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경주에 펼쳐진 보석 같은 주상절리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등잔 밑이 어둡다.’오래고 오랜 세월 전해 오는 우리나라 속담이다. 그런데, 그 말이 맞다, 자기 옆에 보물이 있어도 그것이 보물인지를 모르고, 보석 같은 사람이 있어도 소중한 사람인지를 모르고 지나치다가 나중에야 그 진가를 너무 늦게 깨닫는 경우가 많다.
2007년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18일 동안 걸을 때에는 “민간인 출입을 금합니다.” 라는 표지판이 서 있고, 군부대가 있어서 들어가지 못하고, 7번 국도로 돌아갔다. 그 뒤 <동해 바닷가 길을 걷는다>라는 책을 펴낸 후에 문화체육관광부에다가 나라 안에서 제일 긴 도보 답사길을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그 길이‘해파랑 길’로 명명되면서 나라 안에 아름다운 길로 자리잡았다.
그 길을 <길 위의 인문학, 우리 땅 걷기>에서 다시 걷게 된 2011년 봄, 경주시 양남면 읍천항을 지나가는데, 마침 초소에 군인들이 없어서 들어갔는데, ’유레카!,‘ 놀라운 풍경이 펼쳐졌다.
읍천항과 하서항 사이의 해안을 따라 약 1.5km에 이르는 주상절리 중 바다 한가운데에 한 떨기 연꽃이나 부채처럼 누워 있는 비경 중의 비경 주상절리가 눈 안에 선뜻 들어온 것이다.
“그대들의 눈에 비치는 사물들이 순간마다 새롭기를, 현자란 바라보는 모든 것에 경탄하는 사람이다.”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에 나오는 그 구절이 현실로서 내 앞에 처음 나타난 것이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동해 바닷가의 모든 길에 철조망이 쳐지고, 그 바닷가에 군부대가 들어섰다. 그 뒤로 이곳을 지키는 군인들은 대를 이어가며 오랜 세월 주상절리를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바다에 떠 있는 돌무더기, 또는 기이한 바위 덩어리로 보았을 뿐, 그것을 나라 안에서도 손꼽히는 절경이라고 여기지 못한 것이다.
군인들뿐만이 아니라 이 지역에 살았던 옛 사람들의 어떤 글에도 전해오는 말에도 없다.
한글학회에서 펴낸 <한국지명총람> 월성군(현재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편에도 주상절리에 대한 이름은 하나도 없다.
“본래 장기군 양남면의 지역으로 읍천포가가 되므로 읍냇가, 읍천포, 읍내포라고 하였다.”
놀라움에 뛰는 가슴을 가라 앉힌 뒤 괴테가 <파우스트>에서 “온갖 것 보러 태어났건만, 온갖 것 보아서는 안 된다 하더라.”라는 그 말을 어기고 금지된 곳을 들어가서 발견한 주상절리를 사진을 찍어 페북을 비롯한 인터넷에 올렸다.
그 뒤 양남면 읍천리의 주상절리는 국가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12년에 문화재청에서 천연기념물 제536호로 지정하였다, 그 뒤 전국의 수많은 사진작가들 사진 속에 담겼으며, 지금은 그 일대가 대처가 되어서, 관광객들이 줄을 잇는 곳이 되었다.
중국 귀주성의 만봉림이나 장가계가 뒤늦게야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해파랑 길을 제안한 (사)<길 위위 인문학, 우리 땅 걷기> 때문에 알려진 명승이다.
그 당시 나와 함께 해파랑 길을 걸어서 답사했던 사람들이 그 지역의 땅을 샀더라면 다 내노라하는 부자가 되었을 것인데, 부자는 하늘이 내는 것인가. 그곳에 땅을 살려고 마음먹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니,
살아있는 동안 눈 크게 뜨고 온 나라 산천을 걷고 또 걸어갈 일이다. 아직도 발견되지 못한 아름다운 풍경들이 남아 있는가 보기 위해서,
2024년 4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