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순건설(焦脣乾舌)
입술이 타고 혀가 마른다는 뜻으로, 몸과 마음이 몹시 괴롭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焦 : 탈 초(灬/8)
脣 : 입술 순(肉/7)
乾 : 마를 건(乙/10)
舌 : 혀 설(舌/0)
입술과 혀가 말을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하는 만큼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성어가 많다. 말을 잘못하면 재앙을 받게 되니 말조심을 하라고 설저유부(舌底有斧), 혀 아래 도끼 들었다고 한다. 칼이나 창과 같이 사람을 해친다고 설검순창(舌劍脣槍)이라 했다.
입술과 혀를 헛되게 놀리면 도비순설(徒費脣舌), 아무 보람이 없으며, 입술을 움직이고 혀를 차는 요순고설(搖脣鼓舌)은 함부로 남을 비평하는 것이 된다. 어느 것이나 입을 함부로 놀리면 남을 해쳐 자기에게 득 될 것이 없다는 가르침이다.
이와 같은 뜻과는 달리 입술이 타고(焦脣) 혀가 마르는(乾舌) 일은 몸과 마음이 매우 괴로운 상태를 나타낸다. 설건순초(舌乾脣焦)라 해도 같다.
이 정도로 자기 몸이 괴롭다고 표현한 사람은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때 남방에 위치한 越(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이었다. 오랫동안 원수 사이로 있는 관계를 오월(吳越)이라 하듯이 구천은 오(吳)나라의 부차(夫差)에게 회계(會稽)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고 복수의 칼을 갈았다.
온갖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복수할 때를 기다린다는 와신상담(臥薪嘗膽)에서 쓸개를 핥은 이가 구천이다. '사기(史記)'의 중니(仲尼) 제자열전과 '오월춘추(吳越春秋)'에 실려 있다. 후한(後漢)의 조엽(趙曄)이 역사적인 사실에다 문학적인 재미를 가해 기술한 것이 뒤의 책이다.
제(齊)나라가 모국 노(魯)를 침입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공자(孔子)는 언변이 좋은 제자 자공(子貢)을 보내 해결하게 했다. 제나라를 설득한 자공은 구천을 만나러 갔다. 오나라가 제를 침략할 것이니 국력이 쇠퇴할 때까지 기다리라고 조언했다. 반색한 구천이 말했다.
'회계에서 곤욕을 당하고 그 고통이 뼛속까지 사무쳐 밤낮 입술이 타고 혀는 마릅니다(困於會稽 痛入於骨髓 日夜焦脣乾舌/ 곤어회계 통입어골수 일야초순건설).' 복수의 일념에 불타는 구천이 자공의 계획대로 오왕 부차를 따르는 척 하며 군사와 무기를 보냈고 연이은 전쟁으로 국력이 쇠약해진 부차는 멸망의 길로 갔다.
'입술에 침도 마르기 전에 돌아 앉는다'는 말이 있다. 약속을 금방 내팽개칠 때 하는 말이다. 입술이 탈 정도로 말을 했다면 입이 아플 정도로 많이 지껄였다는 말도 된다. 입이 바싹바싹 마를 정도면 많이 긴장했거나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몸과 마음이 괴로움에 시달렸을 때다.
지진이나 큰 산불 등 재난이나, 주기적으로 엄습하는 전염병으로 비상이 걸렸을 때는 담당자들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입술을 태우며 긴장한다. 이럴 때일수록 함부로 날뛰다간 더 그르치니 차근차근 정해진 대응책으로 따라야 한다.
