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뢰무예(貪賂無藝)
뇌물을 탐하는 것에 끝을 모른다는 뜻으로, 뇌물(賂物)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貪 : 탐낼 탐(貝/4)
賂 : 뇌물 뢰(貝/6)
無 : 없을 무(灬/8)
藝 : 재주 예(艹/15)
욕망은 만족을 모른다. 욕망이 욕망을 부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많은 것을 원하지만 실제 필요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데도 무욕의 수행자 등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이 더 가지려고 눈에 불을 켠다.
대청을 빌려 쓰다가 점점 안방까지 밀고 온다는 차청차규(借廳借閨)나 처음에는 겨를 핥다가 나중에는 쌀까지 먹는다는 지강급미(舐糠及米), 그리고 한 곳을 얻으니 더 큰 곳을 넘본다는 득롱망촉(得隴望蜀)등의 이를 나타내는 성어도 많다. 높은 자리에 앉은 사람도 다를 바 없어 뇌물을 욕심내는 것(貪賂)은 끝을 모른다(無藝)는 말이 잘 나타낸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진(晉)나라에 한기(韓起)라는 사람이 부친을 이어 경(卿)의 지위에 있었다. 하지만 그에 어울리는 재산이 없어 다른 사람과 함께 하지 못하는 등 가난을 근심하고 있었다. 숙향(叔向)이란 현인이 찾았을 때 사정을 말하니 대뜸 한기를 축하한다고 했다.
숙향은 제(齊)의 안영(晏嬰), 오(吳)의 계찰(季札), 정(鄭)의 자산(子産)과 겨루는 현인이라 무엇을 뜻하는지 한기가 물었다. 춘추 8국의 역사를 좌구명(左丘明)이 21권에 모았다고 전해지는 '국어(國語)'의 진어(晉語) 편에 고사를 들어 숙향이 설명한다. 탐욕무예(貪欲無藝)로 나오지만 뜻은 같다.
숙항의 이야기를 보자. 진나라에 앞서 있었던 대부 난서(欒書)는 봉록도 못 받고 조상들에게 제사지낼 그릇조차 변변히 없었다. 그래도 덕행으로 일을 처리하여 백성들의 신망은 물론 변방의 이민족까지 그에게 의지해 나라를 굳건히 했다.
그의 아들 환자(桓子)에 이르러서는 '교만과 사치로 얼룩져 재물을 긁어모으는데 끝이 없었고(驕泰奢侈 貪欲無藝/ 교태사치 탐욕무예)' 아버지 음덕으로 화를 면했으나 후대에 가서 망했다. 재주 예(藝)는 '다하다', '극진하다'란 뜻이다. 지금 경께서는 재산이 없는 대신 난서와 같은 덕이 있으며, 더욱이 탕진할 아들이 없으니 축하를 드렸다고 했다.
모든 물을 받아들이는 바다를 메울 수는 있어도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으니 채우지 못한다. 이전과 같이 열심히 일하고 부지런히 공부하여 가난을 탈피할 수 있는 길은 점점 멀어져 청년세대는 희망을 잃는다.
그런데도 부모에 물려받거나 운 좋게 부를 차지한 사람들은 용이 안 될 때는 가재나 미꾸라지로 살라고 속을 뒤집으며 갑질을 일삼는다. 굶주리는 사람이 주변에 없도록 가난한 사람들을 아낌없이 몰래 도왔다는 이전의 천석꾼, 만석꾼은 점차 사라지는 세상은 삭막하다.
▶️ 貪(탐할 탐)은 ❶형성문자로 贪(탐)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조개 패(貝; 돈, 재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今(금, 탐)으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貪자는 '탐내다'나 '탐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貪자는 今(이제 금)자와 貝(조개 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今자는 입을 거꾸로 그려 무언가를 집어삼키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貪자는 이렇게 무언가를 삼키는 모습을 그린 今자에 貝자를 결합한 것으로 재물을 집어 삼킨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貪자는 재물에 대한 애착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탐내다'나 '탐하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貪(탐)은 (1)탐욕(貪欲) (2)세 가지 독(毒)의 하나. 자기(自己)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대하여 마음으로 애착(愛着)케 하는 정신(精神) 작용(作用) 등의 뜻으로 ①탐(貪)내다, 탐(貪)하다 ②바라다 ③희망(希望)하다 ④자초(自招)하다(어떤 결과를 자기가 생기게 하다) ⑤탐 ⑥탐욕(貪慾)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사물을 지나치게 탐하는 욕심을 탐욕(貪慾), 백성의 재물을 탐하는 벼슬아치를 탐관(貪官), 탐내어 구함을 탐구(貪求), 여색을 탐냄을 탐색(貪色), 욕심이 많고 하는 짓이 더러움을 탐오(貪汚), 남의 물건을 탐내고 제 것은 척 아낌을 탐애(貪愛), 높은 지위를 탐함을 탐위(貪位), 탐욕이 많고 포악함을 탐학(貪虐), 탐욕으로 일어나는 얽매임을 탐결(貪結), 욕심내어 읽음을 탐독(貪讀), 지나치게 이익을 탐냄을 탐리(貪利), 탐욕한 사내 또는 욕심 많은 속인을 탐부(貪夫), 탐내는 마음을 탐심(貪心), 욕심이 많고 마음이 악함을 탐악(貪惡), 재물을 탐함을 탐재(貪財), 탐욕을 부리는 포악한 정치를 탐정(貪政), 술을 탐함을 탐주(貪酒), 만족할 줄 모르고 더욱 사물에 집착함을 탐착(貪着), 매우 즐기며 좋아함을 탐호(貪好), 음식을 탐내는 일을 식탐(食貪), 탐욕스러운 사람을 징계함을 징탐(懲貪), 완악하고 탐오함을 완탐(頑貪), 여색을 몹시 탐함을 색탐(色貪), 음란한 것을 좋아함을 음탐(淫貪), 이리와 