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맞잡으면 아무 일도 할 수 없습니다.
왼손의 일이 있고, 오른손의 일이 있습니다.
어떤 일은 손을 맞잡음으로 이뤄가지면
우리 하는 일 대부분은 손 놓고 있어야 가능합니다.
책을 읽을 때도, 글을 쓸 때도, 물건을 들 때도
두 손은 함께이지만 따로 있습니다.
어느 선생님이 물었습니다.
한 직장에서 일하는 후배 사회사업가와 어떻게 지내야 하나고요.
늘 그렇듯, 우리는 '한시적 계약관계'라 했습니다.
사회사업 동료로 서로 격있게 지낼 뿐이라고 말입니다.
친밀하게 지내는 게 정말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이런저런 '관계 만족'은 직장 밖 다른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저처럼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지내는 가운데도 어떤 동료와는 친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선물이라 생각합니다. 참 고마운 일이요, 부러운 관계입니다.
그러나 저는 친해지려 애쓰는 데 힘쓰지 않겠다 했습니다.
사회사업 하러 직장에 왔으니, 그 일에 최선을 다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사회사업에 관해 묻고 함께 공부하고 서로 격려합니다.
그렇죠. 어렵습니다. 그 적당한 거리가요.
그럴 때마다 양손을 바라봅니다.
언젠가 직장 동료 같은, 한시적 계약관계조차
사무치게 그리울 때도 있을 겁니다.
그때는 말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첫댓글 적.당.한.거.리 그림책을 읽었습니다.
'적당한 햇빛, 적당한 흙, 적당한 물 적당한 거리가 필요해. 우리네 사이처럼.' 글이 기억에 남습니다.
직장에서도 그런 것 같습니다. 다양한 식물처럼 모두 다르고, 그에 맞는 손길이 다릅니다. 같지 않음을 받아들여 봅니다.
사회사업가와 사회사업가의 관계
당사자와 사회사업가의 관계
학교 현장에 있으면서 혼자 일한다는 이유로 실무자 네트워크에 에너지를 너무 쓰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물론 중요합니다.
당사자와 관계에서도 에너지를 쏟았는 지 돌아봅니다.
항상 사회사업가로서 고민할 수 있는 이야기 기록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