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송기술 분야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입니다.
더 효율적인 소통을 위해 질문드리기 앞서 간략한 제 소개와 현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저는 20대 후반 남성이고 20대 중반까지 예체능 분야로 전공 및 졸업을 하였고, 음악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에서 음악 제작, 작사, 편곡, 녹음, 편집, 믹싱 등의 업무를 2년 정도 해왔습니다.
여러 상황이 겹쳐 해당 일을 그만두고 방송기술직(음향 엔지니어)에 새로운 목표를 갖고 취업 준비를 위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최종 목표로는 지상파 방송국의 방송기술직 취직입니다.
음악 제작, (약간의)음향 믹싱 경험 외에는 방송기술직에 필요한 전공 지식이나, 토익 등 취업에 필요한 거의 모든 요소가 제로 베이스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정보를 찾아보며 나름의 취업 준비 계획을 짜보았습니다.
먼저 방송기술직에 준비하고 도전하고 계시거나 현직에 계신 선배님들의 현실적이고 따끔한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또 알아보는 과정에 자격증 관련해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함께 질문드립니다.
우선 필기 전형에 필요한 전공이론을 공부하기 위해 관련 자격증(무선설비, 방송통신)을 가능한 기사를 목표로 준비하려고 합니다.
자격증이 필수는 아니라고 하나 비전공자가 목표 없이 전공 공부하기보다 목표가 있고 그 목표가 이력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아래와 같이 준비하려고 합니다.
무선통신, 방송통신 기능사 취득(학원 이용) -> 관련 직군 중소기업 경력 1년 -> 무선설비, 방송통신 산업기사 자격증 공부 및 취득 -> 관련 직군 중소기업 경력 1년 -> 무선설비, 방송통신 기사 자격증 공부 및 취득
*매 과정마다 토익, 필기, 면접, 시사교양 준비를 병행하고 지상파 공채 있을 때마다 지원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겨서 찾아보려고 해도 시원한 답변이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기능사,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이후 실무 경력을 각 1년씩 쌓아야 다음 등급의 자격을 응시할 수 있다고 하는데,
경력 인정 범위가 어디까지 되는지, 제가 취업하려고 하는 곳과 업무가 경력으로 인정되는 곳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가능하다면 방송기술 분야로 경력을 쌓아서 추후 방송국에 경력직으로 지원해 보려고 하는데 그게 가능할지 궁금했습니다.
만약 자격증 분야별 회사, 직무를 각각 경력을 쌓아야 한다면 준비 기간이 너무 길어지는 것이 우려스럽습니다.
지금까지 찾아본 자료를 공유드리자면
Q-net이란 사이트에서 경력인정 유사직무범위 안내를 찾아볼 수 있었고 NCS 공정채용에서 회사별 채용분야의 요구능력단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https://www.q-net.or.kr/crf006.do?id=crf00630&gSite=Q&gId=
https://www.ncs.go.kr/blind/bl04/RecrtNotifDetail.do?pageIndex=0&searchNcsLclasCd=20&searchNcsMclasCd=03&searchNcsSclasCd=02&searchCondition=0&recrtNo=20250117093652 (해당 링크는 국악방송 채용이며 방송기술(라디오) 분야를 기준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net과 비교했을 때 무선설비와 방송통신 자격증이 방송기술직으로 근무할 때 경력으로 인정이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제가 이런 계획을 세운 이유는 마냥 취업 준비, 공부에만 몰두하기에 나이도 나이인지라 최소한의 경제력이 필요했습니다.
시간이 오래걸리더라도 경력도 쌓고 돈도 벌면서 방송국 입사를 목표하고자 했는데 괜찮은 방향성인지 스스로 판단이 어렵네요..
질문과 글의 내용이 부족한 점이 많더라도 넓은 아량으로 이해 부탁드리며 달아주시는 답변 소중히 읽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자격증 취득과 관련해서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하시면 무선설비기사나 정보통신기사 취득하실 자격이 생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는 비전공자라도 4년제를 졸업하시면 응시 자격을 가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제가 놓쳤던 정보였네요! 정보처리기사부터 준비하면 목표하는 자격증을 더 빠르게
취득할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