같이 배부른 것도 생각하지 않고 자꾸 욕심을 냄을 낭탐(狼貪), 탐욕이 많고 부정을 일삼는 벼슬아치를 일컫는 말을 탐관오리(貪官汚吏), 하늘의 공을 탐한다는 뜻으로 남의 공을 탐내어 자기 힘으로 이룬 체함을 일컫는 말을 탐천지공(貪天之功), 권세를 탐하고 세도 부리기를 즐김을 일컫는 말을 탐권낙세(貪權樂勢), 작은 이익을 탐하여 큰 이익을 잃어 버림을 일컫는 말을 탐소실대(貪小失大), 욕심 많은 사람은 재물이라면 목숨도 아랑곳하지 않고 좇음을 이르는 말을 탐부순재(貪夫徇財),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탐뢰무예(貪賂無藝), 욕심이 많아 많은 것을 탐냄을 일컫는 말을 탐다무득(貪多務得), 명예를 탐내고 이익에 집착함을 이르는 말을 탐명애리(貪名愛利), 재물을 탐하고 여색을 즐김을 일컫는 말을 탐재호색(貪財好色),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탐욕무예(貪欲無藝) 등에 쓰인다.
▶️ 賂(뇌물 뢰/뇌)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조개 패(貝: 돈, 재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各(각→뢰)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賂(뢰/뇌)는 ①뇌물(賂物) ②선물(膳物), 재물(財物) ③재화(財貨) ④(뇌물을)주다 ⑤증정하다(贈呈--)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자기의 뜻하는 바를 이루기 위하여 남에게 몰래 주는 정당하지 못한 재물을 뇌물(賂物), 뇌물로 주는 돈을 뇌금(賂金), 뇌물을 주고 섬김을 뇌사(賂事), 뇌물을 받음을 수뢰(受賂), 뇌물을 바침을 납뢰(納賂), 뇌물을 요구함을 색뢰(索賂), 뇌물을 주거나 받는 행위 또는 그 뇌물을 회뢰(賄賂), 본분의 임무를 어기고 부정한 청탁을 받으며 뇌물을 받아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죄를 일컫는 말을 배임수뢰(背任受賂),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탐뢰무예(貪賂無藝) 등에 쓰인다.
▶️ 無(없을 무)는 ❶회의문자로 커다란 수풀(부수를 제외한 글자)에 불(火)이 나서 다 타 없어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없다를 뜻한다. 유무(有無)의 無(무)는 없다를 나타내는 옛 글자이다. 먼 옛날엔 有(유)와 無(무)를 又(우)와 亡(망)과 같이 썼다. 음(音)이 같은 舞(무)와 결합하여 복잡한 글자 모양으로 쓰였다가 쓰기 쉽게 한 것이 지금의 無(무)가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無자는 ‘없다’나 ‘아니다’, ‘~하지 않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無자는 火(불 화)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불’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갑골문에 나온 無자를 보면 양팔에 깃털을 들고 춤추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무당이나 제사장이 춤추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춤추다’가 본래의 의미였다. 후에 無자가 ‘없다’라는 뜻으로 가차(假借) 되면서 후에 여기에 舛(어그러질 천)자를 더한 舞자가 '춤추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無(무)는 일반적으로 존재(存在)하는 것, 곧 유(有)를 부정(否定)하는 말로 (1)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 공허(空虛)한 것. 내용이 없는 것 (2)단견(斷見) (3)일정한 것이 없는 것. 곧 특정한 존재의 결여(缺如). 유(有)의 부정. 여하(如何)한 유(有)도 아닌 것. 존재 일반의 결여. 곧 일체 유(有)의 부정. 유(有)와 대립하는 상대적인 뜻에서의 무(無)가 아니고 유무(有無)의 대립을 끊고, 오히려 유(有) 그 자체도 성립시키고 있는 듯한 근원적, 절대적, 창조적인 것 (4)중국 철학 용어 특히 도가(道家)의 근본적 개념. 노자(老子)에 있어서는 도(道)를 뜻하며, 존재론적 시원(始原)인 동시에 규범적 근원임. 인간의 감각을 초월한 실재이므로 무(無)라 이름. 도(道)를 체득한 자로서의 성인(聖人)은 무지(無智)이며 무위(無爲)라고 하는 것임 (5)어떤 명사(名詞) 앞에 붙어서 없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없다 ②아니다(=非) ③아니하다(=不) ④말다, 금지하다 ⑤~하지 않다 ⑥따지지 아니하다 ⑦~아니 하겠느냐? ⑧무시하다, 업신여기다 ⑨~에 관계없이 ⑩~를 막론하고 ⑪~하든 간에 ⑫비록, 비록 ~하더라도 ⑬차라리 ⑭발어사(發語辭) ⑮허무(虛無) ⑯주검을 덮는 덮개 ⑰무려(無慮), 대강(大綱)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빌 공(空), 빌 허(虛)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존(存), 있을 유(有)이다. 