 난파(難破), 글을 막힘 없이 죽 내려 읽음을 독파(讀破), 수치를 수치로 알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파렴치(破廉恥),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곧 세력이 강대하여 대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일컫는 말을 파죽지세(破竹之勢), 얼굴이 찢어지도록 크게 웃는다는 뜻으로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크게 웃음을 이르는 말을 파안대소(破顔大笑),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싸움터로 나가면서 살아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고 결전을 각오함을 이르는 말을 파부침주(破釜沈舟), 깨어진 그릇 조각을 서로 맞춘다는 뜻으로 이미 잘못된 일을 바로 잡으려고 쓸데없이 애씀을 이르는 말을 파기상접(破器相接), 즐거운 표정을 지으며 한바탕 웃음을 일컫는 말을 파안일소(破顔一笑), 옹기나 장독 따위를 깨뜨려서 친구를 구한다를 이르는 말을 파옹구우(破甕救友) 등에 쓰인다.
▶️ 甑(시루 증)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기와 와(瓦: 기와, 질그룻)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曾(증)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甑(증)은 ①시루(떡이나 쌀 따위를 찌는 데 쓰는 둥근 질그릇) ②고리 ③약초(藥草)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시루떡으로 떡가루에 콩이나 팥 따위를 섞어 시루에 켜를 안치고 찐 떡을 증병(甑餠), 시루밑으로 시루 안의 물건이 시루 바닥의 구멍으로 새어 내리지 않도록 까는 물건을 증렴(甑簾), 시루를 솥에 올려 앉힌 틈으로 김이 새지 아니하도록 빙둘러 매는 천을 증대(甑帶), 시룻방석으로 시루를 덮는 제구를 증개(甑蓋), 깨어진 시루를 파증(破甑), 설떡을 찌는 시루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이 같은 때에 다같이 쓰려고 찾는 물건을 가리키는 말을 세시증(歲時甑), 시루에 물 퍼붓기로 많은 비용을 들이거나 힘을 써도 아무 효과가 없다는 뜻의 속담을 이르는 말을 여증급수(如甑汲水), 이미 깨어진 시루라는 뜻으로 본래의 상태로 돌이킬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이파지증(已破之甑), 밥 짓는 시루를 오래 쓰지 아니하여 먼지가 앉았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함을 이르는 말을 증중생진(甑中生塵), 시루에는 먼지가 쌓이고 솥에는 물고기가 생길 지경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을 증진부어(甑塵釜魚), 시루가 이미 깨졌다는 뜻으로 다시 본래대로 만들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증이파의(甑已破矣) 등에 쓰인다.
▶️ 不(아닐 부, 아닐 불)은 ❶상형문자로 꽃의 씨방의 모양인데 씨방이란 암술 밑의 불룩한 곳으로 과실이 되는 부분으로 나중에 ~하지 않다, ~은 아니다 라는 말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 때문에 새가 날아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음을 본뜬 글자라고 설명하게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不자는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不자는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씨앗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아직 싹을 틔우지 못한 상태라는 의미에서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不자는 '부'나 '불' 두 가지 발음이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不(부/불)는 (1)한자로 된 말 위에 붙어 부정(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는 말 (2)과거(科擧)를 볼 때 강경과(講經科)의 성적(成績)을 표시하는 등급의 하나. 순(純), 통(通), 약(略), 조(粗), 불(不)의 다섯 가지 등급(等級) 가운데 최하등(最下等)으로 불합격(不合格)을 뜻함 (3)활을 쏠 때 살 다섯 대에서 한 대도 맞히지 못한 성적(成績)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②아니하다 ③못하다 ④없다 ⑤말라 ⑥아니하냐 ⑦이르지 아니하다 ⑧크다 ⑨불통(不通; 과거에서 불합격의 등급) 그리고 ⓐ아니다(불) ⓑ아니하다(불) ⓒ못하다(불) ⓓ없다(불) ⓔ말라(불) ⓕ아니하냐(불) ⓖ이르지 아니하다(불) ⓗ크다(불) ⓘ불통(不通: 과거에서 불합격의 등급)(불) ⓙ꽃받침, 꽃자루(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미(未), 아닐 비(非)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가(可),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움직이지 않음을 