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명받은 소나무길”
강원도 바우길은 소설가 이원순씨와 산악인 이기호씨가 백두대간에서 경포대, 정동진까지 산맥
과 바다를 잇는 총연장 ≒350km 17구간과 울트라바우길, 계곡바우길을 개척하고 이름을 붙인
바위길을 강원도 사투리로 바우길이라 한다. 또한 바우(bau)바벨로니아 신화에 나오는 여신으
로 손으로 한번만 어루만지는 것만으로도 죽을병을 낫게하는 아주 친절한 여신의 길로 치유의
길이기도 하다
그중 “어명받은 소나무길”은 2007년도 광화문 복원 때 소나무를 벌목하면서 소나무위령제를
지낸 길이다.
공식 들머리는 보현사 못미처 차단기가 있는 임도 옆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우길 3구간 정 코스
이지만 오늘 우리 솔향산악회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보현사 샘터 뒷길을 들머리로 잡아
“보현사→대공산성→술잔바위→산불감시초소→명주군왕릉”으로 코스를 잡았다.
※보현사
오늘의 들머리인 보현사는(해발531m)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
이다.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4년(650)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전하나 자장율사
가 창건하였다는 구체적인 문헌과 당시의 유물과 유적이 전하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낭원대사가 중창한 시기가 10세기 초반 이므로 적어도 이 시기에서 얼마 오래지 않은
시기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보현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된 고찰로 지금은 폐사가 된 굴
산사와 더불어 9세기 이후 강원도 지역에서 손꼽히는 선종 사찰이다.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 현재 보물로 지정된 낭원대사탑비와 대웅전을 통해 당시의 융성
했던 사세를 짐작할 수 있다.
※대공산성
오늘 산행의 정상인 대공산성(大公山城:1,153m)은(지방기념물 제28호)높이 2m, 둘레 약4㎞에
달하며, 보현산성 또는 대궁산성이라고도 불리우며 축성년대나 내역에 관한 확실한 고증은 거
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대관령과 연계된 산맥에 자연적인 산세를 이용하여 축성한 석성으로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여
쌓았으며 소금강에 있는 금강산성과도 연결되어 있는 성이다.
이 성은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이 쌓았다고도 하며 발해의 왕인 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쌓았다
하여 대공산성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온조왕이 이곳에 온 기록이 없어 발해의 왕이 축성하였다는 것이 타당한 것 같다.
현재 동문, 남문, 북문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성안에는 당시에 쓰던 우물이 남아 있으며 곳곳에
기와 파편이 산재하고 있다. 이곳은 또한 을미의병 때 민용호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
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기도 하다.
※명주군왕릉
오늘의 날머리인 명주군왕릉은 강릉김씨의 시조 명주군왕 휘(諱) 주원공(周元公)으로 신라 제4
대 석탈해왕 9년 3월 4일(서기 65년)에 경주에서 탄강하신 대보공 김알지의 21세손으로 신라 2
9대 대종무열왕 김춘추의 6세손이 되신다.