▶️ 焦(탈 초)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연화발(灬=火; 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상처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隹(추, 초)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焦(초)는 불에 타서 상처나다의 뜻으로 ①타다 ②그을리다 ③태우다 ④탄내 나다 ⑤바삭바삭하다 ⑥초조(焦燥)하게 굴다 ⑦안달하다(속을 태우며 조급하게 굴다) ⑧애태우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파초 초(蕉)이다. 용례로는 사물이나 관심과 흥미가 집중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을 초점(焦點), 애를 태워서 마음을 졸이는 모양을 초조(焦燥), 마음을 태우고 애씀을 초로(焦勞), 타는 듯이 극심한 더위를 초열(焦熱), 내리쬐는 햇볕에 나무나 풀이 타서 말라 죽음을 초고(焦槁), 애타게 근심함을 초권(焦拳), 초목이나 농작물이 내리쬐는 햇볕에 타서 입는 손상을 초상(焦傷), 매우 초조하여 몸이 닮을 초신(焦身), 매우 슬퍼서 애타게 욺을 초읍(焦泣), 매우 안타까와서 애를 태움을 초장(焦膓), 빛깔이 거무틱틱 함을 초흑(焦黑),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을 초심(焦心), 불에 타고 그슬린 땅으로 불타서 없어진 자리 또는 그 남은 재를 초토(焦土), 불에 데어 부풀어 오름을 초란(焦爛), 썩 민망하게 여김을 초민(焦悶), 근심하여 속이 몹시 탐을 초작(焦灼), 애를 태우며 근심을 함을 초초(焦憔), 눈썹에 불이 붙은 것같이 매우 위급함의 비유를 초미(焦眉), 애를 태우며 하는 생각을 초사(焦思), 불에 타서 검게 그을린 흙이 된다는 뜻으로 초토가 되거나 초토로 만드는 것을 초토화(焦土化), 눈썹이 타게 될 만큼 위급한 상태란 뜻으로 그대로 방치할 수 없는 매우 다급한 일이나 경우를 비유한 말을 초미지급(焦眉之急), 눈썹이 타는 재액이라는 뜻으로 매우 급하게 닥치는 재앙을 이르는 말을 초미지액(焦眉之厄), 입술이 타고 혀가 쓸 정도로 몹시 안타까와하고 괴로와 함을 초순고설(焦脣苦舌), 입술을 태우고 혀가 마른다는 뜻으로 극렬하게 논쟁을 한다는 말을 초순건설(焦脣乾舌), 마음을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을 초심고려(焦心苦慮), 몹시 애를 태우며 이리저리 생각함을 초사전려(焦思煎慮),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생각을 너무 깊게 함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움을 노심초사(勞心焦思), 쇠가 녹아 흐르고 흙이 그을린다는 뜻으로 가뭄이 계속되어 더위가 극심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유금초토(流金焦土) 등에 쓰인다.
▶️ 脣(입술 순, 꼭 맞을 민)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육달월(月=肉; 살, 몸)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辰(신, 순)으로 이루어졌다. 입술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脣자는 '입술'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脣자는 辰(지지 진)자와 ⺼(육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辰자는 조개 모양으로 생긴 낫을 그린 것이다. 脣자는 이렇게 조개 모양의 낫을 그린 辰자를 응용한 글자로 사람의 '입술'을 뜻하고 있다. 왜냐하면, 조개가 입술을 닮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脣(순, 민)은 ①입술 ②가장자리 ③둥근 물건의 둘레 그리고 ⓐ꼭 맞다(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입술 문(吻)이다. 용례로는 입술 끝을 순두(脣頭), 두 입술 사이나 아랫입술과 윗니 끝 사이에서 나는 닿소리를 순음(脣音), 입술과 이로 서로 이해 관계가 밀접함을 순치(脣齒), 입술과 혀로 수다스러움이나 말을 잘함을 순설(脣舌), 무덤 앞에 평평한 땅의 앞을 순전(脣前), 입술의 모양을 순형(脣形), 입술에 나는 종기를 순종(脣腫), 입술이 갈라지는 병을 순창(脣瘡), 입과 입술을 구순(口脣), 아랫 입술을 하순(下脣), 여자의 아름다운 붉은 입술을 단순(丹脣), 선천적으로 윗입술이 세로로 찢어진 사람 또는 그렇게 찢어진 입술을 결순(缺脣), 옷 입술이 세로로 찢어져 토끼의 입술처럼 생긴 입술을 토순(兔脣), 위로 들린 입술을 건순(乾脣), 입술을 비쭉거리며 비웃음을 반순(反脣), 옥 같이 아름다운 미인의 입술을 옥순(玉脣), 여자의 붉은 입술을 홍순(紅脣), 입술을 놀림을 농순(弄脣), 남의 무덤 앞을 파해치는 일을 파순(破脣),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가까운 사이의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과 이와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따로 떨어지거나 협력하지 않으면 일이 성취하기 어려운 관계를 이르는 말을 순치보거(脣齒輔車), 입술과 이와의 뗄 수 없는 관계와 같이 서로 의지하고 서로 영향을 끼치는 형세를 순치지세(脣齒之勢), 윗입술이 위로 치 들려서 이가 드러나 보임을 이르는 말을 건순노치(乾脣露齒), 입술을 태우고 혀가 마른다는 뜻으로 극렬하게 논쟁을 한다를 이르는 말을 초순건설(焦脣乾舌), 붉은 입술과 하얀 이란 뜻으로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이르는 말을 단순호치(丹脣皓齒) 등에 쓰인다.