부동(不動),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일정하지 않음을 부정(不定), 몸이 튼튼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음을 부실(不實), 덕이 부족함을 부덕(不德), 필요한 양이나 한계에 미치지 못하고 모자람을 부족(不足), 안심이 되지 않아 마음이 조마조마함을 불안(不安), 법이나 도리 따위에 어긋남을 불법(不法), 어떠한 수량을 표하는 말 위에 붙어서 많지 않다고 생각되는 그 수량에 지나지 못함을 가리키는 말을 불과(不過), 마음에 차지 않아 언짢음을 불만(不滿), 편리하지 않음을 불편(不便), 행복하지 못함을 불행(不幸), 옳지 않음 또는 정당하지 아니함을 부정(不正),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속까지 비치게 환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불투명(不透明), 할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것을 이르는 말을 불가능(不可能), 적절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부적절(不適切), 하늘 아래 같이 살 수 없는 원수나 죽여 없애야 할 원수를 일컫는 말을 불구대천(不俱戴天), 묻지 않아도 옳고 그름을 가히 알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불문가지(不問可知), 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도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오묘한 것을 이르는 말을 불가사의(不可思議), 생활이 바르지 못하고 썩을 대로 썩음을 일컫는 말을 부정부패(不正腐敗), 지위나 학식이나 나이 따위가 자기보다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함을 두고 이르는 말을 불치하문(不恥下問),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는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을 불혹지년(不惑之年), 필요하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음을 일컫는 말을 불요불급(不要不急), 휘지도 않고 굽히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난관도 꿋꿋이 견디어 나감을 이르는 말을 불요불굴(不撓不屈), 천 리 길도 멀다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먼길인데도 개의치 않고 열심히 달려감을 이르는 말을 불원천리(不遠千里) 등에 쓰인다.
▶️ 顧(돌아볼 고)는 ❶형성문자로 顾(고)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머리 혈(頁;머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雇(고)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顧자는 '지난날을 돌아보다'나 '방문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顧자는 雇(품 팔 고)자와 頁(머리 혈)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雇자는 戶(지게 호)자와 隹(새 추)자가 결합한 것으로 '품을 팔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雇자는 문지방 위로 제비가 날아드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제비는 봄에 찾아오기 때문에 옛날에는 제비가 날아드는 것을 보고 농사일이 시작됐음을 알았다고 한다. 이렇게 제비가 다시 방문하는 것을 뜻하는 雇자에 頁자가 더해진 顧자는 제비가 다시 방문하듯이 사람이나 생각을 다시 되돌아본다는 뜻이다. 그래서 顧(고)는 ①돌아보다 ②지난날을 생각하다 ③돌보다 ④당기다 ⑤돌아가다 ⑥품을 사다(雇) ⑦다만 ⑧생각컨대 ⑨도리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곁눈질할 면(眄), 돌볼 권(眷)이다. 용례로는 물건을 항상 사러 오는 손님을 고객(顧客), 어떤 분야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자문에 응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직책 또는 그 사람을 고문(顧問), 임금이 신하에게 유언으로 뒷일을 부탁함을 고명(顧命), 부모가 자식들을 양육함을 고복(顧復), 생각하여 주고 도와 줌을 고조(顧助), 뒷일을 염려하고 꺼림을 고기(顧忌), 다시 돌이켜 헤아림을 고려(顧慮), 돌보아 보호함을 고호(顧護), 돌아다 봄이나 돌이켜 봄을 고면(顧眄), 두루 돌아 봄을 고첨(顧瞻), 돌이켜 뒤를 봄을 고견(顧見), 보살펴 줌이나 남의 허물을 덮음 또는 되돌아보아 생각함을 고념(顧念), 둘러보거나 되돌아 봄이나 이것저것 생각하고 망설임을 고망(顧望), 이미 지난 일을 못 잊어서 그 뒤를 돌아보거나 살핌을 고후(顧後), 마음에 맺히어 잊지 못함을 고련(顧戀), 명예를 돌아보고 의를 생각함을 일컫는 말을 고명사의(顧名思義), 고명을 받은 신하를 일컫는 말을 고명지신(顧命之臣), 편지의 회답도 자세히 살펴 써야 함을 이르는 말을 고답심상(顧答審詳), 음악을 잘못 연주하면 주랑이 곧 알아 차리고 돌아본다는 뜻으로 음악에 조예가 깊은 사람을 일컫는 말을 고곡주랑(顧曲周郞)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