공은 신라 제38대 왕위계승문제에 이르러 천재지변으로 원성왕에게 사양하고 원성원년(서기 7
85년)에 모향인 명주로 이거(移居)후 명주군왕으로 책봉되어 신라 9개주 중 명주(9군 25현)를
다스리며 후손이 세거하여 강릉을 관향(貫鄕)으로 하였다
능소(陵所)는 현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삼왕동) 산 285-1번지에 위치하고 좌향은 갑좌경
향이다. 능향전은 명주군왕의 제사를 봉향하는 전청으로 서기 1989년 4월 태명회에서 창건하였
다. 숭의제는 능에 제사하기 위한 제실로써 서기 1565년에 제실 2칸을 창건하고 칭호는 1858년
부터 사촌제실(삼왕동고호)로,1889년에는 삼왕제실로, 1925년에는 숭의제로 호칭하여 오다가
1950년 6.25사변에 병화로 전소된 것을 1952년 서제(西齊)를, 1955년에는 본체(本齊)와 동제
(東齊)를 중건 복원하였다. 숭열전은 명주군왕의 5대조인 신라 29대 태종무열왕의 위패를 봉안
한 전각으로 서기 1979년 창건하였다. 청간사는 생육신의 한분인 매월당 김시습의 영정을 봉안
한 사당으로서 공은 명주군왕의 23세손이며 서기 1435년에 출생하여 생후 8개월에 글을 알고
5세에 시문을 지은 신동으로써 조선조 제6대 단종왕이 수양으로부터 왕위를 찬탈(1455년)당하
자 삭발하고 유불(儒佛)을 넘나들며 방랑하다가 홍산 무량사에서 향년 59세에 생을 마쳤으며
영당(影堂)은 1907년에 창건하고영정은 무량사에서 진영을 모본하여 봉안해 오고 있다.
신도비는 명주군왕의 사적을 명기한 석비로서 본 비문은 서기 1960년에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
령 이승만이 짓고 1961년에 명주군왕 37세손인 당시 국회의원 김진만이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
고 있다. 능향전 광장 석비 및 석조물은 서기 1996년 능소보전정화작업으로 각 종파 및 종친
단체의 협찬으로 건립되었다.
삼왕사는 능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승려를 입주케한 사찰이며 서기 1565년부터 홍복암으로 호
칭하다가 1955년 삼왕사로 개칭하고 1978년에 현 위치에 신축하였다.
★.산행지 : 강릉 "어명받은 소나무 길"
★.해 발 : 1,153m(대공산성)
★.산행거리 : ≒9km
★.산행시간 : 4시간
★.산행코스 : 보현사→대공산성→술잔바위→산불감시초소→임도→명주군왕릉
★.출발일시 : 2014년 12월 26일 금요일(09시출발)
★.출발장소 : 강릉의료원 삼거리
★.산행경비 : \15,000
★.준비물 : 등산 복장/장비(동절기:아이젠,스패츠,보온장갑,후레쉬..)중식제공/식수.등
★.차량코스 : 8시15분.입암현대아파트 출발⇒8시17분.원마트 출발⇒ 8시25분.한신아파트
출발⇒8시30분.엘지A/S출발⇒8시35분.여성회관 출발⇒8시40분.새마을금고
출발⇒8시45분.소방서앞 출발⇒8시50분.구터미널 출발⇒8시55분.용강동
출발⇒8시58분. 강릉의료원 삼거리 도착 9시출발
※ 강릉 인근에 있는 산을 등산하여 일찍 하산 하기에"중식은 집행부에서 제공"
하오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산행중의 사고는 개인(본인)의 책임이오니 산행시 각별히 유의하여
즐겁고 안전산행이 될 수 있도록 모든 회원님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출발 시간을 지켜 솔향인의 자존심을 지킵시다.
강릉솔향산악회 회장 배상
☎ 연락처 ☎
☎.회장님 : 010-9363-0576
☎.부회장(남) : 010-3345-0453
☎.부회장(여) : 010-6375-1454
☎.운영위원장 : 010-5260-2228
☎.산행팀장 : 010-2898-5196
☎.총무(남) : 016-452-5810
☎.총무(여) : 010-8374-4074
☎.버스기사 : 011-375-6405
|
|
|
첫댓글 바우길 산책로 긋쌌,,,,,,
총회후 첫 산행

어명정으로해서 명주군왕릉으로 한바퀴 휘익돌아서
솔향에서 하는산행길 눈 까지 사알짝 내려 멋스럽겠습니다.
보현사 어명정 명주군왕 에대하여 잘 다듬어 올려놓으신 산행공지에
포근하고 행복한 마음에 양식을 잔뜩 담아갑니다.
날씨가 많이춥습니다 팀장님 건강하세요^*^
산행공지 잘보고 감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