▶️ 乾(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새 을(乙=乚; 초목이 자라나는 모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倝(간)으로 이루어졌다. 음(音)을 빌어 마르다의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乾자는 '하늘'이나 '마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乾자는 倝(햇빛 빛날 간)자와 乙(새 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倝자는 햇빛이 밝게 빛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초목 사이에 해가 있으니 대지를 밝게 비추는 모습으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여기에 乙자를 더한 이유는 무엇일까? 乙자의 사전적 의미는 '새'이지만 여기에서는 단순히 아지랑이로 응용되었다. 하늘이 맑은 날 햇볕이 대지를 달구게 되면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게 된다. 乾자에 쓰인 乙자는 그러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乾(건)은 1.동사(動詞)나 또는 명사(名詞)에 붙어서 주로 말린 또는 마른의 뜻을 나타냄 2.물을 쓰거나 대지 않은 액체(液體)를 쓰지 않음의 뜻을 나타냄 3.어떤 행동을 뜻하는 말에 붙어서 속뜻 없이 겉으로만의 뜻을 나타냄 4.건으로, 근거(根據)나 이유(理由) 같은 것이 없이, 의지(依支)할 데 없이의 뜻을 나타냄 5.건괘(乾卦) 6.건방(乾方) 7.건시(乾時) 8.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1)'하늘 건/마를 건'의 경우는 ①하늘 ②괘(卦)의 이름 ③임금 ④남자(男子) ⑤아버지, 친족 관계(關係) ⑥마르다, 건조하다 ⑦말리다 ⑧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으로 하다, 형식적이다 ⑨텅 비다 ⑩아무것도 없다 ⑪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 ⑫말린 음식(飮食) ⑬물을 사용하지 않은 ⑭헛되이, 덧없이 따위의 뜻이 있고 (2)'마를 간'의 경우는 ⓐ마르다, 건조하다(간) ⓑ말리다(간)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으로 하다, 형식적이다(간) ⓓ텅 비다(간) ⓔ아무것도 없다(간)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간) ⓖ말린 음식(飮食)(간) ⓗ물을 사용하지 않은(간) ⓘ헛되이, 덧없이(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하늘 천(天), 하늘 민(旻), 하늘 호(昊), 하늘 궁(穹),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흙 토(土), 땅 지(地), 땅 곤(坤), 흙덩이 양(壤), 젖을 습(濕)이다. 용례로는 하늘과 땅을 상징적으로 일컫는 말을 건곤(乾坤), 습기나 물기가 없음을 건조(乾燥), 하는 일 없이 빈둥빈둥 놀거나 게으름을 부리는 짓을 건달(乾達), 서로 잔을 높이 들어 행운을 빌고 마시는 일을 건배(乾杯), 마른 버짐을 건선(乾癬), 마른 철을 건계(乾季), 생물의 물기가 없어짐을 건고(乾枯), 마른 것과 습기를 건습(乾濕), 말린 물고기를 건어(乾魚), 공기 중에서 쉽사리 건조되는 성질을 건성(乾性), 베어서 말린 풀이나 말라 죽은 풀을 건초(乾草), 물이 없거나 말른 골짜기를 건곡(乾谷), 말린 과실을 건과(乾果), 넓은 하늘을 구건(九乾), 따뜻하고 습기가 없음을 온건(溫乾), 볕에 쬐어 말림을 쇄건(曬乾), 마르지 못하게 함을 방건(防乾), 고기를 소금에 절여 말린 것을 납건(臘乾), 하늘이냐 땅이냐를 한 번 던져서 결정한다를 이르는 말을 건곤일척(乾坤一擲),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 내려한다를 이르는 말을 건목수생(乾木水生), 천지가 탁 트여 아무런 장해도 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건곤통연(乾坤洞然), 천지에 가득 찬 맑은 기운을 이르는 말을 건곤청기(乾坤淸氣),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이르는 말을 타면자건(唾面自乾), 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 천하의 난을 평정함 또는 나라의 폐풍을 대번에 크게 고침을 이르는 말을 선건전곤(旋乾轉坤) 등에 쓰인다.
