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를 보내며(贈別俊少師)-소요태능(逍遙太能)
거년별아여산정(去年別我廬山頂) 지난해 우리 여산에서 이별했더니
금일송군초수빈(今日送君楚水濱) 오늘은 초숫가에서 그대를 보내네
이사유유양무어(離思悠悠兩無語) 이별하는 슬픈 마음 아득히 그대와 나 말이 없는데
낙화제조우잔춘(洛花啼鳥又殘春) 꽃 지고 새 울며 남은 봄이 가고 있네
*위 시는 ‘석지현’(釋智賢)님의 편저 “선시감상사전”에 실려 있는데, 참고로 석지현님은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하였고, 편.저.역서로는 “선시”, “법구경”, “숫타니파타”,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 등 다수가 있습니다.
*소요태능(逍遙太能, 1562~1649, 전남 담양사람)은 어머님이 꿈에 신승을 보고 그를 잉태하였고, 13세에 백양사에 입산하여 부휴대사(浮休大師)에게 경을 배우고 묘향산에 들어가 서산대사를 친견하였으며, 공안참구(公案參究) 20년만에 깨달았고, 인조 27년 11월 21일 담담히 앉아 입적하였으며, 서산(西山), 경허(鏡虛), 청매인오(靑梅印悟)와 더불어 한국 선시의 국보적 존재이고, 저서로는 소요당집(逍遙堂集)이 있습니다.
*위 시의 형식은 ‘칠언절구이고, 출전은 “소요당집(逍遙堂集)”입니다.
*여산(廬山) : 중국 江西省 北部에 있는 산, 慧遠의 住錫地로서 이름이 높다
초수(楚水) : 초나라 물, 여기서의 여산과 초수는 별다른 뜻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정도로 쓰이고 있다.
유유(悠悠) : 이별하는 마음이 물이듯 흐르는 모양
*위 시 아래에는 “이별은 어쩌면 가장 순수해지는 순간인지도 모른다. 그것은 떠난다는 그 자체가 일체의 수식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수식 속에서 살고 있다. 일체의 수식을 뽑다 보면 현실의 관계 속에서의 패배자가 된다. 그러나 이별은 이러한 수식에서 우리를 해방시켜 준다. 그러므로 해탈을 원하는 사람은 되도록 많은 것들과의 이별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이별의 순간이 많아질수록 의식의 거울은 투명하게 닦이어 가기 때문이다”라는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첫댓글 모든 이별이 그렇듯 아쉬움은 있지만
새로움 만남도 함께 하기에 이별이 아쉽지 만은 않지요.
한 주의 시작....대장님도 이번 주도 행복하게 보내시길
회장님의 댓글과 배려에 깊이 감사드리고,
오늘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