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및 박사논문>
리진호(지적박물관 관장), 성현(星峴)서당사, 감리교출판사, 1997
정순우(한중연 교수), 18세기 서당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박사논문, 1985. 11.30,
리영호, 서당에서 배우는 한자이야기, 푸른솔, 1997, 513면,
제주도교육연구원, 제주의 서당교육, 1994, 333면
강남주(부경대 국문과 교수), 서당이 없는 시대, 부산 빛남출판사, 1993, 247면
정보교육연구회, 셈틀서당 1, 한국문연, 1994,265면(컴퓨터 도스)
<석사논문>
김한기, 태안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 지역사회개발대학원, 1996, 128면
김억렬, 양양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1996. 2, 164면
박원의, 정선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 1996. 2, 107면
조형춘, 조선후기 서당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1996. 2, 64면
김광국, 가평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 1996. 2, 112면
박영모, 춘천지역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 1995. 2, 149면
김영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서당-서당의 기능확대를 중심으로-, 계명대 석사, 1995. 8, 48면
김상준, 횡성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 1994. 2, 126면
한홍식, 원주지역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 1994. 2, 167면
오태석, 서당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1994. 8, 99면
이병수, 서당교육에 관한 일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1987. 8,
권오석, 서당 교재의 간행에 관한 연구, 청주대, 1994. 2, 84면
이강석, 서당의 생성과정과 그 교육적 역할, 경상대 교육대학원, 1992. 8, 50면
반산건, 서당교육의 사회, 교육적 역할-조선시대 이후를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 1993. 2, 93면
김영옥, 서당교육의 분석적 고찰, 조선대 교육대학원, 1993. 2, 48면(국어교육)
전태규, 영월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1993. 2, 114면
유태열, 삼척군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1993. 2, 107면
김종수, 조선조 서당교육연구, 계명대 국어교육, 1992.2,
이종암, 인제군 초등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1992. 2, 87면
조성일, 1920년대 민족교육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1991. 2, 48면
백남철, 한국서당교육의 선교교육적 접근, 연세대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 1985.2,
김문수, 서당교육을 중심으로 한 초등교육에 관한 고찰, 원광대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1985. 2,
김용동, 조선시대 서당교육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1985. 8,
박금림, 서당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고찰, 숙명여대, 1983. 2.
임계순, 일제강점하의 서당연구, 성신여대, 1983. 2,
이항재, 일제의 서당교육정책에 관한 고찰, 1983. 8,
정려기, 17세기 서당교육과 민족의식, 동국대 교육대학원, 1981. 8,
이진석, 일제하 개량서당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1976. 2,
박내봉, 조선서당교육의 양상-식민지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 교육대학원, 1970. 8,
한국서당연구회를 만들 필요성을 느낀다. 우리나라 서당이야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각 지역별 서당연구를 하고 나서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마을단위의 연구에서 시군 단위의 연구, 도 단위의 연구, 전국의 연구로 추진하여 총체적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지금도 서당교육의 현장이 남아 있다. 남양주에 자리한 지곡서당은 한학자 청명 임창순 선생이 만든 서당인데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라는 이름으로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여 현직 교수로 있는 분들이 많다.한학공부 3년과정을 이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