▶️ 舌(혀 설)은 ❶상형문자이나 형성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입으로 내민 혀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혀의 뜻을 나타낸다. 또는 음(音)을 나타내는 干(간; 내미는 일, 실)과 口(구)의 합자(合字)이다. ❷상형문자로 舌자는 '혀'나 '말'을 뜻하는 글자이다. 舌자는 동물의 혓바닥을 본떠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舌자를 보면 길게 뻗은 혓바닥 주위로 침이 튄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뱀이나 도마뱀의 혓바닥을 그린 것이다. 사람보다는 파충류 혀가 인상이 강하기에 동물의 혀를 그려 '혓바닥'을 표현한 것이다. 舌자는 본래 '혓바닥'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지만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실제로는 '말'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는 편이다. 게다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도 주로 모양자로만 활용되고 있다. 그래서 舌(설)은 혀의 뜻으로 ①혀 ②말, 언어(言語) ③과녁의 부분(部分)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말다툼이나 입씨름을 설전(舌戰)말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다툼을 설론(舌論), 혀가 굳어서 뻣뻣함을 설강(舌强), 혀를 움직여서 내는 자음을 설음(舌音), 남을 해하려는 뜻이 담긴 말을 칼에 비유해서 일컫는 말을 설검(舌劍), 칼과 같은 혀라는 뜻에서 날카로운 말을 설도(舌刀), 말을 잘못한 때문에 받게 되는 해를 설화(舌禍), 서슬이 선 말로 날카롭고 매서운 변설을 설봉(舌鋒), 혀를 이루고 그 주질이 되는 근육을 설근(舌筋), 혀의 상태를 보아서 병이 있고 없음을 진단하는 일을 설진(舌診), 악독하게 혀를 놀려 남을 해치는 말을 독설(毒舌), 입담 좋게 말을 잘 하는 재주를 언설(言舌), 붓과 혀 곧 글로 씀과 말로 말함을 이르는 말을 필설(筆舌), 나쁘게 욕하는 말을 악설(惡舌), 시비하고 비방하는 말을 구설(口舌), 쓸데없는 말을 자꾸 지껄임을 농설(弄舌), 재치 있게 하는 교묘한 말을 교설(巧舌)말이 많음이나 수다스러움을 장설(長舌), 입담 좋게 말을 잘 하는 재주를 변설(辯舌), 혀를 가두어 둔다는 뜻으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수설(囚舌), 말로 이러쿵 저러쿵 다투는 일을 각설(角舌), 혀 아래나 밑에 도끼 들었다를 이르는 말을 설저유부(舌疽有斧), 혀가 칼보다 날카롭다는 뜻으로 논봉論鋒의 날카로움을 이르는 말을 설망어검(舌芒於劍), 혀가 꼬부라지고 불알이 오그라진다는 뜻으로 병세가 몹시 위급하다를 이르는 말을 설권낭축(舌卷囊縮),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라는 뜻으로 항상 말조심을 해야한다를 이르는 말을 설참신도(舌斬身刀)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