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본선 |
측선 |
직선(레일 길이 10m) |
7mm |
9mm |
곡선(레일 길이 2m) |
3mm |
4mm |
면틀림은 주행차륜의 Flange가 레일을 올라타서 탈선하는 원인이 된다
4. 줄틀림(Aligment Irregularity)
한쪽 레일측면 길이 방향의 요철면 즉, 한쪽 레일 좌우방향의 들고 남의 방향을 말한다. 줄틀림은 주행차량의 사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줄틀림의 측정벙법은 면틀림과 같이 일반적으로는 10m의 실을 레일 측면에서 잡아당겨 그 중앙부의 실과 레일 측면과의 수평거리를 측정한다. 측정위치는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외측레일을 측정하며, 궤간외방으로 틀림량을 (+), 궤간 내방으로 틀림량을 (-)로 한다. 일반철도의 경우 줄틀림의 보수 기준은 레일 길이 10m에 대하여 본선 7mm, 측선 9mm이다.
줄틀림은 주행차량의 사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5. 평면성 틀림(Twist Irregularity)
캔트가 일정한 직선과 곡선구간을 따라 두 횡단면(두개 이상의 침목)에 위치한 궤도의 4지점(1대차 4개의 차륜)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여야 한다.
평면성 틀림은 평면에 대한 궤도의 비틀림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궤도상의 일정거리에 있는 2점간의 수평틀림의 대수차로 표시한다. 즉, 평면성 틀림은 단위 길이당 수평틀림의 변동으로 측정 길이는 운행차량의 최대 고정축거를 고려하여 궤도의 2점간의 간격 5m(고속철도의 경우는 3m)에 있어서 수평틀림의 변화량을 말한다.
평면성 틀림(국지적 틀림)은 다른 세 지점에 의하여 정해진 평면으로부터 한 점을 벗어나게 한다. 평면성 틀림은 좌우측 레일 궤도평면의 비틀림에 의하여 주행차량이 3점 지지 상태로 되어 주행안전성이 손상되어 주행차륜의 Flange가 레일을 올라타 탈선의 원인이 된다. 특히 저속(V <100km/h)과 중간 속도(100km/h < V <140km/h)에서는 평면성 틀림은 탈선의 가장 빈번한 원인으로 나타난다.
6. 복합틀림(Composite Irregularity)
복합틀림은 줄과 수평이 역위상으로 복합되어 있는 틀림을 말한다. 복합틀림을 구하는 산식은 복합틀림=|줄틀림량-1.5×수평틀림량|이다.
궤도틀림의 측정원리는 궤간과 수평틀림은 양측 레일의 상대값이므로 그 절대치를 측정하지만, 면(고저)과 줄(방향)틀림은 중앙종거법 즉, 상대값으로 측정한다.
궤도틀림은 실제 열차가 주행시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주행시의 틀림을 동적틀림(Dynamic warp)이라 하고, 열차하중이 없는 상태의 측정틀림을 정적틀림(static warp)라 하는데, 열차가 없는 상태에서는 레일체결장치의 이완, 침목과 도상과의 간격등은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실제와는 다른 상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형 궤도검측차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동적틀림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검측장비를 확보해야하는 이유이다.
Ⅲ. 결론
이상 궤도틀림에 대한 궤간․수평․면․줄․평면성 틀림, 그리고 복합틀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들 궤도틀림은 선로 위에 유도되어 주행하는 열차 및 철도차량의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궤도틀림이 열차에 미치는 영향으로 궤간틀림은 사행동과 선로 내측으로의 탈선, 수평틀림은 좌우동, 면틀림은 차륜 Flange가 레일을 올라타는 사고, 줄틀림은 사행동, 평면성틀림은 4개의 차륜이 3점 지지화되어 탈선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평소 이러한 궤도틀림이 발생하여 악화되지 않도록 물론 선로의 유지보수 관리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로 철도차량을 설계하고 유지․보수․관리하고 운용하는 것 또한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운행하는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로/차량 간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충분히 이해하고 시스템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결론적으로 철도차량을 설계․제작하고 운용하는데 있어서 앞에서 기술한 궤도틀림과 같은 선로의 취약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궤도 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안전성과 승차감을 저해하는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철도운송에 있어서 열차의 안전운행 확보는 각 분야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야하겠지만 어느 한 분야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본다.
※ 참고문헌
1. V.A.Profillidis, "Railway Engineering -Second Edition" 서사범 역, BG북 갤러리, 2004.5
2. 宮本俊光 外1, “線路 -軌道の設計․管理”, 新日本印刷(株), 昭和 57.7
3. 이종득, “철도공학(Railway Engineering)”, 노해출판사, 2006.7
4. 서울산업대 철도전문대학원 철도시스템안전연구센터, “고속철도 궤도시스템” 유인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