용례로는 그 위에 더할 수 없이 높고 좋음을 무상(無上), 하는 일에 막힘이 없이 순탄함을 무애(無㝵), 아무 일도 없음을 무사(無事), 다시 없음 또는 둘도 없음을 무이(無二), 사람이 없음을 무인(無人), 임자가 없음을 무주(無主), 일정한 지위나 직위가 없음을 무위(無位), 다른 까닭이 아니거나 없음을 무타(無他), 쉬는 날이 없음을 무휴(無休), 아무런 대가나 보상이 없이 거저임을 무상(無償), 힘이 없음을 무력(無力), 이름이 없음을 무명(無名), 한 빛깔로 무늬가 없는 물건을 무지(無地),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음을 무자(無子), 형상이나 형체가 없음을 무형(無形), 아무런 감정이나 생각하는 것이 없음을 무념(無念), 부끄러움이 없음을 무치(無恥),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음을 무리(無理),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있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전무후무(前無後無), 일체의 생각이 없다는 뜻으로 무아의 경지에 이르러 일체의 상념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념무상(無念無想), 끝이 없고 다함이 없음을 형용해 이르는 말을 무궁무진(無窮無盡), 학문과 지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학무식(無學無識), 아무 재능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재무능(無才無能), 해로울 것도 없고 이로울 것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해무득(無害無得), 모든 생각을 떠나 마음이 빈 상태를 이르는 말을 무상무념(無想無念), 하는 일이 없으니 탈도 없음이나 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위무사(無爲無事), 하는 일도 없고 일할 능력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위무능(無爲無能), 한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을 무진무궁(無盡無窮), 사심이나 편파됨이 없다는 뜻으로 매우 공평함을 이르는 말을 무사무편(無私無偏),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우환을 당하지 아니함 또는 뒷걱정이 없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유비무환(有備無患),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사람됨이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김 또는 태도가 몹시 거만하여 남을 사람같이 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안하무인(眼下無人) 등에 쓰인다.
▶️ 藝(재주 예/심을 예)는 ❶형성문자로 蓺(심을 예)는 통자, 艺는 간체자, 芸는 일본자, 秇는 고자, 兿와 艺는 속자, 埶와 㙯는 동자, 芸는 약자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예(埶: 나무를 심는 모양), 云(운)과 풀(草)을 심기 위해서는 재능이 필요하다는 뜻이 합(合)하여 '재주'를 뜻한다. ❷상형문자로 藝자는 '재주'나 '기예'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藝자는 艹(풀 초)자와 埶(재주 예)자, 云(이를 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藝자는 埶자가 확장된 글자이다. 埶자의 갑골문을 보면 무릎을 꿇고 나무를 심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土(흙 토)자가 더해지면서 '정원을 가꾸다'라는 뜻을 표현했었다. 소전에서는 艹자가 더해지고 土자는 云자로 바뀌면서 지금의 藝자가 되었다. 나뭇가지를 자르고 모양을 다듬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정원을 가꾸는 모습을 그렸던 藝자는 후에 '재주'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藝(예)는 ①재주 ②기예(技藝), 문예(文藝) ③법도(法度), 준칙(準則: 준거할 기준이 되는 규칙이나 법칙) ④학문(學問) ⑤아버지 사당(祠堂) ⑥경적(經籍: 옛 성현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 놓은 책) ⑦과녁 ⑧끝, 극한(極限: 궁극의 한계) ⑨(땅에) 심다 ⑩재주가 있다 ⑪극진하다(極盡--) ⑫나누다, 분류하다(分類--: 종류에 따라서 가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유의어로는 伎(재간 기), 倆(재주 량/양), 둘 량/양), 才(재주 재), 技(재주 기), 術(재주 술, 취락 이름 수) 등이 있다. 용례로는 기예와 학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독특한 표현 양식에 의하여 의식적으로 아름다움을 창조해 내는 활동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활동을 빛깔이나 모양이나 소리나 글 등에 의하여 아름답게 표현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예술(藝術), 재주와 기능으로 연극 영화 음악 무용 등의 예술에 관한 기예를 예능(藝能), 기술에 대한 재주를 기예(技藝), 채소나 과일이나 화초 따위를 심어서 가꾸는 일이나 기술을 원예(園藝), 재능과 기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다재다예(多才多藝), 온갖 장인의 재주를 이르는 말을 백공기예(百工技藝),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탐욕무예(貪欲無藝),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탐뢰무예(貪賂無藝)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